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가구]③ 코로나가 낳은 新위기가구…‘급성 빈곤’ 빠진 이유는?

입력 2022.04.22 (08:01) 수정 2022.04.22 (08: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약

2년 넘게 이어져 온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됐습니다.

모두가 일상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얘기합니다.

KBS부산총국은 '그렇지 못한' 가구에 주목했습니다.

경험해보지 못한 재난이자 위기인 코로나19를 겪으며 이른바 '급성 빈곤'에 빠진 가구입니다.

부산복지개발원의 도움으로 코로나19 전후 3년간 부산에서 정부로부터 받은 '긴급 복지' 사례 10만여 건을 전수 분석했습니다.

'위기 가구'의 실태를 처음으로 추적한 빅데이터입니다. 이 데이터를 토대로 어렵게 '위기 가구'를 만났습니다.


[연관 기사 보기]
[위기가구]① ‘긴급 복지’ 10만 건 추적…상권 타격받자 ‘급성 빈곤’ 속출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44576&ref=A)
[위기가구]② 코로나19 2년 ‘급성 빈곤’…40~50대에 집중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45349&ref=A)

■ 실직 후 갑자기 닥친 '경제적 위기'

코로나19를 겪는 동안 정부의 긴급 복지를 받은 중년층을 취재하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구청의 협조를 받아 대상자를 찾았지만, 기자와의 만남은 부담스러워 했습니다.

오랜 기다림 끝에 한 여성이 인터뷰에 응했습니다.

8년 동안 보육교사로 일했던 40대 가장이었습니다.

"많이 막막했죠. 앞으로 뭘 할지 고민도 많이 했었고. 잘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40대 긴급 복지 대상자)

이 가장은 지난해 2월, 일자리를 잃었습니다.

어린이집과 재계약을 하지 못했습니다.

실업급여를 받았지만, 생활은 점점 어려워졌습니다.

길을 가다 우연히 긴급 복지 지원 안내문을 봤습니다.

행정복지센터를 찾아 갑자기 경제적인 위기를 겪은 가구에 생계비를 지원한다는 설명을 들었습니다.

"예전처럼 생활이 돌아오려면 제가 취업을 하고 어느 정도 시기가 지났을 때 안정적인 상황이 올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하루 빨리 취업을 해야….
(40대 긴급 복지 대상자)

한시적으로 받은 생계비로는 버티기 힘들었습니다.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려면 안정적인 직장이 절실했습니다.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땄지만, 아직 일자리를 구하지 못했습니다.

자녀 돌봄도 걸림돌이었습니다.

"주간에 일을 할 수 있는 병원은 젊은신 분들을 선호하는 것 같고요. 가정 환경이 3교대를 할 수 있는지도 잘 따져봐야 하니까."
(40대 긴급 복지 대상자)

■ '긴급 복지' 위기 사유 '실직' 급증

생계 유지가 힘들 정도로 갑자기 찾아온 경제적 위기 때 긴급 복지를 신청할 수 있는 경우는 크게 9가지. 주 소득자의 사망이나 질병, 실직과 휴업이나 폐업 등입니다.

KBS는 코로나19 전후인 2019년부터 3년간 부산에서 지원받은 긴급 복지 10만여 건을 위기 사유별로 분석했습니다.

'실직'으로 생계비 등 긴급 복지를 지원받은 게 2019년 2천여 건에서 지난해 9천백여 건으로 급증했습니다.

실직을 이유로 긴급 복지를 받은 비중도 살펴봤습니다.

2019년 부산 전체 긴급 복지 건수 중 실직은 8.8%였습니다.

코로나19 첫해인 2020년 2배가량인 17%로 뛰더니 지난해엔 21%를 차지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주 소득자가 실직한 가구에서 이른바 '급성 빈곤'을 겪는 비중이 많이 늘어난 겁니다.


코로나19로 특히 자영업자의 피해가 컸습니다.

감염병 확산으로 영업 제한이 장기화하며 매출이 급감한 가게가 속출했습니다.

문을 열어도 고정 비용이 나가 손해를 보는 상인들도 많았습니다.

그래서 주 소득자의 '휴업이나 폐업'으로 생계 유지가 힘들어져 긴급 복지를 받은 경우도 분석해 봤습니다.

2019년 340여 건에서 지난해 천450여 건으로 4배 넘게 늘었습니다.


긴급 복지를 신청한 이유 가운데 실직과 휴·폐업, 이 두 가지 사례를 놓고 보니 코로나19 이전엔 전체 위기 사유 중 10% 정도였지만, 지난해 24%까지 증가했습니다.

최근 3년 사이 부산의 임금 노동자는 6만 명 넘게 줄었지만, 자영업자는 오히려 3만 5천 명 늘었습니다.

안정적인 직장을 찾지 못해 어쩔 수 없이 장사로 눈을 돌린 사람이 많았던 겁니다.

이처럼 코로나19를 거치며 고용의 질이 나빠진 게 긴급 복지 대상인 '급성 빈곤' 가구의 급증으로 이어졌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합니다.

그만큼 '실직과 휴·폐업'의 충격파가 컸다는 얘기입니다.


정주영/부산복지개발원 연구위원
"주요 위기 사유를 반영해서 대처할 필요가 있고, 2년에 걸쳐서 있었던 일이지만, 후유증에 대한 대책은 이후에도 계속 마련돼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연속 보도 마지막 편인 위기가구④에서는 긴급 복지제도의 한계와 코로나19 이후 경제적 위기에 빠진 가구의 일상 회복을 돕는 방안을 짚어봅니다.

[연관 리포트 보기]
① 최후의 사회안전망…긴급 복지 10만 건 분석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42862&ref=A)
② 달라진 급성 빈곤…위기 가구 급증한 곳은?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42912&ref=A)
③ 위기의 중장년…긴급 생계비 70%가 40~64세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43855&ref=A)
④ 실직에 휴·폐업…코로나19가 낳은 新 위기 가구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44854&ref=A)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위기가구]③ 코로나가 낳은 新위기가구…‘급성 빈곤’ 빠진 이유는?
    • 입력 2022-04-22 08:01:16
    • 수정2022-04-22 08:03:24
    취재K
2년 넘게 이어져 온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됐습니다.<br /><br />모두가 일상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얘기합니다.<br /><br />KBS부산총국은 '그렇지 못한' 가구에 주목했습니다.<br /><br />경험해보지 못한 재난이자 위기인 코로나19를 겪으며 이른바 '급성 빈곤'에 빠진 가구입니다.<br /><br />부산복지개발원의 도움으로 코로나19 전후 3년간 부산에서 정부로부터 받은 '긴급 복지' 사례 10만여 건을 전수 분석했습니다.<br /><br />'위기 가구'의 실태를 처음으로 추적한 빅데이터입니다. 이 데이터를 토대로 어렵게 '위기 가구'를 만났습니다.

[연관 기사 보기]
[위기가구]① ‘긴급 복지’ 10만 건 추적…상권 타격받자 ‘급성 빈곤’ 속출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44576&ref=A)
[위기가구]② 코로나19 2년 ‘급성 빈곤’…40~50대에 집중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45349&ref=A)

■ 실직 후 갑자기 닥친 '경제적 위기'

코로나19를 겪는 동안 정부의 긴급 복지를 받은 중년층을 취재하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구청의 협조를 받아 대상자를 찾았지만, 기자와의 만남은 부담스러워 했습니다.

오랜 기다림 끝에 한 여성이 인터뷰에 응했습니다.

8년 동안 보육교사로 일했던 40대 가장이었습니다.

"많이 막막했죠. 앞으로 뭘 할지 고민도 많이 했었고. 잘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40대 긴급 복지 대상자)

이 가장은 지난해 2월, 일자리를 잃었습니다.

어린이집과 재계약을 하지 못했습니다.

실업급여를 받았지만, 생활은 점점 어려워졌습니다.

길을 가다 우연히 긴급 복지 지원 안내문을 봤습니다.

행정복지센터를 찾아 갑자기 경제적인 위기를 겪은 가구에 생계비를 지원한다는 설명을 들었습니다.

"예전처럼 생활이 돌아오려면 제가 취업을 하고 어느 정도 시기가 지났을 때 안정적인 상황이 올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하루 빨리 취업을 해야….
(40대 긴급 복지 대상자)

한시적으로 받은 생계비로는 버티기 힘들었습니다.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려면 안정적인 직장이 절실했습니다.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땄지만, 아직 일자리를 구하지 못했습니다.

자녀 돌봄도 걸림돌이었습니다.

"주간에 일을 할 수 있는 병원은 젊은신 분들을 선호하는 것 같고요. 가정 환경이 3교대를 할 수 있는지도 잘 따져봐야 하니까."
(40대 긴급 복지 대상자)

■ '긴급 복지' 위기 사유 '실직' 급증

생계 유지가 힘들 정도로 갑자기 찾아온 경제적 위기 때 긴급 복지를 신청할 수 있는 경우는 크게 9가지. 주 소득자의 사망이나 질병, 실직과 휴업이나 폐업 등입니다.

KBS는 코로나19 전후인 2019년부터 3년간 부산에서 지원받은 긴급 복지 10만여 건을 위기 사유별로 분석했습니다.

'실직'으로 생계비 등 긴급 복지를 지원받은 게 2019년 2천여 건에서 지난해 9천백여 건으로 급증했습니다.

실직을 이유로 긴급 복지를 받은 비중도 살펴봤습니다.

2019년 부산 전체 긴급 복지 건수 중 실직은 8.8%였습니다.

코로나19 첫해인 2020년 2배가량인 17%로 뛰더니 지난해엔 21%를 차지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주 소득자가 실직한 가구에서 이른바 '급성 빈곤'을 겪는 비중이 많이 늘어난 겁니다.


코로나19로 특히 자영업자의 피해가 컸습니다.

감염병 확산으로 영업 제한이 장기화하며 매출이 급감한 가게가 속출했습니다.

문을 열어도 고정 비용이 나가 손해를 보는 상인들도 많았습니다.

그래서 주 소득자의 '휴업이나 폐업'으로 생계 유지가 힘들어져 긴급 복지를 받은 경우도 분석해 봤습니다.

2019년 340여 건에서 지난해 천450여 건으로 4배 넘게 늘었습니다.


긴급 복지를 신청한 이유 가운데 실직과 휴·폐업, 이 두 가지 사례를 놓고 보니 코로나19 이전엔 전체 위기 사유 중 10% 정도였지만, 지난해 24%까지 증가했습니다.

최근 3년 사이 부산의 임금 노동자는 6만 명 넘게 줄었지만, 자영업자는 오히려 3만 5천 명 늘었습니다.

안정적인 직장을 찾지 못해 어쩔 수 없이 장사로 눈을 돌린 사람이 많았던 겁니다.

이처럼 코로나19를 거치며 고용의 질이 나빠진 게 긴급 복지 대상인 '급성 빈곤' 가구의 급증으로 이어졌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합니다.

그만큼 '실직과 휴·폐업'의 충격파가 컸다는 얘기입니다.


정주영/부산복지개발원 연구위원
"주요 위기 사유를 반영해서 대처할 필요가 있고, 2년에 걸쳐서 있었던 일이지만, 후유증에 대한 대책은 이후에도 계속 마련돼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연속 보도 마지막 편인 위기가구④에서는 긴급 복지제도의 한계와 코로나19 이후 경제적 위기에 빠진 가구의 일상 회복을 돕는 방안을 짚어봅니다.

[연관 리포트 보기]
① 최후의 사회안전망…긴급 복지 10만 건 분석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42862&ref=A)
② 달라진 급성 빈곤…위기 가구 급증한 곳은?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42912&ref=A)
③ 위기의 중장년…긴급 생계비 70%가 40~64세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43855&ref=A)
④ 실직에 휴·폐업…코로나19가 낳은 新 위기 가구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44854&ref=A)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