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도시 곳곳의 소하천과 실개천 등의 수변 공간을 재편하는 ‘지천 르네상스’ 사업의 명칭을 ‘서울형 수변감성도시’로 변경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합니다.
서울시는 오늘(28일) 시민들에게 더 가깝게 다가간다는 취지에서 ‘서울형 수변감성도시’로 사업 명칭을 바꾸고, 도림천과 정릉천, 홍제천 중·상류 등 4곳에 시범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우선 신원시장과 순대타운 등 지역상권과 가까운 도림천은 음식과 문화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수변 테라스와 쉼터 등을 조성해 지역경제 활력을 유도하기로 했습니다.
정릉천은 주변 경관을 해치고 이용도도 떨어졌던 애물단지 복개구조물을 스포츠와 문화 등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시킬 계획입니다.
또 홍제천 중류 인공폭포 주변에는 노천카페를 조성하고, 홍제천 상류에는 수려한 암반 경관과 역사 문화재인 홍지문과 탕춘대성과 연계해 명소화를 추진합니다.
서울시는 이와 함께 대부분 말라 있고 수심이 얕은 하천의 수심을 30cm까지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하수재처리수와 유출 지하수 등 도시 물 자원을 적극 활용할 계획입니다.
또 수변공간이 최대한 활용될 수 있도록 도시계획 지침을 신설하고, 하천법과 건축법 등 관련 법 개정도 정부에 건의할 방침입니다.
서울시는 4개 시범사업을 우선 추진하고, 2030년까지 이보다 큰 규모의 권역 단위의 ‘공공친수지구’를 중랑천, 안양천 등 5곳에 조성할 예정입니다.
또 동네하천에는 수변테라스 카페, 쉼터 등 ‘수변활력지점’ 30곳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오늘 홍제천 인공폭포를 찾아 “서울형 수변감성도시는 수변을 구심점으로 서울 전역을 매력적인 수세권으로 재편하는 작업이고, 서울 전역을 흐르는 하천을 새로운 서울의 매력거점으로 재편해 한 차원 높은 삶을 누릴 수 있는 일상의 여건을 제공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서울형 수변감성도시는 오세훈 시장이 향후 10년간 서울시정의 기본 방향을 망라한 ‘서울비전 2030’에서 제시한 핵심과제입니다.
서울시는 오늘(28일) 시민들에게 더 가깝게 다가간다는 취지에서 ‘서울형 수변감성도시’로 사업 명칭을 바꾸고, 도림천과 정릉천, 홍제천 중·상류 등 4곳에 시범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우선 신원시장과 순대타운 등 지역상권과 가까운 도림천은 음식과 문화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수변 테라스와 쉼터 등을 조성해 지역경제 활력을 유도하기로 했습니다.
정릉천은 주변 경관을 해치고 이용도도 떨어졌던 애물단지 복개구조물을 스포츠와 문화 등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시킬 계획입니다.
또 홍제천 중류 인공폭포 주변에는 노천카페를 조성하고, 홍제천 상류에는 수려한 암반 경관과 역사 문화재인 홍지문과 탕춘대성과 연계해 명소화를 추진합니다.
서울시는 이와 함께 대부분 말라 있고 수심이 얕은 하천의 수심을 30cm까지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하수재처리수와 유출 지하수 등 도시 물 자원을 적극 활용할 계획입니다.
또 수변공간이 최대한 활용될 수 있도록 도시계획 지침을 신설하고, 하천법과 건축법 등 관련 법 개정도 정부에 건의할 방침입니다.
서울시는 4개 시범사업을 우선 추진하고, 2030년까지 이보다 큰 규모의 권역 단위의 ‘공공친수지구’를 중랑천, 안양천 등 5곳에 조성할 예정입니다.
또 동네하천에는 수변테라스 카페, 쉼터 등 ‘수변활력지점’ 30곳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오늘 홍제천 인공폭포를 찾아 “서울형 수변감성도시는 수변을 구심점으로 서울 전역을 매력적인 수세권으로 재편하는 작업이고, 서울 전역을 흐르는 하천을 새로운 서울의 매력거점으로 재편해 한 차원 높은 삶을 누릴 수 있는 일상의 여건을 제공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서울형 수변감성도시는 오세훈 시장이 향후 10년간 서울시정의 기본 방향을 망라한 ‘서울비전 2030’에서 제시한 핵심과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시, ‘서울형 수변감성도시’ 본격 추진…4개 시범사업 실시
-
- 입력 2022-04-28 14:21:10
서울시가 도시 곳곳의 소하천과 실개천 등의 수변 공간을 재편하는 ‘지천 르네상스’ 사업의 명칭을 ‘서울형 수변감성도시’로 변경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합니다.
서울시는 오늘(28일) 시민들에게 더 가깝게 다가간다는 취지에서 ‘서울형 수변감성도시’로 사업 명칭을 바꾸고, 도림천과 정릉천, 홍제천 중·상류 등 4곳에 시범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우선 신원시장과 순대타운 등 지역상권과 가까운 도림천은 음식과 문화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수변 테라스와 쉼터 등을 조성해 지역경제 활력을 유도하기로 했습니다.
정릉천은 주변 경관을 해치고 이용도도 떨어졌던 애물단지 복개구조물을 스포츠와 문화 등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시킬 계획입니다.
또 홍제천 중류 인공폭포 주변에는 노천카페를 조성하고, 홍제천 상류에는 수려한 암반 경관과 역사 문화재인 홍지문과 탕춘대성과 연계해 명소화를 추진합니다.
서울시는 이와 함께 대부분 말라 있고 수심이 얕은 하천의 수심을 30cm까지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하수재처리수와 유출 지하수 등 도시 물 자원을 적극 활용할 계획입니다.
또 수변공간이 최대한 활용될 수 있도록 도시계획 지침을 신설하고, 하천법과 건축법 등 관련 법 개정도 정부에 건의할 방침입니다.
서울시는 4개 시범사업을 우선 추진하고, 2030년까지 이보다 큰 규모의 권역 단위의 ‘공공친수지구’를 중랑천, 안양천 등 5곳에 조성할 예정입니다.
또 동네하천에는 수변테라스 카페, 쉼터 등 ‘수변활력지점’ 30곳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오늘 홍제천 인공폭포를 찾아 “서울형 수변감성도시는 수변을 구심점으로 서울 전역을 매력적인 수세권으로 재편하는 작업이고, 서울 전역을 흐르는 하천을 새로운 서울의 매력거점으로 재편해 한 차원 높은 삶을 누릴 수 있는 일상의 여건을 제공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서울형 수변감성도시는 오세훈 시장이 향후 10년간 서울시정의 기본 방향을 망라한 ‘서울비전 2030’에서 제시한 핵심과제입니다.
서울시는 오늘(28일) 시민들에게 더 가깝게 다가간다는 취지에서 ‘서울형 수변감성도시’로 사업 명칭을 바꾸고, 도림천과 정릉천, 홍제천 중·상류 등 4곳에 시범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우선 신원시장과 순대타운 등 지역상권과 가까운 도림천은 음식과 문화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수변 테라스와 쉼터 등을 조성해 지역경제 활력을 유도하기로 했습니다.
정릉천은 주변 경관을 해치고 이용도도 떨어졌던 애물단지 복개구조물을 스포츠와 문화 등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시킬 계획입니다.
또 홍제천 중류 인공폭포 주변에는 노천카페를 조성하고, 홍제천 상류에는 수려한 암반 경관과 역사 문화재인 홍지문과 탕춘대성과 연계해 명소화를 추진합니다.
서울시는 이와 함께 대부분 말라 있고 수심이 얕은 하천의 수심을 30cm까지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하수재처리수와 유출 지하수 등 도시 물 자원을 적극 활용할 계획입니다.
또 수변공간이 최대한 활용될 수 있도록 도시계획 지침을 신설하고, 하천법과 건축법 등 관련 법 개정도 정부에 건의할 방침입니다.
서울시는 4개 시범사업을 우선 추진하고, 2030년까지 이보다 큰 규모의 권역 단위의 ‘공공친수지구’를 중랑천, 안양천 등 5곳에 조성할 예정입니다.
또 동네하천에는 수변테라스 카페, 쉼터 등 ‘수변활력지점’ 30곳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오늘 홍제천 인공폭포를 찾아 “서울형 수변감성도시는 수변을 구심점으로 서울 전역을 매력적인 수세권으로 재편하는 작업이고, 서울 전역을 흐르는 하천을 새로운 서울의 매력거점으로 재편해 한 차원 높은 삶을 누릴 수 있는 일상의 여건을 제공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서울형 수변감성도시는 오세훈 시장이 향후 10년간 서울시정의 기본 방향을 망라한 ‘서울비전 2030’에서 제시한 핵심과제입니다.
-
-
김민철 기자 mckim@kbs.co.kr
김민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