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다음 정부, 탄소중립 정책 근간 변함없이 유지돼야”

입력 2022.04.11 (17:19) 수정 2022.04.11 (17: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다음 정부에서 에너지 믹스 정책은 바뀔 수 있지만, 탄소중립 정책의 근간은 변함없이 유지되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오늘(11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우리나라는 그간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 추세에 있다가 2018년 정점 이후 실질적인 감소세로 전환한 것은 의미있는 일이고, 이런 흐름에서 다음 정부로 넘어간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우선 “탄소중립은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피할 수 없는 길이고 가야만 하는 길로, 탄소중립 과정에서 미래 신성장동력 확보가 가능하다”라며 “2050 탄소중립 목표의 이행은 각국 정부와 세계적 기업의 요구조건으로 계속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탄소중립은 선택이 아니라 당위이며, 탄소중립을 위해 기업과 함께 노력하고, 국가는 R&D(연구·개발) 지원을 통해 기술 개발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우리나라는 제조업 비중이 높은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어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고, 외국에 비해 늦은 2018년을 기준으로 2030년까지 40%를 감축해야 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탄소중립은 세계적인 관심의 대상이었다”라며 “우리가 전향적이고 적극적인 목표를 세운 것에 대해 국제사회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다음 정부는 2030년에 더 가까운 시기에 국정을 운영하게 되므로 더 강한 의지를 가져야 하며, 정부뿐 아니라 경제계와 산업계도 함께 노력해 주기 바란다”라고 당부했습니다.

오늘 회의에는 이창훈 한국환경연구원 원장과 윤순진 탄소중립위원회 위원장, 김희 포스코 상무가 참석해 ‘탄소중립 5년의 성과와 과제’를 주제로 의견을 나눴습니다.

윤 위원장은 “탄소중립은 국제사회의 새로운 규범으로 차기 정부에서도 무겁게 받아들여야 하며, 기후위기는 곧 경제위기이지만 이러한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것과 국민인식 제고가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김 상무는 “탄소중립은 정부보다도 민간 차원에서의 요구가 더 강하다”라며 “투자사와 기업 고객들이 그린 생산 시스템과 제품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과감한 기술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세 도입 등 수출 규제에 대응한 경쟁력 확보를 위해 포스코는 단계적으로 CCUS(탄소포집·활용·저장기술)나 수소환원제철 등의 기술 개발을 적극 추진 중”이라 말했다고 청와대는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청와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문 대통령 “다음 정부, 탄소중립 정책 근간 변함없이 유지돼야”
    • 입력 2022-04-11 17:19:23
    • 수정2022-04-11 17:20:11
    탄소중립
문재인 대통령은 “다음 정부에서 에너지 믹스 정책은 바뀔 수 있지만, 탄소중립 정책의 근간은 변함없이 유지되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오늘(11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우리나라는 그간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 추세에 있다가 2018년 정점 이후 실질적인 감소세로 전환한 것은 의미있는 일이고, 이런 흐름에서 다음 정부로 넘어간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우선 “탄소중립은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피할 수 없는 길이고 가야만 하는 길로, 탄소중립 과정에서 미래 신성장동력 확보가 가능하다”라며 “2050 탄소중립 목표의 이행은 각국 정부와 세계적 기업의 요구조건으로 계속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탄소중립은 선택이 아니라 당위이며, 탄소중립을 위해 기업과 함께 노력하고, 국가는 R&D(연구·개발) 지원을 통해 기술 개발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우리나라는 제조업 비중이 높은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어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고, 외국에 비해 늦은 2018년을 기준으로 2030년까지 40%를 감축해야 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탄소중립은 세계적인 관심의 대상이었다”라며 “우리가 전향적이고 적극적인 목표를 세운 것에 대해 국제사회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다음 정부는 2030년에 더 가까운 시기에 국정을 운영하게 되므로 더 강한 의지를 가져야 하며, 정부뿐 아니라 경제계와 산업계도 함께 노력해 주기 바란다”라고 당부했습니다.

오늘 회의에는 이창훈 한국환경연구원 원장과 윤순진 탄소중립위원회 위원장, 김희 포스코 상무가 참석해 ‘탄소중립 5년의 성과와 과제’를 주제로 의견을 나눴습니다.

윤 위원장은 “탄소중립은 국제사회의 새로운 규범으로 차기 정부에서도 무겁게 받아들여야 하며, 기후위기는 곧 경제위기이지만 이러한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것과 국민인식 제고가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김 상무는 “탄소중립은 정부보다도 민간 차원에서의 요구가 더 강하다”라며 “투자사와 기업 고객들이 그린 생산 시스템과 제품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과감한 기술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세 도입 등 수출 규제에 대응한 경쟁력 확보를 위해 포스코는 단계적으로 CCUS(탄소포집·활용·저장기술)나 수소환원제철 등의 기술 개발을 적극 추진 중”이라 말했다고 청와대는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청와대 제공]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