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가상화폐 시가총액 반년 만에 1,300조 원 증발

입력 2022.05.14 (00: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글로벌 가상화폐 전체 시가총액이 반년 만에 1조 달러(약 1,284조 원) 이상 증발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현지시각 13일 전했습니다.

가상화폐 대장 격인 비트코인이 지난해 11월 9일 6만 7,802.30달러로 사상 최고가를 찍은 지 6개월 만에 58% 급락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최근 7일 연속 하락한 비트코인은 이 기간에만 29% 떨어져 투자자들을 불안하게 만들었습니다.

시총 기준 2위 가상화폐인 이더리움 역시 지난해 11월 최고점에서 60% 급락했습니다.

가상화폐는 지난해 테슬라의 15억 달러 상당 비트코인 매수, 거래소인 코인베이스의 뉴욕증시 상장, 월가 금융기관들의 투자 허용 등에 힘입어 주류 투자수단의 반열에 올라 뜨거운 한 해를 보냈습니다.

퓨리서치센터 여론조사 결과 가상화폐를 소유한 미국인 비율은 2015년 1%에서 지난해 16%로 급증했습니다.

최근 들어 가상화폐 시장의 분위기가 급변한 데에는 한국산 가상화폐 루나와 테라USD(UST)의 폭락 사태를 비롯해 일부 스테이블코인의 달러 연동이 무너진 사건이 작지 않은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그러나 현재 가상화폐 시장 전반을 움직이는 동력은 인플레이션 심화와 물가상승 억제를 위한 주요국들의 금리 인상, 이에 따른 위험자산 투매 현상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한마디로 투자자들은 금융시장의 변곡점을 예의주시하는 상황이라고 WSJ은 분석했습니다.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 조치가 경제성장을 둔화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 투자자들이 가상화폐와 기술주 등 위험자산을 포트폴리오에서 덜어내는 분위기라는 것입니다.

비트코인 열풍 속에 대형 투자은행과 헤지펀드들이 가상화폐 투자에 나선 것은 '양날의 검'이 됐습니다.

원래 개인투자자들 간의 머니게임이었던 가상화폐 시장을 기관투자자와 헤지펀드가 지배하게 되면서 하락기 때 손실이 더 악화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물가상승 우려로 가상화폐가 급락하는 현 상황은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가상화폐가 '인플레이션 헤지'(화폐가치 하락에 따른 위험회피를 위해 자산에 투자하는 것) 수단이 될 것이라던 일부 전문가들의 관측을 무색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플레이션이 절정에 달한 지난 1분기 코인베이스는 오히려 이용자 수가 감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회사 주가는 지난해 상장 직후와 비교해 82% 폭락한 상태입니다.

다만 비트코인은 이날 오전 현재 24시간 전보다 7%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3만 달러 선을 회복했습니다.

전날 비트코인은 2020년 12월 이후 최저가인 2만 5천 달러대까지 찍은 바 있습니다.

그러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이번 주 주간 하락률은 각각 15%, 22%로 지난해 5월 이후 최악의 한 주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 3만 달러 선은 비트코인의 심리적 저항선으로 여겨진다는 점에서 향후 비트코인이 반등폭을 끌어올리지 못하고 다시 3만 달러 아래로 내려갈 경우 추가 하락이 염려된다고 CNBC는 내다봤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글로벌 가상화폐 시가총액 반년 만에 1,300조 원 증발
    • 입력 2022-05-14 00:57:14
    국제
글로벌 가상화폐 전체 시가총액이 반년 만에 1조 달러(약 1,284조 원) 이상 증발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현지시각 13일 전했습니다.

가상화폐 대장 격인 비트코인이 지난해 11월 9일 6만 7,802.30달러로 사상 최고가를 찍은 지 6개월 만에 58% 급락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최근 7일 연속 하락한 비트코인은 이 기간에만 29% 떨어져 투자자들을 불안하게 만들었습니다.

시총 기준 2위 가상화폐인 이더리움 역시 지난해 11월 최고점에서 60% 급락했습니다.

가상화폐는 지난해 테슬라의 15억 달러 상당 비트코인 매수, 거래소인 코인베이스의 뉴욕증시 상장, 월가 금융기관들의 투자 허용 등에 힘입어 주류 투자수단의 반열에 올라 뜨거운 한 해를 보냈습니다.

퓨리서치센터 여론조사 결과 가상화폐를 소유한 미국인 비율은 2015년 1%에서 지난해 16%로 급증했습니다.

최근 들어 가상화폐 시장의 분위기가 급변한 데에는 한국산 가상화폐 루나와 테라USD(UST)의 폭락 사태를 비롯해 일부 스테이블코인의 달러 연동이 무너진 사건이 작지 않은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그러나 현재 가상화폐 시장 전반을 움직이는 동력은 인플레이션 심화와 물가상승 억제를 위한 주요국들의 금리 인상, 이에 따른 위험자산 투매 현상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한마디로 투자자들은 금융시장의 변곡점을 예의주시하는 상황이라고 WSJ은 분석했습니다.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 조치가 경제성장을 둔화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 투자자들이 가상화폐와 기술주 등 위험자산을 포트폴리오에서 덜어내는 분위기라는 것입니다.

비트코인 열풍 속에 대형 투자은행과 헤지펀드들이 가상화폐 투자에 나선 것은 '양날의 검'이 됐습니다.

원래 개인투자자들 간의 머니게임이었던 가상화폐 시장을 기관투자자와 헤지펀드가 지배하게 되면서 하락기 때 손실이 더 악화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물가상승 우려로 가상화폐가 급락하는 현 상황은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가상화폐가 '인플레이션 헤지'(화폐가치 하락에 따른 위험회피를 위해 자산에 투자하는 것) 수단이 될 것이라던 일부 전문가들의 관측을 무색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플레이션이 절정에 달한 지난 1분기 코인베이스는 오히려 이용자 수가 감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회사 주가는 지난해 상장 직후와 비교해 82% 폭락한 상태입니다.

다만 비트코인은 이날 오전 현재 24시간 전보다 7%대 상승률을 기록하며 3만 달러 선을 회복했습니다.

전날 비트코인은 2020년 12월 이후 최저가인 2만 5천 달러대까지 찍은 바 있습니다.

그러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이번 주 주간 하락률은 각각 15%, 22%로 지난해 5월 이후 최악의 한 주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 3만 달러 선은 비트코인의 심리적 저항선으로 여겨진다는 점에서 향후 비트코인이 반등폭을 끌어올리지 못하고 다시 3만 달러 아래로 내려갈 경우 추가 하락이 염려된다고 CNBC는 내다봤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