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드마크에 또 주거시설?…“건립 취지 훼손”

입력 2022.04.05 (19:05) 수정 2022.04.05 (21: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항재개발 지역을 대표하는 핵심 시설이죠.

초고층 랜드마크 건물에 또, 주거시설이 들어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시민 누구나 누릴 수 있는 부산의 상징을 만들라며 높이 제한까지 없애준 지정 목적을 정면으로 거스를 수 있는 상황인데요.

다시, 해양 조망권 독점 논란에 휩싸인 북항재개발 사업을, 연속 보도합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북항재개발 1단계 사업 지구의 한가운데 자리 잡은 땅.

북항 전체를 상징하는 이른바, 랜드마크 건물이 들어설 곳입니다.

이 건물에 어떤 기능을 하는 시설이 들어설까.

마무리 단계에 있는 용역 내용이 최근 공개됐습니다.

둥근 원 모양의 땅에 들어서는 3개의 높은 건물.

45층과 83층, 그리고 가장 높은 건 90층입니다.

가장 높은 건물에는 '업무시설'이 입주합니다.

논란이 일고 있는 건 나머지 2개 동.

83층짜리에는 주상복합 비중이 최대 25%인데, 사실상의 아파트 상가가 될 '상업 판매' 시설을 포함하면 40%가 주상복합에 해당합니다.

또 최대 15%로 제시된 45층짜리 관광·숙박시설에도, 유사 주거시설로 지적받는 '생활형 숙박시설'을 지을 수 있습니다.

전문가 집단과 시민사회는 이 기본 구상안에 반발하고 있습니다.

[원희연/북항통합개발추진협의회 위원장 : "민간 분양하는 순간, 엄청나게 특혜를 주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결국, 시민들이 누려야 할 효용을 특정 업자나 개발업자들에게 전가하는, 양도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고요."]

높이 제한을 없애 이곳을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한 이유는 3가지.

'차별화된 도시공간'과 '시민을 위한 열린 문화공간', 그리고 '관문으로서의 적합한 기능'입니다.

이 지정 목적에 부합하느냐가 결국, 논란의 핵심입니다.

부산항만공사는 용역 내용은 아직 검토 단계일 뿐이며, 주거 기능 도입을 제한하려는 것이 기본 입장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강성민/부산항만공사 항만재생사업단 부장 : "아예 지구단위계획으로 강하게 규제를 만들어서 도입 자체가 시도되지 않도록 원천봉쇄하고 갈 의도도 가지고 있습니다."]

애초 지난달 말에 최종 결과가 나올 예정이었던 북항재개발지역 사업화 방안에 대한 용역은 졸속으로 마무리돼선 안 된다는 시민사회의 요구에 따라 오는 6월로 늦춰져 완료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김소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랜드마크에 또 주거시설?…“건립 취지 훼손”
    • 입력 2022-04-05 19:05:13
    • 수정2022-04-05 21:01:36
    뉴스7(부산)
[앵커]

북항재개발 지역을 대표하는 핵심 시설이죠.

초고층 랜드마크 건물에 또, 주거시설이 들어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시민 누구나 누릴 수 있는 부산의 상징을 만들라며 높이 제한까지 없애준 지정 목적을 정면으로 거스를 수 있는 상황인데요.

다시, 해양 조망권 독점 논란에 휩싸인 북항재개발 사업을, 연속 보도합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북항재개발 1단계 사업 지구의 한가운데 자리 잡은 땅.

북항 전체를 상징하는 이른바, 랜드마크 건물이 들어설 곳입니다.

이 건물에 어떤 기능을 하는 시설이 들어설까.

마무리 단계에 있는 용역 내용이 최근 공개됐습니다.

둥근 원 모양의 땅에 들어서는 3개의 높은 건물.

45층과 83층, 그리고 가장 높은 건 90층입니다.

가장 높은 건물에는 '업무시설'이 입주합니다.

논란이 일고 있는 건 나머지 2개 동.

83층짜리에는 주상복합 비중이 최대 25%인데, 사실상의 아파트 상가가 될 '상업 판매' 시설을 포함하면 40%가 주상복합에 해당합니다.

또 최대 15%로 제시된 45층짜리 관광·숙박시설에도, 유사 주거시설로 지적받는 '생활형 숙박시설'을 지을 수 있습니다.

전문가 집단과 시민사회는 이 기본 구상안에 반발하고 있습니다.

[원희연/북항통합개발추진협의회 위원장 : "민간 분양하는 순간, 엄청나게 특혜를 주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결국, 시민들이 누려야 할 효용을 특정 업자나 개발업자들에게 전가하는, 양도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고요."]

높이 제한을 없애 이곳을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한 이유는 3가지.

'차별화된 도시공간'과 '시민을 위한 열린 문화공간', 그리고 '관문으로서의 적합한 기능'입니다.

이 지정 목적에 부합하느냐가 결국, 논란의 핵심입니다.

부산항만공사는 용역 내용은 아직 검토 단계일 뿐이며, 주거 기능 도입을 제한하려는 것이 기본 입장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강성민/부산항만공사 항만재생사업단 부장 : "아예 지구단위계획으로 강하게 규제를 만들어서 도입 자체가 시도되지 않도록 원천봉쇄하고 갈 의도도 가지고 있습니다."]

애초 지난달 말에 최종 결과가 나올 예정이었던 북항재개발지역 사업화 방안에 대한 용역은 졸속으로 마무리돼선 안 된다는 시민사회의 요구에 따라 오는 6월로 늦춰져 완료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장준영/그래픽:김소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