[특보] 산불 행동요령은?…“즉시 신고 뒤 신속히 대피”

입력 2022.03.06 (21:23) 수정 2022.03.07 (11: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동해안 산불로 인한 인명피해는 다행히 아직 없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도 확인했듯이 산불이 나면 바람을 타고 순식간에 번지기 때문에 당황하기 쉬운데요.

산불이 났을 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이호준 기자가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산불은 초기 대응이 중요합니다.

산불을 발견하면 119나 112에 즉시 신고해야 초기에 확산을 막을 수 있습니다.

불이 작다면 나뭇가지 등으로 두드리거나 덮어 끄면 됩니다.

하지만 바람이 불면 갑자기 번질 수 있어서 절대 무리해서는 안 됩니다.

산불이 번지고 있다면 신속히 대피하는 게 중요합니다.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불이 옮겨붙기 때문에 바람 반대 방향으로 몸을 피해야 합니다.

산불이 난 곳보다 높은 곳으로 가지 말아야 하는 것도 기억해 둬야 합니다.

불길에 휩싸였다면 주위를 살펴 이미 탔거나, 수풀이 적은 곳, 도로, 바위 뒤로 몸을 피해야 합니다.

대피할 여유가 없을 때는 탈 것이 적은 곳을 골라 마른 풀을 긁어낸 뒤 엎드려서 불길을 피해야 합니다.

주택으로 불이 번질 우려가 크면 문과 창문을 닫고 집과 주변에 물을 충분히 뿌려 줍니다.

가스나 기름통 등 불이 옮겨붙기 쉬운 물건은 미리 치워두는 게 좋습니다.

대피령이 발령되면 이웃에게 알리며 함께 대피해야 합니다.

대피할 때에는 마스크나 젖은 수건으로 입과 코를 가리는 게 중요합니다.

KBS 뉴스 이호준입니다.

영상편집:이진이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특보] 산불 행동요령은?…“즉시 신고 뒤 신속히 대피”
    • 입력 2022-03-06 21:23:15
    • 수정2022-03-07 11:03:05
    뉴스 9
[앵커]

이번 동해안 산불로 인한 인명피해는 다행히 아직 없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도 확인했듯이 산불이 나면 바람을 타고 순식간에 번지기 때문에 당황하기 쉬운데요.

산불이 났을 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이호준 기자가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산불은 초기 대응이 중요합니다.

산불을 발견하면 119나 112에 즉시 신고해야 초기에 확산을 막을 수 있습니다.

불이 작다면 나뭇가지 등으로 두드리거나 덮어 끄면 됩니다.

하지만 바람이 불면 갑자기 번질 수 있어서 절대 무리해서는 안 됩니다.

산불이 번지고 있다면 신속히 대피하는 게 중요합니다.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불이 옮겨붙기 때문에 바람 반대 방향으로 몸을 피해야 합니다.

산불이 난 곳보다 높은 곳으로 가지 말아야 하는 것도 기억해 둬야 합니다.

불길에 휩싸였다면 주위를 살펴 이미 탔거나, 수풀이 적은 곳, 도로, 바위 뒤로 몸을 피해야 합니다.

대피할 여유가 없을 때는 탈 것이 적은 곳을 골라 마른 풀을 긁어낸 뒤 엎드려서 불길을 피해야 합니다.

주택으로 불이 번질 우려가 크면 문과 창문을 닫고 집과 주변에 물을 충분히 뿌려 줍니다.

가스나 기름통 등 불이 옮겨붙기 쉬운 물건은 미리 치워두는 게 좋습니다.

대피령이 발령되면 이웃에게 알리며 함께 대피해야 합니다.

대피할 때에는 마스크나 젖은 수건으로 입과 코를 가리는 게 중요합니다.

KBS 뉴스 이호준입니다.

영상편집:이진이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