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단체 “5G 품질 관련 과기부·이통3사에 공개 질의”
입력 2022.03.30 (10:35)
수정 2022.03.30 (10: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5세대(5G) 이동통신 국내 상용화 만 3년을 앞두고 서비스 품질에 대한 문제와 관련, 소비자단체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이동통신 3사에 공개 질의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5G 개통 당시 LTE 대비 20배 빠르고 지연 속도도 10분의 1로 줄어드는 등 이른바 '통신 고속도로'라고 홍보했던 것과 달리 현실화되지 않고 있다며 최근 과기정통부와 이통3사에 공식 질의서를 보냈다고 오늘(30일) 밝혔습니다.
소비자시민회의 측이 보낸 질의서 내용은 모두 6가지 질문으로 28GHz 대역의 5G 전국망에 대해 소비자 대상 서비스(B2C)를 발전시킬 계획이 있는지를 집중 질의했습니다.
또, 현재 3.5㎓ 대역의 5G조차 서비스가 되지 않는 지역 현황과 함께 이통사의 대책 여부, 관할 부처의 계획에 대해서도 설명을 요구했습니다.
해당 소비자단체는 소비자기본법에 제시된 '소비자권익 증진시책에 대한 협력'을 근거로 관계 기관과 해당 사업자에 공개 질의서를 보냈으며 이에 대한 답변이 오는대로 이를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2019년 4월 3일, 한국은 5G 이동통신 상용화를 세계에서 처음으로 시작했지만 당초 소개된 'LTE 대비 20배 빠른 속도 및 전국 초저지연' 등과는 달리 지난해 말 기준 이통3사 5G 평균 속도는 801.48Mbps로 1Gbps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이통3사가 공개한 커버리지 등을 보면 기지국 의무 설치가 늦어지면서 일부 농어촌 및 산간 지역에서는 5G 서비스가 불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소비자주권시민회의 홈페이지 캡처]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5G 개통 당시 LTE 대비 20배 빠르고 지연 속도도 10분의 1로 줄어드는 등 이른바 '통신 고속도로'라고 홍보했던 것과 달리 현실화되지 않고 있다며 최근 과기정통부와 이통3사에 공식 질의서를 보냈다고 오늘(30일) 밝혔습니다.
소비자시민회의 측이 보낸 질의서 내용은 모두 6가지 질문으로 28GHz 대역의 5G 전국망에 대해 소비자 대상 서비스(B2C)를 발전시킬 계획이 있는지를 집중 질의했습니다.
또, 현재 3.5㎓ 대역의 5G조차 서비스가 되지 않는 지역 현황과 함께 이통사의 대책 여부, 관할 부처의 계획에 대해서도 설명을 요구했습니다.
해당 소비자단체는 소비자기본법에 제시된 '소비자권익 증진시책에 대한 협력'을 근거로 관계 기관과 해당 사업자에 공개 질의서를 보냈으며 이에 대한 답변이 오는대로 이를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2019년 4월 3일, 한국은 5G 이동통신 상용화를 세계에서 처음으로 시작했지만 당초 소개된 'LTE 대비 20배 빠른 속도 및 전국 초저지연' 등과는 달리 지난해 말 기준 이통3사 5G 평균 속도는 801.48Mbps로 1Gbps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이통3사가 공개한 커버리지 등을 보면 기지국 의무 설치가 늦어지면서 일부 농어촌 및 산간 지역에서는 5G 서비스가 불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소비자주권시민회의 홈페이지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소비자단체 “5G 품질 관련 과기부·이통3사에 공개 질의”
-
- 입력 2022-03-30 10:35:42
- 수정2022-03-30 10:46:32

5세대(5G) 이동통신 국내 상용화 만 3년을 앞두고 서비스 품질에 대한 문제와 관련, 소비자단체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이동통신 3사에 공개 질의를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5G 개통 당시 LTE 대비 20배 빠르고 지연 속도도 10분의 1로 줄어드는 등 이른바 '통신 고속도로'라고 홍보했던 것과 달리 현실화되지 않고 있다며 최근 과기정통부와 이통3사에 공식 질의서를 보냈다고 오늘(30일) 밝혔습니다.
소비자시민회의 측이 보낸 질의서 내용은 모두 6가지 질문으로 28GHz 대역의 5G 전국망에 대해 소비자 대상 서비스(B2C)를 발전시킬 계획이 있는지를 집중 질의했습니다.
또, 현재 3.5㎓ 대역의 5G조차 서비스가 되지 않는 지역 현황과 함께 이통사의 대책 여부, 관할 부처의 계획에 대해서도 설명을 요구했습니다.
해당 소비자단체는 소비자기본법에 제시된 '소비자권익 증진시책에 대한 협력'을 근거로 관계 기관과 해당 사업자에 공개 질의서를 보냈으며 이에 대한 답변이 오는대로 이를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2019년 4월 3일, 한국은 5G 이동통신 상용화를 세계에서 처음으로 시작했지만 당초 소개된 'LTE 대비 20배 빠른 속도 및 전국 초저지연' 등과는 달리 지난해 말 기준 이통3사 5G 평균 속도는 801.48Mbps로 1Gbps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이통3사가 공개한 커버리지 등을 보면 기지국 의무 설치가 늦어지면서 일부 농어촌 및 산간 지역에서는 5G 서비스가 불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소비자주권시민회의 홈페이지 캡처]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5G 개통 당시 LTE 대비 20배 빠르고 지연 속도도 10분의 1로 줄어드는 등 이른바 '통신 고속도로'라고 홍보했던 것과 달리 현실화되지 않고 있다며 최근 과기정통부와 이통3사에 공식 질의서를 보냈다고 오늘(30일) 밝혔습니다.
소비자시민회의 측이 보낸 질의서 내용은 모두 6가지 질문으로 28GHz 대역의 5G 전국망에 대해 소비자 대상 서비스(B2C)를 발전시킬 계획이 있는지를 집중 질의했습니다.
또, 현재 3.5㎓ 대역의 5G조차 서비스가 되지 않는 지역 현황과 함께 이통사의 대책 여부, 관할 부처의 계획에 대해서도 설명을 요구했습니다.
해당 소비자단체는 소비자기본법에 제시된 '소비자권익 증진시책에 대한 협력'을 근거로 관계 기관과 해당 사업자에 공개 질의서를 보냈으며 이에 대한 답변이 오는대로 이를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2019년 4월 3일, 한국은 5G 이동통신 상용화를 세계에서 처음으로 시작했지만 당초 소개된 'LTE 대비 20배 빠른 속도 및 전국 초저지연' 등과는 달리 지난해 말 기준 이통3사 5G 평균 속도는 801.48Mbps로 1Gbps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이통3사가 공개한 커버리지 등을 보면 기지국 의무 설치가 늦어지면서 일부 농어촌 및 산간 지역에서는 5G 서비스가 불가했습니다.
[사진 출처 : 소비자주권시민회의 홈페이지 캡처]
-
-
김민아 기자 kma@kbs.co.kr
김민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