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5G 기술융합 2천 억 투자…6G 기술개발 추진”

입력 2022.04.13 (11: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5세대 이동통신(5G) 기술융합에 2,000억 원 넘게 투자하고, 6세대 이동통신(6G) 기술개발도 추진할 방침입니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오늘(13일) 오전 5G 시험계측 장비 전문업체인 (주)이노와이어리스를 방문해 정부의 지원 계획 등을 이같이 설명했습니다.

이 차관은 “데이터(Data), 네트워크(Network), 인공지능(AI) 등 소위 ‘D.N.A 분야’의 국내 생태계를 조성하고, 연관산업으로의 융합·확산이 중요하다”며 “특히, ‘데이터 고속도로’ 역할을 하는 5G는 민·관 협력을 통해 국내 85개 지역에 구축하는 등 세계 최초 상용화 이후 3년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에 정부는 자율주행차 등에 제한적으로 활용되던 5G 기술융합에 올해 2,000억 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특히, 5G 전국망 구축을 확대하고, 6G 기술개발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올해 안에 전국 85개 지역의 행정동뿐 아니라 주요 읍면까지 5G 영역을 확대하고, 오는 2024년까지 통신사 간 5G망 공동 이용을 통해 농어촌 지역의 접근성도 확대할 방침입니다.

이와 함께 오는 2025년까지 약 1,916억 원을 투자해 6G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6G 연구센터도 기존 3개에서 7개로 늘릴 계획입니다.

또, 건물이나 시설 등 특정공간에 별도의 5G망을 구축하는 ‘이음5G’ 서비스를 확산시키기 위해 정보통신기획평가원과 연구소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올해 6월까지 만들어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기로 했습니다.

이 차관은 “아낌없는 R&D 지원, 국가 차원에서의 고급인재 양성 등을 통한 신산업 성장 생태계를 조성해 산업구조 전반의 혁신을 불러오는 선순환 구조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신산업 육성을 위해 공급망 관리의 법·제도적 정비를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며 “성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독과점·일자리 소멸·소득분배 악화 우려 등 갈등요인에 대해서도 사전 분석해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 “5G 기술융합 2천 억 투자…6G 기술개발 추진”
    • 입력 2022-04-13 11:03:59
    경제
정부가 5세대 이동통신(5G) 기술융합에 2,000억 원 넘게 투자하고, 6세대 이동통신(6G) 기술개발도 추진할 방침입니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오늘(13일) 오전 5G 시험계측 장비 전문업체인 (주)이노와이어리스를 방문해 정부의 지원 계획 등을 이같이 설명했습니다.

이 차관은 “데이터(Data), 네트워크(Network), 인공지능(AI) 등 소위 ‘D.N.A 분야’의 국내 생태계를 조성하고, 연관산업으로의 융합·확산이 중요하다”며 “특히, ‘데이터 고속도로’ 역할을 하는 5G는 민·관 협력을 통해 국내 85개 지역에 구축하는 등 세계 최초 상용화 이후 3년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에 정부는 자율주행차 등에 제한적으로 활용되던 5G 기술융합에 올해 2,000억 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특히, 5G 전국망 구축을 확대하고, 6G 기술개발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올해 안에 전국 85개 지역의 행정동뿐 아니라 주요 읍면까지 5G 영역을 확대하고, 오는 2024년까지 통신사 간 5G망 공동 이용을 통해 농어촌 지역의 접근성도 확대할 방침입니다.

이와 함께 오는 2025년까지 약 1,916억 원을 투자해 6G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6G 연구센터도 기존 3개에서 7개로 늘릴 계획입니다.

또, 건물이나 시설 등 특정공간에 별도의 5G망을 구축하는 ‘이음5G’ 서비스를 확산시키기 위해 정보통신기획평가원과 연구소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올해 6월까지 만들어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기로 했습니다.

이 차관은 “아낌없는 R&D 지원, 국가 차원에서의 고급인재 양성 등을 통한 신산업 성장 생태계를 조성해 산업구조 전반의 혁신을 불러오는 선순환 구조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신산업 육성을 위해 공급망 관리의 법·제도적 정비를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며 “성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독과점·일자리 소멸·소득분배 악화 우려 등 갈등요인에 대해서도 사전 분석해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