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로 추적한 복지사각…왜 위기가구?

입력 2022.04.18 (19:41) 수정 2022.04.18 (22: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를 겪는 동안 중산층이라 할 수 있는 많은 가구가 급성 빈곤에 허덕이게 됐다는 건데요.

위기에 빠진 가구들을, 어렵게 섭외해 취재했는데요.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한 얘기 나눠 보겠습니다.

황현규 기자 나와 있습니다.

우선 왜 위기 가구에 주목했는지 궁금한데요?

[기자]

위기가 불평등을 키운다, 이런 공식이 있습니다.

2년 넘게 계속된 코로나19는 우리가 경험해 보지 못한 재난이자, 위기잖아요.

이런 위기 상황에서 갑자기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한 가구는 회복력이 상당히 떨어져 있다는 게 복지 전문가들의 견해였는데요.

마침 2년 넘게 지켜온 사회적 거리두기도 오늘, 모두 해제됐잖아요?

이런 위기 가구들도 모두와 함께 다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라는 질문에서 취재를 시작했습니다.

[앵커]

위기 가구의 실태를 살펴보려면 객관적인 데이터가 필요했을 텐데요?

[기자]

취재하면서 가장 먼저 부닥친 게 어디서, 누가, 왜 위기에 빠졌는지 분석한 자료를 구하는 일이었죠.

하지만 기존 통계나 연구 자료에서는 답을 찾지 못했습니다.

고민을 거듭하던 끝에 급성 빈곤의 지표가 될 만한 '긴급 복지제도'를 들여다 봤고요.

부산복지개발원의 도움으로 최근 3년간 부산에서 지원받은 긴급 복지 10만여 건을 전수 분석하게 된 거죠.

코로나19 2년 동안 위기에 빠진 가구의 실태를 처음으로 추적한 건데요.

분석 작업은 쉽지 않았습니다.

자료 한건 한건을 지역, 연령, 위기 사유 등으로 분류해 빅데이터화 하는 데 상당한 시일이 걸렸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긴급 복지제도, 위기 가구와 어떤 연관성이 있나요?

[기자]

2014년 안타까운 일이 있었죠.

서울 송파구에 살던 세 모녀가 생활고에 시달리다 스스로 목숨을 끊었는데요.

사회안전망의 한계가 드러난 이 사건 이후에 강화된 제도가 바로 긴급 복지입니다.

재산이나 근로능력을 기준으로 기초생활보장 제도 밖에 있지만, 생계 유지가 힘들어졌을 때 마지막으로 기댈 수 있는 제도죠.

한시적으로 생계비 등을 지원하는 방식인데요.

지원을 받았다는 건 복지 사각지대에서 갑자기 겪은 위기 때문에 급성 빈곤에 빠진 가구로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 취재진도 긴급 복지 지원 데이터를 토대로 위기 가구를 추적하게 된 겁니다.

[앵커]

이번 주 연속 보도를 이어갈 텐데, 어떤 내용이 담기나요?

[기자]

앞서 강예슬 기자 리포트에서 긴급 복지 지원 현황을 부산의 지역별로 분석해 봤는데요.

코로나19로 인한 상권 타격이 위기 가구 급증으로까지 이어진 걸 알 수 있었죠.

코로나19 이후 긴급 복지를 받은 연령별 분석에서도 눈에 띄게 달라진 점이 확인됐고요.

긴급 복지를 신청한 위기 사유에서도 코로나19의 영향이 확연히 드러났습니다.

저희가 취재 과정에서 긴급 복지를 받았던 분들도 어렵게 만나봤거든요.

이분들의 얘기와 함께 앞으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상세하게 전해드리겠습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긴급 복지 지원의 제도적 한계와 함께 위기를 계속 겪고 있을 가구를 찾고 이분들이 일상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돕는 방안까지 취재해 보도할 예정입니다.

[앵커]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시점에서 관심을 가져야 할 의미 있는 기획인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황현규 기자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빅데이터로 추적한 복지사각…왜 위기가구?
    • 입력 2022-04-18 19:41:30
    • 수정2022-04-18 22:24:59
    뉴스7(부산)
[앵커]

코로나19를 겪는 동안 중산층이라 할 수 있는 많은 가구가 급성 빈곤에 허덕이게 됐다는 건데요.

위기에 빠진 가구들을, 어렵게 섭외해 취재했는데요.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한 얘기 나눠 보겠습니다.

황현규 기자 나와 있습니다.

우선 왜 위기 가구에 주목했는지 궁금한데요?

[기자]

위기가 불평등을 키운다, 이런 공식이 있습니다.

2년 넘게 계속된 코로나19는 우리가 경험해 보지 못한 재난이자, 위기잖아요.

이런 위기 상황에서 갑자기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한 가구는 회복력이 상당히 떨어져 있다는 게 복지 전문가들의 견해였는데요.

마침 2년 넘게 지켜온 사회적 거리두기도 오늘, 모두 해제됐잖아요?

이런 위기 가구들도 모두와 함께 다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라는 질문에서 취재를 시작했습니다.

[앵커]

위기 가구의 실태를 살펴보려면 객관적인 데이터가 필요했을 텐데요?

[기자]

취재하면서 가장 먼저 부닥친 게 어디서, 누가, 왜 위기에 빠졌는지 분석한 자료를 구하는 일이었죠.

하지만 기존 통계나 연구 자료에서는 답을 찾지 못했습니다.

고민을 거듭하던 끝에 급성 빈곤의 지표가 될 만한 '긴급 복지제도'를 들여다 봤고요.

부산복지개발원의 도움으로 최근 3년간 부산에서 지원받은 긴급 복지 10만여 건을 전수 분석하게 된 거죠.

코로나19 2년 동안 위기에 빠진 가구의 실태를 처음으로 추적한 건데요.

분석 작업은 쉽지 않았습니다.

자료 한건 한건을 지역, 연령, 위기 사유 등으로 분류해 빅데이터화 하는 데 상당한 시일이 걸렸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긴급 복지제도, 위기 가구와 어떤 연관성이 있나요?

[기자]

2014년 안타까운 일이 있었죠.

서울 송파구에 살던 세 모녀가 생활고에 시달리다 스스로 목숨을 끊었는데요.

사회안전망의 한계가 드러난 이 사건 이후에 강화된 제도가 바로 긴급 복지입니다.

재산이나 근로능력을 기준으로 기초생활보장 제도 밖에 있지만, 생계 유지가 힘들어졌을 때 마지막으로 기댈 수 있는 제도죠.

한시적으로 생계비 등을 지원하는 방식인데요.

지원을 받았다는 건 복지 사각지대에서 갑자기 겪은 위기 때문에 급성 빈곤에 빠진 가구로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 취재진도 긴급 복지 지원 데이터를 토대로 위기 가구를 추적하게 된 겁니다.

[앵커]

이번 주 연속 보도를 이어갈 텐데, 어떤 내용이 담기나요?

[기자]

앞서 강예슬 기자 리포트에서 긴급 복지 지원 현황을 부산의 지역별로 분석해 봤는데요.

코로나19로 인한 상권 타격이 위기 가구 급증으로까지 이어진 걸 알 수 있었죠.

코로나19 이후 긴급 복지를 받은 연령별 분석에서도 눈에 띄게 달라진 점이 확인됐고요.

긴급 복지를 신청한 위기 사유에서도 코로나19의 영향이 확연히 드러났습니다.

저희가 취재 과정에서 긴급 복지를 받았던 분들도 어렵게 만나봤거든요.

이분들의 얘기와 함께 앞으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상세하게 전해드리겠습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긴급 복지 지원의 제도적 한계와 함께 위기를 계속 겪고 있을 가구를 찾고 이분들이 일상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돕는 방안까지 취재해 보도할 예정입니다.

[앵커]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시점에서 관심을 가져야 할 의미 있는 기획인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황현규 기자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