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연령 61세 ‘산불전문예방진화대’…처우는?

입력 2022.03.19 (09: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경북 울진 화재로 축구장 2만9천여 개 넓이의 산림이 소실됐습니다.화마는 213시간 동안 이어져 가장 오래 지속된 산불이란 안타까운 기록을 남겼습니다.

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여러 인력들이 투입돼 사투를 벌였습니다. 그런데 이 인력 중 한 어떤 분들은 평균 연령 61세에 육박했다고 하는데요.

어떤 배경이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 '전문인력' 빈자리 메우는 평균 61세 '산불전문예방진화대'

산불이 발생하면 '전문인력'이 현장에 투입되곤 합니다. 헬기에서 밧줄을 타고 내려와 불을 끄는 공중진화대원, 기계화장비시스템 등 전문 장비를 다루는 산불재난특수진화대원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전문인력은 전국에 총 500여 명에 불과합니다. 최근 대형 산불이 전국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인 셈이죠.

전문인력과는 별도로 산림청과 전국 자치단체는 인력 보강 차원에서 '산불전문예방진화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예방진화대는 개별 지역 주민들로 구성돼있는데 산불을 감시하거나 규모가 작은 산불이 발생했을 때 초동 대처하는 등의 업무를 담당합니다.

지난해 기준 전국 예방진화대 인력은 1만110명.

산림청에 따르면 지자체별로는 강원(1,220명), 경남(1,140명), 전남(1,092명), 경기(990명), 경북 (965명) 순으로 많은 인력을 선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목할 점은 이들의 평균연령이 61세에 이른다는 겁니다.

55살 이상의 대원은 전체의 76%를 차지합니다. 그중 65세 이상 대원의 비율은 33%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자체별로 보면 제주 소속 대원의 평균 연령이 63.5세로 가장 많았습니다. 부산(63.1세), 대구(62.3세), 세종(62세) 등의 지역이 뒤를 이었습니다.

문제는 중년 이상부터 고령의 대원들로 구성돼 있고 전문성도 떨어지다 보니 야간 진화작업이 어렵고 주로 잔불 정리와 뒷불 감시에만 주로 투입되고 있다는 겁니다.

한윤도 씨(경북 청송군 산불전문진화대원·65세)는 "얼마 전, 울진 산불현장에도 투입됐는데 호스를 메고 정산까지 올라가서 불을 진화한다는 게 쉽지는 않았습니다. 아무래도 나이가 있고 해서 체력적으로 좀 떨어지는 부분이 있긴 하죠"라고 전했습니다.


■ 최저시급 수준 급여·6개월 계약직…"전문 인력 육성해야"

그렇다면 예방진화대의 연령대는 왜 이렇게 높은 편일까요? 예방진화대는 1년 중 산불 주요 발생 시기인 봄·가을에만 근무합니다. 그렇다 보니 6개월 한시 계약직으로 선발하는데요.

급여도 일당 7만 원의 최저시급 수준이라 젊은 층 유인 요인이 떨어지는 것입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계획했던 선발 인원을 채우지 못하는 미달 사태가 벌어지기도 합니다.

올해 선발에선 대형 산불을 겪었던 경북 지역은 1,128명 중 950명만이, 경남 지역은 1,071명 중 896명만이 지원했습니다. 원래 선발하려던 인원의 약 80% 수준만 채운 겁니다.

전문가들은 산림청의 진화 인력 확충은 물론, 자치단체에도 산불재난특수진화대와 같은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문현철 한국산불학회장은 "아예 지자체 소속 산불 예방·진화를 위한 전문 상근직 인력 채용을 고려해볼 만하다"며 "군복무를 마친 사람들 등을 대상으로 선발한다면 일자리 창출 차원에서도 유의미할 것"이라고 조언했습니다.

그러면서 문 회장은 "호주처럼 자원봉사자들을 활용하는 것도 한 방안이 될 수 있다"면서 "이들을 대상으로 교육·훈련을 진행해 나무 가지치기 등 산불 예방 작업을 활발히 진행하는 것 역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예산과 공무원 정원 문제로 관련 인력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게 사실입니다.

전남도청 관계자는 " 산불에 대한 국비 지원은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라고 본다"며 "산림청에 전문화된 특수진화대가 있는 것처럼 지자체 역시 전문 인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의 역할이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경북도청 관계자는 "이번 울진 산불에서 전국에서 동원된 예방진화대의 역할이 굉장히 컸던 게 사실"이라면서 "하지만 예산을 담당하는 기재부에선 이 예방진화대의 효율성에 대한 인식이 아직까진 자리 잡혀있지 않아 예산 확보의 우선순위에서 많이 밀리는 편"이라고 토로했습니다.

기후변화로 갈수록 빈번하게 발생하는 대형 산불. 국토의 60% 이상이 산지로 이뤄진 만큼 더 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안 마련이 절실한 지금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평균 연령 61세 ‘산불전문예방진화대’…처우는?
    • 입력 2022-03-19 09:01:51
    취재K

최근 경북 울진 화재로 축구장 2만9천여 개 넓이의 산림이 소실됐습니다.화마는 213시간 동안 이어져 가장 오래 지속된 산불이란 안타까운 기록을 남겼습니다.

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여러 인력들이 투입돼 사투를 벌였습니다. 그런데 이 인력 중 한 어떤 분들은 평균 연령 61세에 육박했다고 하는데요.

어떤 배경이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 '전문인력' 빈자리 메우는 평균 61세 '산불전문예방진화대'

산불이 발생하면 '전문인력'이 현장에 투입되곤 합니다. 헬기에서 밧줄을 타고 내려와 불을 끄는 공중진화대원, 기계화장비시스템 등 전문 장비를 다루는 산불재난특수진화대원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전문인력은 전국에 총 500여 명에 불과합니다. 최근 대형 산불이 전국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인 셈이죠.

전문인력과는 별도로 산림청과 전국 자치단체는 인력 보강 차원에서 '산불전문예방진화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예방진화대는 개별 지역 주민들로 구성돼있는데 산불을 감시하거나 규모가 작은 산불이 발생했을 때 초동 대처하는 등의 업무를 담당합니다.

지난해 기준 전국 예방진화대 인력은 1만110명.

산림청에 따르면 지자체별로는 강원(1,220명), 경남(1,140명), 전남(1,092명), 경기(990명), 경북 (965명) 순으로 많은 인력을 선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목할 점은 이들의 평균연령이 61세에 이른다는 겁니다.

55살 이상의 대원은 전체의 76%를 차지합니다. 그중 65세 이상 대원의 비율은 33%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자체별로 보면 제주 소속 대원의 평균 연령이 63.5세로 가장 많았습니다. 부산(63.1세), 대구(62.3세), 세종(62세) 등의 지역이 뒤를 이었습니다.

문제는 중년 이상부터 고령의 대원들로 구성돼 있고 전문성도 떨어지다 보니 야간 진화작업이 어렵고 주로 잔불 정리와 뒷불 감시에만 주로 투입되고 있다는 겁니다.

한윤도 씨(경북 청송군 산불전문진화대원·65세)는 "얼마 전, 울진 산불현장에도 투입됐는데 호스를 메고 정산까지 올라가서 불을 진화한다는 게 쉽지는 않았습니다. 아무래도 나이가 있고 해서 체력적으로 좀 떨어지는 부분이 있긴 하죠"라고 전했습니다.


■ 최저시급 수준 급여·6개월 계약직…"전문 인력 육성해야"

그렇다면 예방진화대의 연령대는 왜 이렇게 높은 편일까요? 예방진화대는 1년 중 산불 주요 발생 시기인 봄·가을에만 근무합니다. 그렇다 보니 6개월 한시 계약직으로 선발하는데요.

급여도 일당 7만 원의 최저시급 수준이라 젊은 층 유인 요인이 떨어지는 것입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계획했던 선발 인원을 채우지 못하는 미달 사태가 벌어지기도 합니다.

올해 선발에선 대형 산불을 겪었던 경북 지역은 1,128명 중 950명만이, 경남 지역은 1,071명 중 896명만이 지원했습니다. 원래 선발하려던 인원의 약 80% 수준만 채운 겁니다.

전문가들은 산림청의 진화 인력 확충은 물론, 자치단체에도 산불재난특수진화대와 같은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문현철 한국산불학회장은 "아예 지자체 소속 산불 예방·진화를 위한 전문 상근직 인력 채용을 고려해볼 만하다"며 "군복무를 마친 사람들 등을 대상으로 선발한다면 일자리 창출 차원에서도 유의미할 것"이라고 조언했습니다.

그러면서 문 회장은 "호주처럼 자원봉사자들을 활용하는 것도 한 방안이 될 수 있다"면서 "이들을 대상으로 교육·훈련을 진행해 나무 가지치기 등 산불 예방 작업을 활발히 진행하는 것 역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예산과 공무원 정원 문제로 관련 인력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게 사실입니다.

전남도청 관계자는 " 산불에 대한 국비 지원은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라고 본다"며 "산림청에 전문화된 특수진화대가 있는 것처럼 지자체 역시 전문 인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의 역할이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경북도청 관계자는 "이번 울진 산불에서 전국에서 동원된 예방진화대의 역할이 굉장히 컸던 게 사실"이라면서 "하지만 예산을 담당하는 기재부에선 이 예방진화대의 효율성에 대한 인식이 아직까진 자리 잡혀있지 않아 예산 확보의 우선순위에서 많이 밀리는 편"이라고 토로했습니다.

기후변화로 갈수록 빈번하게 발생하는 대형 산불. 국토의 60% 이상이 산지로 이뤄진 만큼 더 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안 마련이 절실한 지금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