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정부가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 안착기로 전환하더라도 중증 환자에 대한 입원비 지원이 필요하다고 공감하며 대응 방안을 찾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오늘(1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입원 치료는 중증도에 따라 상당수 부담이 갈 수 있다”며 “안착기에 가더라도 (지원을) 좀 더 유지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의견이 지배적이라고 말했습니다.
박 반장은 현재 안착기 전환 시점을 논의하면서 주요하게 다루는 부분이 바로 그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전문가 등 의견을 수렴해 20일 중대본 회의에서 안착기 전환 여부를 결정해 발표할 예정입니다. 안착기가 되면 원칙적으로 확진자 격리 의무가 사라지고, 확진자에 대한 정부의 생활비·유급휴가비·치료비 지원도 종료됩니다.
박 반장은 안착기로 갔을 때 경증 환자는 외래진료를 받을 때 건강보험으로 본인 부담에 큰 무리는 없을 것이라며 본인 부담이 크게 증가할 수 있는 입원 치료가 문제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입원 치료 지원에 대해 “재정 형태나 건강보험으로 감당할 수 있는지 좀 더 자세하게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오늘(1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입원 치료는 중증도에 따라 상당수 부담이 갈 수 있다”며 “안착기에 가더라도 (지원을) 좀 더 유지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의견이 지배적이라고 말했습니다.
박 반장은 현재 안착기 전환 시점을 논의하면서 주요하게 다루는 부분이 바로 그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전문가 등 의견을 수렴해 20일 중대본 회의에서 안착기 전환 여부를 결정해 발표할 예정입니다. 안착기가 되면 원칙적으로 확진자 격리 의무가 사라지고, 확진자에 대한 정부의 생활비·유급휴가비·치료비 지원도 종료됩니다.
박 반장은 안착기로 갔을 때 경증 환자는 외래진료를 받을 때 건강보험으로 본인 부담에 큰 무리는 없을 것이라며 본인 부담이 크게 증가할 수 있는 입원 치료가 문제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입원 치료 지원에 대해 “재정 형태나 건강보험으로 감당할 수 있는지 좀 더 자세하게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안착기에도 입원비 지원 의견 지배적”…20일 안착기 여부 발표
-
- 입력 2022-05-18 13:54:30
- 수정2022-05-18 13:56:33

정부가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 안착기로 전환하더라도 중증 환자에 대한 입원비 지원이 필요하다고 공감하며 대응 방안을 찾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오늘(1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입원 치료는 중증도에 따라 상당수 부담이 갈 수 있다”며 “안착기에 가더라도 (지원을) 좀 더 유지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의견이 지배적이라고 말했습니다.
박 반장은 현재 안착기 전환 시점을 논의하면서 주요하게 다루는 부분이 바로 그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전문가 등 의견을 수렴해 20일 중대본 회의에서 안착기 전환 여부를 결정해 발표할 예정입니다. 안착기가 되면 원칙적으로 확진자 격리 의무가 사라지고, 확진자에 대한 정부의 생활비·유급휴가비·치료비 지원도 종료됩니다.
박 반장은 안착기로 갔을 때 경증 환자는 외래진료를 받을 때 건강보험으로 본인 부담에 큰 무리는 없을 것이라며 본인 부담이 크게 증가할 수 있는 입원 치료가 문제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입원 치료 지원에 대해 “재정 형태나 건강보험으로 감당할 수 있는지 좀 더 자세하게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오늘(1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입원 치료는 중증도에 따라 상당수 부담이 갈 수 있다”며 “안착기에 가더라도 (지원을) 좀 더 유지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의견이 지배적이라고 말했습니다.
박 반장은 현재 안착기 전환 시점을 논의하면서 주요하게 다루는 부분이 바로 그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전문가 등 의견을 수렴해 20일 중대본 회의에서 안착기 전환 여부를 결정해 발표할 예정입니다. 안착기가 되면 원칙적으로 확진자 격리 의무가 사라지고, 확진자에 대한 정부의 생활비·유급휴가비·치료비 지원도 종료됩니다.
박 반장은 안착기로 갔을 때 경증 환자는 외래진료를 받을 때 건강보험으로 본인 부담에 큰 무리는 없을 것이라며 본인 부담이 크게 증가할 수 있는 입원 치료가 문제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입원 치료 지원에 대해 “재정 형태나 건강보험으로 감당할 수 있는지 좀 더 자세하게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기자 정보
-
-
이현정 hyunjung@kbs.co.kr
이현정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