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NSC 상임위 “北 열병식 동향 정밀분석”
입력 2022.04.28 (19:00)
수정 2022.04.28 (19: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와대는 오늘(28일) 서훈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회의를 열고 북한의 핵·미사일 관련 동향을 점검했습니다.
상임위원들은 회의에서 우선 서해 북방한계선(NLL) 수역을 비롯한 접경지역 군사 동향을 살펴보고 한국 군의 감시·경계 태세를 점검했습니다.
특히 한미 간 긴밀한 공조 하에 최근 북한군 열병식 동향을 정밀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군과 한미연합의 실질적 대응 능력을 지속 강화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상임위원들은 또 정부 교체기에 안정적인 마무리와 원만한 정권 이양을 위해 확고한 안보태세 유지와 상황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우크라이나 전황과 대응 동향을 점검했고 국민들에게 허가 없이 우크라이나에 입국하지 말 것, 이미 입국한 경우 조속히 출국할 것 등을 당부했습니다.
또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하면서 우리 국민의 안전 확보와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등 필요한 조치를 계속 취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북한 조선중앙통신]
상임위원들은 회의에서 우선 서해 북방한계선(NLL) 수역을 비롯한 접경지역 군사 동향을 살펴보고 한국 군의 감시·경계 태세를 점검했습니다.
특히 한미 간 긴밀한 공조 하에 최근 북한군 열병식 동향을 정밀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군과 한미연합의 실질적 대응 능력을 지속 강화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상임위원들은 또 정부 교체기에 안정적인 마무리와 원만한 정권 이양을 위해 확고한 안보태세 유지와 상황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우크라이나 전황과 대응 동향을 점검했고 국민들에게 허가 없이 우크라이나에 입국하지 말 것, 이미 입국한 경우 조속히 출국할 것 등을 당부했습니다.
또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하면서 우리 국민의 안전 확보와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등 필요한 조치를 계속 취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북한 조선중앙통신]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靑 NSC 상임위 “北 열병식 동향 정밀분석”
-
- 입력 2022-04-28 19:00:19
- 수정2022-04-28 19:26:55
청와대는 오늘(28일) 서훈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회의를 열고 북한의 핵·미사일 관련 동향을 점검했습니다.
상임위원들은 회의에서 우선 서해 북방한계선(NLL) 수역을 비롯한 접경지역 군사 동향을 살펴보고 한국 군의 감시·경계 태세를 점검했습니다.
특히 한미 간 긴밀한 공조 하에 최근 북한군 열병식 동향을 정밀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군과 한미연합의 실질적 대응 능력을 지속 강화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상임위원들은 또 정부 교체기에 안정적인 마무리와 원만한 정권 이양을 위해 확고한 안보태세 유지와 상황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우크라이나 전황과 대응 동향을 점검했고 국민들에게 허가 없이 우크라이나에 입국하지 말 것, 이미 입국한 경우 조속히 출국할 것 등을 당부했습니다.
또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하면서 우리 국민의 안전 확보와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등 필요한 조치를 계속 취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북한 조선중앙통신]
상임위원들은 회의에서 우선 서해 북방한계선(NLL) 수역을 비롯한 접경지역 군사 동향을 살펴보고 한국 군의 감시·경계 태세를 점검했습니다.
특히 한미 간 긴밀한 공조 하에 최근 북한군 열병식 동향을 정밀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군과 한미연합의 실질적 대응 능력을 지속 강화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상임위원들은 또 정부 교체기에 안정적인 마무리와 원만한 정권 이양을 위해 확고한 안보태세 유지와 상황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우크라이나 전황과 대응 동향을 점검했고 국민들에게 허가 없이 우크라이나에 입국하지 말 것, 이미 입국한 경우 조속히 출국할 것 등을 당부했습니다.
또 국제사회와 긴밀히 협력하면서 우리 국민의 안전 확보와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 등 필요한 조치를 계속 취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북한 조선중앙통신]
-
-
이철호 기자 manjeok@kbs.co.kr
이철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