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돈 빌려쓴 저개발 국가들…무더기 외환위기 오나?

입력 2022.04.25 (10:45) 수정 2022.04.25 (11: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중국은 10여 년 전부터 아시아와 아프리카 국가들의 인프라개발을 위해 천문학적인 돈을 빌려주고 있는데요.

코로나와 또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면서 이 돈을 빌려 쓴 수많은 저개발 국가들의 외환위기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방콕 김원장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파키스탄은 항만과 철도건설 등을 위해 중국에서 50조 원 가까이 지원을 받았습니다.

이 빚을 갚느라 지난 2019년 결국 국제통화기금 IMF로부터 돈을 빌린 파키스탄 정부는 최근 달러가 바닥나 또 IMF 구제금융을 신청했습니다.

'임란 칸' 총리는 해임됐습니다.

[사다르 아야즈 사디크/파키스탄 의회 대변인 : "파키스탄 이슬람 공화국의 총리인 '임란 칸'에 대한 불신임 투표 결의안은 전체 국회 의원의 과반수로 통과되었습니다."]

역시 중국 자본을 빌려와 건설한 우간다의 '엔테베' 공항, 하지만 돈을 갚지 못하자 운영권을 중국에 넘겨야 한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라오스와 캄보디아 등 동남아 국가들은 물론, 탄자니아와 케냐 등 거의 모든 아프리카 국가들이 중국으로부터 빌린 돈을 갚지 못하고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의 개발 원조는 대부분 대출 형식으로 이자율도 높습니다.

상환 기간도 짧고 특히 돈을 갚지 못하면 공항이나 항만 등의 운영권을 대신 가져가는 방식입니다.

역시 중국 자본으로 건설된 스리랑카의 '함반토타항', 부채를 갚지 못하자 운영권이 중국항만공사로 넘어갔습니다.

스리랑카 정부는 결국 채무불이행을 선언했습니다.

[중국항만공사 관계자 : "함반토타항은 중국의 (중국 선전의) 서커우항처럼 될겁니다. 우리는 함반토타항을 서커우항의 번영과 도시개발 모델로 추진할 겁니다."]

국제통화기금, IMF는 중국 빚을 갚기 위한 대출은 어렵다는 입장이여서, 당장 IMF 구제금융을 받기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개발원조가 아니라 고리대금업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태국이나 말레이시아 등 일부 국가들은 이미 대규모 중국 원조 프로젝트를 축소하고 있습니다.

방콕에서 KBS 뉴스 김원장입니다.

영상편집:고응용/자료조사:안소현/그래픽:이경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돈 빌려쓴 저개발 국가들…무더기 외환위기 오나?
    • 입력 2022-04-25 10:45:31
    • 수정2022-04-25 11:00:34
    지구촌뉴스
[앵커]

중국은 10여 년 전부터 아시아와 아프리카 국가들의 인프라개발을 위해 천문학적인 돈을 빌려주고 있는데요.

코로나와 또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면서 이 돈을 빌려 쓴 수많은 저개발 국가들의 외환위기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방콕 김원장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파키스탄은 항만과 철도건설 등을 위해 중국에서 50조 원 가까이 지원을 받았습니다.

이 빚을 갚느라 지난 2019년 결국 국제통화기금 IMF로부터 돈을 빌린 파키스탄 정부는 최근 달러가 바닥나 또 IMF 구제금융을 신청했습니다.

'임란 칸' 총리는 해임됐습니다.

[사다르 아야즈 사디크/파키스탄 의회 대변인 : "파키스탄 이슬람 공화국의 총리인 '임란 칸'에 대한 불신임 투표 결의안은 전체 국회 의원의 과반수로 통과되었습니다."]

역시 중국 자본을 빌려와 건설한 우간다의 '엔테베' 공항, 하지만 돈을 갚지 못하자 운영권을 중국에 넘겨야 한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라오스와 캄보디아 등 동남아 국가들은 물론, 탄자니아와 케냐 등 거의 모든 아프리카 국가들이 중국으로부터 빌린 돈을 갚지 못하고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의 개발 원조는 대부분 대출 형식으로 이자율도 높습니다.

상환 기간도 짧고 특히 돈을 갚지 못하면 공항이나 항만 등의 운영권을 대신 가져가는 방식입니다.

역시 중국 자본으로 건설된 스리랑카의 '함반토타항', 부채를 갚지 못하자 운영권이 중국항만공사로 넘어갔습니다.

스리랑카 정부는 결국 채무불이행을 선언했습니다.

[중국항만공사 관계자 : "함반토타항은 중국의 (중국 선전의) 서커우항처럼 될겁니다. 우리는 함반토타항을 서커우항의 번영과 도시개발 모델로 추진할 겁니다."]

국제통화기금, IMF는 중국 빚을 갚기 위한 대출은 어렵다는 입장이여서, 당장 IMF 구제금융을 받기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개발원조가 아니라 고리대금업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태국이나 말레이시아 등 일부 국가들은 이미 대규모 중국 원조 프로젝트를 축소하고 있습니다.

방콕에서 KBS 뉴스 김원장입니다.

영상편집:고응용/자료조사:안소현/그래픽:이경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