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주택 화재…‘아궁이 불씨’가 원인

입력 2022.04.07 (21:56) 수정 2022.04.07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아궁이 불씨로 인한 주택 화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집이나 창고를 모두 태웠는데요.

시골 어르신들이 연료비 부담으로 아궁이를 많이 쓰는 데다, 초기 대응이 늦어 피해 규모가 클 수밖에 없습니다.

김효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붕이 까맣게 그을려있습니다.

나무 기둥도 불에 타 금방 바스러질 듯 위태롭게 지붕을 받치고 있습니다.

불이 난 건 지난 4일 낮 12시 40분쯤, 주택 50㎡와 가재도구 등을 태우고 2시간 만에 꺼졌습니다.

[이웃 주민 : "불은 탈 거 있는 만큼 (지붕까지) 올라가는데, 밑에서 (불이) 솟구치니까. 바짝 말라 있는 데는 대번에 타죠."]

이튿날, 함양군 휴천면의 한 창고에서도 불이 나 창고 233㎡와 오토바이 1대가 모두 탔습니다.

지난 4일과 5일 이틀 동안 사천과 하동, 함양지역 주택과 창고 4곳에서 발생한 화재 원인은 모두 아궁이 불씨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시골 지역 고령층이나 에너지 빈곤층이 연료비 부담에 아궁이를 쓰는 비율이 높고, 초기 화재 대응이 늦어 피해 규모가 클 수밖에 없습니다.

최근 3년 동안 경남에서 아궁이로 인해 난 불은 모두 329건, 해마다 100건이 넘습니다.

화목 보일러로 인한 화재보다 3배 넘게 많습니다.

하동군 소방서는 아궁이를 쓰는 취약계층 40가구에 아궁이 화구문을 설치하기도 했습니다.

[이계연/하동군 적량면 : "전에는 이게(화구문)이 없기 때문에 불이 자주 났어요. 초가집이고 하니까. (지금은) 불 넣어 딱 문 닫아버리고 나가버리면 너무 좋아요."]

소방당국은 건조한 날씨 속에 불꽃이 쉽게 날리는 데다 주변에 나무 등 탈것이 많아 불이 더 쉽게 난다고 말합니다.

[장동민/하동소방서 예방안전과 소방장 : "화구문이 아니더라도 불연성 덮개를 입구에 막는 것만으로도 화재 예방에 큰 도움이 되고, 화재가 발생했을 때는 무리하게 진압하기보다는 대피부터 하시고 119에 신고하여 (주십시오.)"]

또, 땔감 등을 아궁이 옆에 두지 않고, 불이 날 경우를 대비해 소화기를 갖춰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김효경입니다.

촬영기자:박세준/그래픽:박수홍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연이은 주택 화재…‘아궁이 불씨’가 원인
    • 입력 2022-04-07 21:56:07
    • 수정2022-04-07 22:08:29
    뉴스9(창원)
[앵커]

최근 아궁이 불씨로 인한 주택 화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집이나 창고를 모두 태웠는데요.

시골 어르신들이 연료비 부담으로 아궁이를 많이 쓰는 데다, 초기 대응이 늦어 피해 규모가 클 수밖에 없습니다.

김효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붕이 까맣게 그을려있습니다.

나무 기둥도 불에 타 금방 바스러질 듯 위태롭게 지붕을 받치고 있습니다.

불이 난 건 지난 4일 낮 12시 40분쯤, 주택 50㎡와 가재도구 등을 태우고 2시간 만에 꺼졌습니다.

[이웃 주민 : "불은 탈 거 있는 만큼 (지붕까지) 올라가는데, 밑에서 (불이) 솟구치니까. 바짝 말라 있는 데는 대번에 타죠."]

이튿날, 함양군 휴천면의 한 창고에서도 불이 나 창고 233㎡와 오토바이 1대가 모두 탔습니다.

지난 4일과 5일 이틀 동안 사천과 하동, 함양지역 주택과 창고 4곳에서 발생한 화재 원인은 모두 아궁이 불씨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시골 지역 고령층이나 에너지 빈곤층이 연료비 부담에 아궁이를 쓰는 비율이 높고, 초기 화재 대응이 늦어 피해 규모가 클 수밖에 없습니다.

최근 3년 동안 경남에서 아궁이로 인해 난 불은 모두 329건, 해마다 100건이 넘습니다.

화목 보일러로 인한 화재보다 3배 넘게 많습니다.

하동군 소방서는 아궁이를 쓰는 취약계층 40가구에 아궁이 화구문을 설치하기도 했습니다.

[이계연/하동군 적량면 : "전에는 이게(화구문)이 없기 때문에 불이 자주 났어요. 초가집이고 하니까. (지금은) 불 넣어 딱 문 닫아버리고 나가버리면 너무 좋아요."]

소방당국은 건조한 날씨 속에 불꽃이 쉽게 날리는 데다 주변에 나무 등 탈것이 많아 불이 더 쉽게 난다고 말합니다.

[장동민/하동소방서 예방안전과 소방장 : "화구문이 아니더라도 불연성 덮개를 입구에 막는 것만으로도 화재 예방에 큰 도움이 되고, 화재가 발생했을 때는 무리하게 진압하기보다는 대피부터 하시고 119에 신고하여 (주십시오.)"]

또, 땔감 등을 아궁이 옆에 두지 않고, 불이 날 경우를 대비해 소화기를 갖춰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김효경입니다.

촬영기자:박세준/그래픽:박수홍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