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에 휘날린 `태극기 휘날리며`
입력 2004.02.25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가 오늘 국방부에서 상영됐습니다.
군인들은 이 영화를 어떻게 봤을까요.
양지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국전쟁의 참혹함, 그래서 더욱 가슴 뭉클한 두 주인공의 형제애, 날마다 한국 영화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는 태극기 휘날리며 열풍은 국방부도 예외는 아닙니다.
영화시작 30분 전에 빈 자리는 찾아보기 어렵고 한 차례 상영 계획도 2회 상영으로 연장됐습니다.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의 상영은 국방부 직원의 문화향유 차원에서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이번 행사에는 또 다른 특별한 의미도 있습니다.
지난 2002년 영화 제작사측이 군병력과 장비 등을 동원해 주도록 요청했지만 군 당국은 이를 거절했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상업영화에 군이 병력 등을 동원할 수 없고 또 동생 진석이 학도병으로 끌려간다거나 형 진태가 상급자를 살해하는 내용 등이 자칫 군의 이미지를 나쁘게 할 수 있다는 것이 이유였습니다.
영화를 본 후에도 이런 점을 지적하는 직원들은 많았지만 그러나 대부분은 후한 평가를 내렸습니다.
⊙차영구(국방부 정책실장): 선배들의, 원로들의 고생 이런 것들이 결합돼서 오늘에 우리가 있게 됐다 하는 것도 느낄 수 있는...
⊙임중택(소령): 우리 군 사고도 전향적으로 바뀔 것 같습니다.
좀더 유연하게 대처하고...
⊙기자: 국방부는 직원들의 소감과 의견을 물어 문화 관련 정책에 반영할 예정입니다.
KBS뉴스 양지우입니다.
군인들은 이 영화를 어떻게 봤을까요.
양지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국전쟁의 참혹함, 그래서 더욱 가슴 뭉클한 두 주인공의 형제애, 날마다 한국 영화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는 태극기 휘날리며 열풍은 국방부도 예외는 아닙니다.
영화시작 30분 전에 빈 자리는 찾아보기 어렵고 한 차례 상영 계획도 2회 상영으로 연장됐습니다.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의 상영은 국방부 직원의 문화향유 차원에서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이번 행사에는 또 다른 특별한 의미도 있습니다.
지난 2002년 영화 제작사측이 군병력과 장비 등을 동원해 주도록 요청했지만 군 당국은 이를 거절했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상업영화에 군이 병력 등을 동원할 수 없고 또 동생 진석이 학도병으로 끌려간다거나 형 진태가 상급자를 살해하는 내용 등이 자칫 군의 이미지를 나쁘게 할 수 있다는 것이 이유였습니다.
영화를 본 후에도 이런 점을 지적하는 직원들은 많았지만 그러나 대부분은 후한 평가를 내렸습니다.
⊙차영구(국방부 정책실장): 선배들의, 원로들의 고생 이런 것들이 결합돼서 오늘에 우리가 있게 됐다 하는 것도 느낄 수 있는...
⊙임중택(소령): 우리 군 사고도 전향적으로 바뀔 것 같습니다.
좀더 유연하게 대처하고...
⊙기자: 국방부는 직원들의 소감과 의견을 물어 문화 관련 정책에 반영할 예정입니다.
KBS뉴스 양지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방부에 휘날린 `태극기 휘날리며`
-
- 입력 2004-02-25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가 오늘 국방부에서 상영됐습니다.
군인들은 이 영화를 어떻게 봤을까요.
양지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국전쟁의 참혹함, 그래서 더욱 가슴 뭉클한 두 주인공의 형제애, 날마다 한국 영화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는 태극기 휘날리며 열풍은 국방부도 예외는 아닙니다.
영화시작 30분 전에 빈 자리는 찾아보기 어렵고 한 차례 상영 계획도 2회 상영으로 연장됐습니다.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의 상영은 국방부 직원의 문화향유 차원에서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이번 행사에는 또 다른 특별한 의미도 있습니다.
지난 2002년 영화 제작사측이 군병력과 장비 등을 동원해 주도록 요청했지만 군 당국은 이를 거절했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상업영화에 군이 병력 등을 동원할 수 없고 또 동생 진석이 학도병으로 끌려간다거나 형 진태가 상급자를 살해하는 내용 등이 자칫 군의 이미지를 나쁘게 할 수 있다는 것이 이유였습니다.
영화를 본 후에도 이런 점을 지적하는 직원들은 많았지만 그러나 대부분은 후한 평가를 내렸습니다.
⊙차영구(국방부 정책실장): 선배들의, 원로들의 고생 이런 것들이 결합돼서 오늘에 우리가 있게 됐다 하는 것도 느낄 수 있는...
⊙임중택(소령): 우리 군 사고도 전향적으로 바뀔 것 같습니다.
좀더 유연하게 대처하고...
⊙기자: 국방부는 직원들의 소감과 의견을 물어 문화 관련 정책에 반영할 예정입니다.
KBS뉴스 양지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