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 스프링클러’로 화목보일러 화재 예방!

입력 2022.03.31 (23:33) 수정 2022.03.31 (23: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화재에 취약한 화목보일러는 자칫 대형 산불 등으로 이어지기 쉬운데요,

간이 스프링클러를 설치하면 초기에 불을 끄거나 불이 번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화재 예방 효과가 크다고 합니다.

보도에 주아랑 기자입니다.

[리포트]

축구장 172개 면적의 임야가 불에 탄 2020년 강원도 고성 산불.

산불의 원인으로 지목된 건 바로 화목보일러.

실제로 화목보일러는 온도 조절 장치가 따로 없어 연통이 과열되기 쉽고, 관리도 쉽지 않아 화재 위험이 큽니다.

특히 산과 인접한 주택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대형 산불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박춘자/중구 복산동 : "(화목보일러를 사용한 지) 10년 됐는데 신경을 많이 쓰죠. 어디 불났다고 하면 남의 일이 아니다 하면서 우리도 화목보일러를 때고 있는 상태니까…."]

화목보일러 화재 예방을 위해 지역의 한 소방서가 화목보일러 사용 가구에 간이 스프링클러를 설치하는 사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기존 수도배관에 간이 스프링클러를 연결해 화재가 발생 시 초기에 불을 끄거나 불이 번지는 걸 막는 겁니다.

비용도 비교적 저렴하고, 설치도 간단합니다.

특히 화재를 스스로 감지해 물을 뿌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화목보일러 사용자가 집에 없거나 화재 사실을 인지하기 어려운 야간시간대에도 화재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앞서 강원도와 충남 지역에서도 간이 스프링클러를 설치해 화재 예방 효과를 거두기도 했습니다.

[김상섭/울산중부소방서 예방안전과 소방위 : "산림과 인접해 있기 때문에 화재에 상당히 취약합니다. 소방차가 도착하기 전에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가 작동함으로써 초기 소화에 아주 효과적으로…."]

최근 10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화목보일러 화재는 1,126건.

울산소방본부는 이번 사업 결과를 토대로 이를 울산 전 지역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주아랑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간이 스프링클러’로 화목보일러 화재 예방!
    • 입력 2022-03-31 23:33:25
    • 수정2022-03-31 23:43:49
    뉴스9(울산)
[앵커]

화재에 취약한 화목보일러는 자칫 대형 산불 등으로 이어지기 쉬운데요,

간이 스프링클러를 설치하면 초기에 불을 끄거나 불이 번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화재 예방 효과가 크다고 합니다.

보도에 주아랑 기자입니다.

[리포트]

축구장 172개 면적의 임야가 불에 탄 2020년 강원도 고성 산불.

산불의 원인으로 지목된 건 바로 화목보일러.

실제로 화목보일러는 온도 조절 장치가 따로 없어 연통이 과열되기 쉽고, 관리도 쉽지 않아 화재 위험이 큽니다.

특히 산과 인접한 주택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대형 산불로 이어지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박춘자/중구 복산동 : "(화목보일러를 사용한 지) 10년 됐는데 신경을 많이 쓰죠. 어디 불났다고 하면 남의 일이 아니다 하면서 우리도 화목보일러를 때고 있는 상태니까…."]

화목보일러 화재 예방을 위해 지역의 한 소방서가 화목보일러 사용 가구에 간이 스프링클러를 설치하는 사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기존 수도배관에 간이 스프링클러를 연결해 화재가 발생 시 초기에 불을 끄거나 불이 번지는 걸 막는 겁니다.

비용도 비교적 저렴하고, 설치도 간단합니다.

특히 화재를 스스로 감지해 물을 뿌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화목보일러 사용자가 집에 없거나 화재 사실을 인지하기 어려운 야간시간대에도 화재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앞서 강원도와 충남 지역에서도 간이 스프링클러를 설치해 화재 예방 효과를 거두기도 했습니다.

[김상섭/울산중부소방서 예방안전과 소방위 : "산림과 인접해 있기 때문에 화재에 상당히 취약합니다. 소방차가 도착하기 전에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가 작동함으로써 초기 소화에 아주 효과적으로…."]

최근 10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화목보일러 화재는 1,126건.

울산소방본부는 이번 사업 결과를 토대로 이를 울산 전 지역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주아랑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울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