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만에 또 확진? 90일 전 재감염 보고 잇따라

입력 2022.04.29 (07:00) 수정 2022.04.29 (08: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 확진자가 늘면서 재감염 사례도 함께 증가하고 있습니다. 재감염이란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됐다 회복한 사람이 나중에 다시 코로나에 걸리는 경우를 말합니다.

각국의 보건당국은 이런 경우에도 이전 감염에서 회복한 후 90일간은 재감염되지 않는다고 설명해왔습니다. 일단 감염에서 회복하면 면역력이 높아져 감염 위험이 낮아졌다가, 이후 면역력이 감소하면서 다시 걸릴 수 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최근 재감염 간격이 90일보다 짧은 사례가 세계에서 잇따라 보고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습니다.

■ 오미크론 '재감염 발생률' 3배 이상

먼저 전 세계적으로 재감염 사례가 급증한 이유는 감염력이 높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유행 때문입니다. 세계 각국의 재감염 사례는 오미크론 바이러스 이전과 이후에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오미크론이 유행하기 전인 2020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2차례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 사례는 553명에 그쳤습니다. 전체 확진자 가운데 재감염 추정 사례를 백분율로 나타낸 재감염 추정 사례 발생률은 0.10%에 불과했습니다.

그런데 오미크론이 유행하면서 재감염 추정 사례는 급증했고, 발생률도 3배 이상 높아졌습니다.


우리나라보다 먼저 오미크론 유행의 절정기를 겪은 영국은 더욱 큰 변화를 보여줍니다. 영국 정부는 옥스포드대학, 맨체스터대학과 함께 2020년 7월부터 2022년 3월까지 재감염자 3,540명을 포함한 3만 7,298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감염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오미크론 유행이 절정이었던 시기, 10만 명당 재감염 발생률은 오미크론 이전 시기보다 10배 정도 급증했습니다. 감염병학자인 프랑수아 발루스 영국 UCL 대학 교수는 최근 영국 코로나19 확진자의 12%는 재감염자라고 분석하기도 했습니다.

■ 감염 20일 만에 재감염되기도

재감염 사례가 늘면서, 이전 감염과 재감염까지의 간격이 90일이라는 기존의 설명에서 벗어나는 사례가 속속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달 초 발행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의 보고서에 따르면, 90일이 채 안 돼 재감염된 사례가 10명 확인됐습니다. 이 중에는 코로나에 감염됐다 회복한 지 23일 만에 재감염된 사례도 있었습니다.

스페인에서는 31살의 여성 환자가 델타 바이러스에 감염된 지 20일 만에 오미크론에 재감염된 사례가 보고됐습니다. 이 환자는 코로나 백신을 추가 접종한 지 12일 뒤에 델타 바이러스에 감염됐는데, 무증상 상태를 유지했습니다. 그로부터 20일 뒤에 기침과 열이 나타나 다시 검사했더니, 처음과 달리 오미크론에 재감염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오미크론의 서로 다른 하위 변이에서 재감염되는 사례도, 드물지만 발견되고 있습니다. 덴마크의 연구에 따르면 187명의 재감염 사례에서 47명이 오미크론 BA.1에 이어 BA.2에 감염된 것으로 보고됐습니다. 재감염 간격은 20일에서 60일 사이로, 통상적인 재감염 간격 90일보다 짧았습니다.

연구진들은 재감염자의 대부분이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젊은이로, 증상이 경미했다고 밝혔습니다. 1, 2차 감염 모두 중증도에서 차이는 없었습니다.


■ 첫 감염 때 경증 환자, 재감염 위험 높아

누가 재감염에 취약한지 고위험군에 대한 분석은 이제 시작되고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영국의 코로나 감염 조사에서는 백신 접종자보다 백신 미접종자에서, 노년층보다 젊은 층에서 재감염자가 많았습니다.

또, 첫 감염 당시 바이러스양이 적었던 경증환자일수록 재감염 위험이 컸습니다. 연구진은 첫 감염 당시 면역 반응이 약했던 것과 재감염이 연관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주거환경도 재감염 발생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열악한 주거환경에 있을수록 재감염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재감염에 대한 연구는 이제 시작 단계입니다. 전문가들은 재감염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밝혀야 할 점이 적지 않다고 말합니다. 재감염 이후의 전파 위험성, 재감염 이후의 코로나 후유증(long covid)에 대해서는 아직 파악된 사실이 별로 없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0일 만에 또 확진? 90일 전 재감염 보고 잇따라
    • 입력 2022-04-29 07:00:40
    • 수정2022-04-29 08:47:54
    취재K

코로나 확진자가 늘면서 재감염 사례도 함께 증가하고 있습니다. 재감염이란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됐다 회복한 사람이 나중에 다시 코로나에 걸리는 경우를 말합니다.

각국의 보건당국은 이런 경우에도 이전 감염에서 회복한 후 90일간은 재감염되지 않는다고 설명해왔습니다. 일단 감염에서 회복하면 면역력이 높아져 감염 위험이 낮아졌다가, 이후 면역력이 감소하면서 다시 걸릴 수 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최근 재감염 간격이 90일보다 짧은 사례가 세계에서 잇따라 보고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습니다.

■ 오미크론 '재감염 발생률' 3배 이상

먼저 전 세계적으로 재감염 사례가 급증한 이유는 감염력이 높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유행 때문입니다. 세계 각국의 재감염 사례는 오미크론 바이러스 이전과 이후에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오미크론이 유행하기 전인 2020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2차례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 사례는 553명에 그쳤습니다. 전체 확진자 가운데 재감염 추정 사례를 백분율로 나타낸 재감염 추정 사례 발생률은 0.10%에 불과했습니다.

그런데 오미크론이 유행하면서 재감염 추정 사례는 급증했고, 발생률도 3배 이상 높아졌습니다.


우리나라보다 먼저 오미크론 유행의 절정기를 겪은 영국은 더욱 큰 변화를 보여줍니다. 영국 정부는 옥스포드대학, 맨체스터대학과 함께 2020년 7월부터 2022년 3월까지 재감염자 3,540명을 포함한 3만 7,298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감염 조사를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오미크론 유행이 절정이었던 시기, 10만 명당 재감염 발생률은 오미크론 이전 시기보다 10배 정도 급증했습니다. 감염병학자인 프랑수아 발루스 영국 UCL 대학 교수는 최근 영국 코로나19 확진자의 12%는 재감염자라고 분석하기도 했습니다.

■ 감염 20일 만에 재감염되기도

재감염 사례가 늘면서, 이전 감염과 재감염까지의 간격이 90일이라는 기존의 설명에서 벗어나는 사례가 속속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달 초 발행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의 보고서에 따르면, 90일이 채 안 돼 재감염된 사례가 10명 확인됐습니다. 이 중에는 코로나에 감염됐다 회복한 지 23일 만에 재감염된 사례도 있었습니다.

스페인에서는 31살의 여성 환자가 델타 바이러스에 감염된 지 20일 만에 오미크론에 재감염된 사례가 보고됐습니다. 이 환자는 코로나 백신을 추가 접종한 지 12일 뒤에 델타 바이러스에 감염됐는데, 무증상 상태를 유지했습니다. 그로부터 20일 뒤에 기침과 열이 나타나 다시 검사했더니, 처음과 달리 오미크론에 재감염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오미크론의 서로 다른 하위 변이에서 재감염되는 사례도, 드물지만 발견되고 있습니다. 덴마크의 연구에 따르면 187명의 재감염 사례에서 47명이 오미크론 BA.1에 이어 BA.2에 감염된 것으로 보고됐습니다. 재감염 간격은 20일에서 60일 사이로, 통상적인 재감염 간격 90일보다 짧았습니다.

연구진들은 재감염자의 대부분이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젊은이로, 증상이 경미했다고 밝혔습니다. 1, 2차 감염 모두 중증도에서 차이는 없었습니다.


■ 첫 감염 때 경증 환자, 재감염 위험 높아

누가 재감염에 취약한지 고위험군에 대한 분석은 이제 시작되고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영국의 코로나 감염 조사에서는 백신 접종자보다 백신 미접종자에서, 노년층보다 젊은 층에서 재감염자가 많았습니다.

또, 첫 감염 당시 바이러스양이 적었던 경증환자일수록 재감염 위험이 컸습니다. 연구진은 첫 감염 당시 면역 반응이 약했던 것과 재감염이 연관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주거환경도 재감염 발생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열악한 주거환경에 있을수록 재감염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재감염에 대한 연구는 이제 시작 단계입니다. 전문가들은 재감염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밝혀야 할 점이 적지 않다고 말합니다. 재감염 이후의 전파 위험성, 재감염 이후의 코로나 후유증(long covid)에 대해서는 아직 파악된 사실이 별로 없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