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평균 키 40년 전보다 5∼6㎝ 커졌다…롱다리 체형도 증가

입력 2022.03.30 (17:00) 수정 2022.03.30 (17: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평균 키가 40년 전보다 남성은 6.4㎝, 여성은 5.3㎝ 커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하체가 긴 '롱다리' 체형이 많아졌으며, 남성의 절반가량은 비만으로 조사됐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오늘(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사이즈코리아 성과발표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제8차 한국인 인체지수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한국인 인체치수조사는 의류, 생활용품 등 제품과 서비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우리 국민의 인체치수·형상 데이터를 수집·보급하는 국가 주도 데이터 사업입니다. 1979년 시작된 이래 8회째를 맞았습니다.

이번 8차 조사에서는 2020년 5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20∼69세 한국인 6천839명을 대상으로 직접 측정 137개, 3차원 측정 293개 등 총 430개 항목을 측정했습니다.

그 결과 한국인의 평균 키는 남성 172.5㎝, 여성 159.6㎝로 1979년 1차 조사 때보다 남성은 6.4㎝, 여성은 5.3㎝ 각각 커졌습니다.

또한 상체와 하체의 비율을 나타내는 다리 길이 비율(샅높이/키)이 모든 연령대에서 2003년의 5차 조사 대비 높아졌습니다. 남성은 43.7%에서 45.3%로, 여성은 44.4%에서 45.8%로 각각 늘어났습니다.

이처럼 키나 체형이 서구화되고 있으나 일부 인체 비율은 한국인 고유의 특성이 여전했습니다.

머리수직길이 대비 키의 비율을 나타내는 두신 지수는 1990년대 이후 7.2∼7.3을 유지했으며, 머리너비 지수(머리너비/머리두께)도 모든 시대·연령·성별에서 동양인의 단두형 비율인 0.84∼0.89를 기록했습니다.

남성의 평균 체질량지수(BMI)는 22.1(1차 조사)에서 24.9(8차 조사)로 40여 년간 꾸준히 높아졌습니다.

반면 여성은 같은 기간 22.0∼23.1에서 등락을 보였으며 8차 조사에서는 22.6을 기록했습니다.

BMI는 18.5∼22.9가 표준체중이며 23∼24.9는 과체중, 25∼29.9는 경도비만, 30 이상은 중도비만으로 분류됩니다.

비만 비율은 남성의 경우 47.0%, 여성은 22.6%였습니다. 특히 여성은 7차 조사 결과와 비교해 35세 이상 모든 연령대에서 비만도가 줄어든 가운데 50∼60대의 감소 폭이 두드러졌습니다.

복부비만의 지표가 되는 허리둘레 역시 직전 조사 결과 대비 남성은 전 연령대에서 늘어났지만, 여성은 20대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줄었습니다.

국표원은 오늘 육군본부, 한국스마트의료기기산업진흥재단, 단국대 웨어러블 제조데이터 플랫폼센터, 대한인간공학회, 한국의류학회와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데이터 활용·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한국인 체형 변화와 인체치수조사 결과를 산업계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미래산업 육성을 위한 신규 데이터 수요 발굴과 데이터 활용 확산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것입니다.

박진규 산업부 1차관은 "한국인 인체치수조사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국가 주도의 데이터 사업으로 40년간 축적한 데이터에는 격동의 시대를 거친 한국인의 인체 변천사가 담겨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어 "한국인의 몸에 맞는 제품생산과 공간설계에 활용돼 우리 기업의 제품·서비스 경쟁력 강화에 기여해온 인체정보 데이터가 디지털 전환 시대의 미래지향적 신산업 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인체치수조사 사업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인 평균 키 40년 전보다 5∼6㎝ 커졌다…롱다리 체형도 증가
    • 입력 2022-03-30 17:00:44
    • 수정2022-03-30 17:04:13
    사회
한국인의 평균 키가 40년 전보다 남성은 6.4㎝, 여성은 5.3㎝ 커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하체가 긴 '롱다리' 체형이 많아졌으며, 남성의 절반가량은 비만으로 조사됐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오늘(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사이즈코리아 성과발표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제8차 한국인 인체지수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한국인 인체치수조사는 의류, 생활용품 등 제품과 서비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우리 국민의 인체치수·형상 데이터를 수집·보급하는 국가 주도 데이터 사업입니다. 1979년 시작된 이래 8회째를 맞았습니다.

이번 8차 조사에서는 2020년 5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20∼69세 한국인 6천839명을 대상으로 직접 측정 137개, 3차원 측정 293개 등 총 430개 항목을 측정했습니다.

그 결과 한국인의 평균 키는 남성 172.5㎝, 여성 159.6㎝로 1979년 1차 조사 때보다 남성은 6.4㎝, 여성은 5.3㎝ 각각 커졌습니다.

또한 상체와 하체의 비율을 나타내는 다리 길이 비율(샅높이/키)이 모든 연령대에서 2003년의 5차 조사 대비 높아졌습니다. 남성은 43.7%에서 45.3%로, 여성은 44.4%에서 45.8%로 각각 늘어났습니다.

이처럼 키나 체형이 서구화되고 있으나 일부 인체 비율은 한국인 고유의 특성이 여전했습니다.

머리수직길이 대비 키의 비율을 나타내는 두신 지수는 1990년대 이후 7.2∼7.3을 유지했으며, 머리너비 지수(머리너비/머리두께)도 모든 시대·연령·성별에서 동양인의 단두형 비율인 0.84∼0.89를 기록했습니다.

남성의 평균 체질량지수(BMI)는 22.1(1차 조사)에서 24.9(8차 조사)로 40여 년간 꾸준히 높아졌습니다.

반면 여성은 같은 기간 22.0∼23.1에서 등락을 보였으며 8차 조사에서는 22.6을 기록했습니다.

BMI는 18.5∼22.9가 표준체중이며 23∼24.9는 과체중, 25∼29.9는 경도비만, 30 이상은 중도비만으로 분류됩니다.

비만 비율은 남성의 경우 47.0%, 여성은 22.6%였습니다. 특히 여성은 7차 조사 결과와 비교해 35세 이상 모든 연령대에서 비만도가 줄어든 가운데 50∼60대의 감소 폭이 두드러졌습니다.

복부비만의 지표가 되는 허리둘레 역시 직전 조사 결과 대비 남성은 전 연령대에서 늘어났지만, 여성은 20대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줄었습니다.

국표원은 오늘 육군본부, 한국스마트의료기기산업진흥재단, 단국대 웨어러블 제조데이터 플랫폼센터, 대한인간공학회, 한국의류학회와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데이터 활용·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한국인 체형 변화와 인체치수조사 결과를 산업계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미래산업 육성을 위한 신규 데이터 수요 발굴과 데이터 활용 확산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것입니다.

박진규 산업부 1차관은 "한국인 인체치수조사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국가 주도의 데이터 사업으로 40년간 축적한 데이터에는 격동의 시대를 거친 한국인의 인체 변천사가 담겨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어 "한국인의 몸에 맞는 제품생산과 공간설계에 활용돼 우리 기업의 제품·서비스 경쟁력 강화에 기여해온 인체정보 데이터가 디지털 전환 시대의 미래지향적 신산업 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인체치수조사 사업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