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청소년 절반 부모 폭력 경험…가족 갈등이 가출 주 원인”
입력 2022.04.29 (00:10)
수정 2022.04.29 (00: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위기 청소년은 78만 명으로 추산됩니다.
가정이나 학업, 사회 적응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지난해 정부가 '위기 청소년' 4천 3백여 명을 대상으로 첫 실태조사를 벌였는데요, 절반 가까이가 부모 등 보호자로부터 신체나 언어 폭력을 당했습니다.
최근 1년간 가출한 적이 있다는 청소년은 20%가 넘었는데, 가족과의 갈등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가정 밖 생활을 하는 동안에는 친구나 선후배 도움을 가장 많이 받았고 어려울 때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는 비율은 11% 였습니다.
응답자의 25% 이상이 최근 1년 안에 우울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했고, 자해를 시도한 경우는 18%를 넘었습니다.
극단적 시도를 한 경우도 10명 가운데 한 명꼴이었는데, 여성 청소년이 남성의 두 배 이상이었습니다.
위기 청소년들은 일자리 제공과 직업 교육, 건강 검진 제공 등의 지원을 원했습니다.
정부는 3년마다 실태조사를 실시해 청소년 복지 정책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앵커 브리핑이었습니다.
가정이나 학업, 사회 적응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지난해 정부가 '위기 청소년' 4천 3백여 명을 대상으로 첫 실태조사를 벌였는데요, 절반 가까이가 부모 등 보호자로부터 신체나 언어 폭력을 당했습니다.
최근 1년간 가출한 적이 있다는 청소년은 20%가 넘었는데, 가족과의 갈등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가정 밖 생활을 하는 동안에는 친구나 선후배 도움을 가장 많이 받았고 어려울 때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는 비율은 11% 였습니다.
응답자의 25% 이상이 최근 1년 안에 우울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했고, 자해를 시도한 경우는 18%를 넘었습니다.
극단적 시도를 한 경우도 10명 가운데 한 명꼴이었는데, 여성 청소년이 남성의 두 배 이상이었습니다.
위기 청소년들은 일자리 제공과 직업 교육, 건강 검진 제공 등의 지원을 원했습니다.
정부는 3년마다 실태조사를 실시해 청소년 복지 정책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앵커 브리핑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위기 청소년 절반 부모 폭력 경험…가족 갈등이 가출 주 원인”
-
- 입력 2022-04-29 00:10:11
- 수정2022-04-29 00:15:14
![](/data/news/title_image/newsmp4/newsline/2022/04/28/130_5451776.jpg)
우리나라 위기 청소년은 78만 명으로 추산됩니다.
가정이나 학업, 사회 적응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지난해 정부가 '위기 청소년' 4천 3백여 명을 대상으로 첫 실태조사를 벌였는데요, 절반 가까이가 부모 등 보호자로부터 신체나 언어 폭력을 당했습니다.
최근 1년간 가출한 적이 있다는 청소년은 20%가 넘었는데, 가족과의 갈등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가정 밖 생활을 하는 동안에는 친구나 선후배 도움을 가장 많이 받았고 어려울 때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는 비율은 11% 였습니다.
응답자의 25% 이상이 최근 1년 안에 우울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했고, 자해를 시도한 경우는 18%를 넘었습니다.
극단적 시도를 한 경우도 10명 가운데 한 명꼴이었는데, 여성 청소년이 남성의 두 배 이상이었습니다.
위기 청소년들은 일자리 제공과 직업 교육, 건강 검진 제공 등의 지원을 원했습니다.
정부는 3년마다 실태조사를 실시해 청소년 복지 정책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앵커 브리핑이었습니다.
가정이나 학업, 사회 적응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지난해 정부가 '위기 청소년' 4천 3백여 명을 대상으로 첫 실태조사를 벌였는데요, 절반 가까이가 부모 등 보호자로부터 신체나 언어 폭력을 당했습니다.
최근 1년간 가출한 적이 있다는 청소년은 20%가 넘었는데, 가족과의 갈등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습니다.
가정 밖 생활을 하는 동안에는 친구나 선후배 도움을 가장 많이 받았고 어려울 때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는 비율은 11% 였습니다.
응답자의 25% 이상이 최근 1년 안에 우울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했고, 자해를 시도한 경우는 18%를 넘었습니다.
극단적 시도를 한 경우도 10명 가운데 한 명꼴이었는데, 여성 청소년이 남성의 두 배 이상이었습니다.
위기 청소년들은 일자리 제공과 직업 교육, 건강 검진 제공 등의 지원을 원했습니다.
정부는 3년마다 실태조사를 실시해 청소년 복지 정책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지금까지 앵커 브리핑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