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산불’이 낳은 논란…인공조림 vs 자연회복

입력 2022.05.26 (14:06) 수정 2022.05.26 (18: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3월 경북 울진 산불 현장지난 3월 경북 울진 산불 현장

올 봄에는 유독 산불 소식이 잦았습니다. 특히 지난 3월 경북 울진에서 시작된 '동해안 산불'은 큰불을 잡는 데만 213시간이 걸렸고, 역대 최장 진화 시간으로 기록됐습니다.

이렇게 유례없는 대형산불의 원인 중 하나로 '기후위기'가 지목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제2실무그룹 6차 평가보고서에서 "지구의 평균 기온이 2℃까지 상승하면 산불피해 면적이 최대 35%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이미 국내에서도 지난 5년 동안 한 해도 빠지지 않고 '대형산불'이 났습니다. 그만큼 잿더미가 된 숲이 많아졌고, 다시 예전 숲을 회복하는 데까지 더 많은 시간과 돈이 들 겁니다.

그런데 최근 이 숲 복원 방법을 놓고 공방이 붙었습니다. 산불 주무 부처인 산림청과 환경단체 얘깁니다. 핵심은 인공 복원이냐, 자연 치유냐입니다.

2020년 안동 산불 피해 현장. 까맣게 그으른 피해목 사이로 자연적으로 싹을 틔운 초목이 보인다. (사진제공 : 환경운동연합)2020년 안동 산불 피해 현장. 까맣게 그으른 피해목 사이로 자연적으로 싹을 틔운 초목이 보인다. (사진제공 : 환경운동연합)

■ 환경단체 "그냥 두면 스스로 회복"

먼저, 환경단체 얘기부터 들어보겠습니다. 2년 전, 대형산불 피해를 입은 경북 안동에서도 산림 복원 작업이 한창 진행되고 있습니다. 안동시에 따르면 피해목을 벌채하고, 나무를 새로 심는 데 지금까지 약 233억 원이 투입됐습니다.

그런데 지난달 현장을 방문한 환경운동연합 활동가들은 새로 심은 나무(인공조림)보다 그 주변에서 싹을 틔운 나무(자연회복)가 30cm 정도 더 빠르게 성장한 모습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활동가들은 "인공조림을 위해 벌채를 하면 토양이 다 드러난 상태에서 햇빛이 들어 토양 영양분이 사라지기 쉬운데 이 때문에 성장이 더딘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인근에서는 불에 타지 않은 나무가 밑동만 남아 있는 모습도 관찰됐습니다. 옮겨 심은 소나무가 잘 자랄 수 있도록 자연적으로 자라난 나무들을 일부러 잘라냈다는 겁니다.

밑동만 남아 있는 나무 주변에 자라난 풀 (사진제공 : 환경운동연합)밑동만 남아 있는 나무 주변에 자라난 풀 (사진제공 : 환경운동연합)

환경운동연합은 이런 방식으로 피해 나무를 베어내고 옮기는 과정에서 심각한 토양침식이 일어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들이 산불 피해 지역에 대한 '자연회복'을 제안한 이유입니다.

이들이 '자연회복'에 무게를 두는 이유는 또 있습니다. 1970년대 민둥산이었던 것과 달리 이제는 울창한 숲이 됐기 때문에 산림 생태계가 스스로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이 충분하다는 겁니다.

무엇보다 자연복원을 하면 비교적 산불에 강한 것으로 알려진 '활엽수'가 자리를 잡게 되고, 이렇게 되면 해마다 반복되는 대형산불 피해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그러면서 인공조림은 자연회복이 어려운 지역에서만 제한적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환경단체는 주장하고 있습니다.

지난 12일 김용관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이 산불 피해 지역 복원 계획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 제공 : 산림청)지난 12일 김용관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이 산불 피해 지역 복원 계획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 제공 : 산림청)

■ 산림당국 "어느 한쪽이 정답 아냐"

그럼 이번에는 산림청의 얘기를 들어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자연회복'과 '인공조림', 어느 한쪽만 답이 아니라는 게 산림청 생각입니다.

산림청에 따르면 자연회복의 경우 그 지역에서 잘 자랄 수 있는 나무로 복원을 할 수 있고 토양 교란도 최소화하는 건 맞지만, 이렇게 자란 나무들은 중심부가 잘 썩어 병해충의 근거지가 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인공조림은 초기에 나무 생장 속도가 느리고 큰 비용이 들지만,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이른바 '경제림'으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습니다.

산림청은 이런 장단점과 지역 주민들의 입장 등을 반영해 복원 방향을 설정하는 게 맞다고 밝혔습니다.

지역 주민들이 산불 피해 나무가 그대로 남아 있는 모습을 보기 싫어하는 경우도 있고, 장마철 산사태 위험성과 송이 생산을 기대하는 산주들의 입장도 고려할 필요도 있다는 게 산림 당국의 설명입니다.

산림청은 '생태'와 '경제성'을 모두 고려해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시민단체를 비롯해 전문가·학계·지역주민·임업인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산불피해 복원 방향 설정을 위한 협의회'를 운영하고, 올해 연말까지 구체적인 방향을 결정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이 26일 산불피해지 자연복원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무분별한 싹쓸이 벌채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환경운동연합이 26일 산불피해지 자연복원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무분별한 싹쓸이 벌채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 인공조림 vs 자연회복 논란 '2ROUND'

환경단체의 지적, 그리고 산림청의 반박이 한 차례씩 오고 갔습니다. 그런데 환경단체가 다시 산림청 주장을 반박하고 나섰습니다.

이번 동해안 산불 피해 지역의 경우 복원의 대부분이 인공조림이 될 거라고 환경운동연합은 전망했습니다. 산림청이 자연회복을 추진하는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등은 동해안 산불 전체 피해지역의 23%에 불과하다는 게 전망의 근거입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 11일에 이어 오늘(26일) 또다시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인공조림 중단과 환경부가 참여하는 '민관학연' 공동조사단 구성을 다시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현재 꾸려진 공동조사단은 지역재난대책본부와 국립산림과학원 등 산림청과 밀접한 기관이나 단체로만 구성돼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2000년 동해안 산불 당시 환경부와 산림청이 공동으로 주도한 민관학연의 공동조사단이 제시한 인공복구 51.5%, 자연복원 49%보다 오히려 후퇴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더욱이 산불피해지역을 다시 조림하려면 벌채를 해야 하고, 벌채를 위해서는 다시 작업로를 만들어야 하는데, 작업로를 만든 곳은 산사태가 피해가 훨씬 크다고도 했습니다. 2002년 태풍 루사 이후 자연복원지역과 인공조림지역의 토사 침식에 대한 연구 결과, 인공조림지역이 자연복원지역보다 토사유출량이 2,000배가 많았다는 걸 근거로 들었습니다.

"지금처럼 무분별한 모두 베기와 인공조림 중심의 복구계획이 추진된다면, 기후변화로 가중되고 있는 태풍 피해는 더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때문에 지금과 같은 인공조림 방식은 복구나 복원이 아닌 다른 '의도'를 가진 것이 아닌가 의심할 수밖에 없는 겁니다."
- 환경운동연합 기자회견문 中

이번에도 산림청은 사실이 아니란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동해안 산불 피해지 중 자연회복을 추진하는 면적이 전체의 23%에 그칠 거란 건, 전혀 근거 없는 얘기라고 강조했습니다.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뿐 아니라 나머지 피해지에 대해서도 여건을 따져 가능한 자연회복을 추진할 계획이란 건데요. 하지만 구체적 비율과 면적에 대해선, 앞으로 정밀조사와 복구계획 수립 등의 절차가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정확한 일정은 그래서 올해 연말쯤이나 돼야 나올 거라고 밝혔습니다.

"전체적인 피해면적이나 유전자원보호구역 면적은 나왔지만, 그걸 전체적으로 어떻게 복구한다는 건 지금 확언해서 말씀을 드릴 수 없는 부분입니다. 23%만 자연복원할 거란 주장은 섣불리 피해지역 조사된 것만 놓고 말하는 거에 지나지 않거든요."
- 산림청 관계자 인터뷰 中

한번 난 산불은 많은 것을 앗아갑니다. 다시 옛 모습을 찾기 위해서는 긴 시간과 노력이 듭니다. 그래서 복원보다 중요한 건 예방입니다. 그럼에도 이미 난 산불 피해라면 하루라도 빨리, 더 안전하게 하는 것이 중요할 겁니다. 인공조림이냐, 자연회복이냐,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십니까?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해안 산불’이 낳은 논란…인공조림 vs 자연회복
    • 입력 2022-05-26 14:06:24
    • 수정2022-05-26 18:17:16
    취재K
지난 3월 경북 울진 산불 현장
올 봄에는 유독 산불 소식이 잦았습니다. 특히 지난 3월 경북 울진에서 시작된 '동해안 산불'은 큰불을 잡는 데만 213시간이 걸렸고, 역대 최장 진화 시간으로 기록됐습니다.

이렇게 유례없는 대형산불의 원인 중 하나로 '기후위기'가 지목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제2실무그룹 6차 평가보고서에서 "지구의 평균 기온이 2℃까지 상승하면 산불피해 면적이 최대 35%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이미 국내에서도 지난 5년 동안 한 해도 빠지지 않고 '대형산불'이 났습니다. 그만큼 잿더미가 된 숲이 많아졌고, 다시 예전 숲을 회복하는 데까지 더 많은 시간과 돈이 들 겁니다.

그런데 최근 이 숲 복원 방법을 놓고 공방이 붙었습니다. 산불 주무 부처인 산림청과 환경단체 얘깁니다. 핵심은 인공 복원이냐, 자연 치유냐입니다.

2020년 안동 산불 피해 현장. 까맣게 그으른 피해목 사이로 자연적으로 싹을 틔운 초목이 보인다. (사진제공 : 환경운동연합)
■ 환경단체 "그냥 두면 스스로 회복"

먼저, 환경단체 얘기부터 들어보겠습니다. 2년 전, 대형산불 피해를 입은 경북 안동에서도 산림 복원 작업이 한창 진행되고 있습니다. 안동시에 따르면 피해목을 벌채하고, 나무를 새로 심는 데 지금까지 약 233억 원이 투입됐습니다.

그런데 지난달 현장을 방문한 환경운동연합 활동가들은 새로 심은 나무(인공조림)보다 그 주변에서 싹을 틔운 나무(자연회복)가 30cm 정도 더 빠르게 성장한 모습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활동가들은 "인공조림을 위해 벌채를 하면 토양이 다 드러난 상태에서 햇빛이 들어 토양 영양분이 사라지기 쉬운데 이 때문에 성장이 더딘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인근에서는 불에 타지 않은 나무가 밑동만 남아 있는 모습도 관찰됐습니다. 옮겨 심은 소나무가 잘 자랄 수 있도록 자연적으로 자라난 나무들을 일부러 잘라냈다는 겁니다.

밑동만 남아 있는 나무 주변에 자라난 풀 (사진제공 : 환경운동연합)
환경운동연합은 이런 방식으로 피해 나무를 베어내고 옮기는 과정에서 심각한 토양침식이 일어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들이 산불 피해 지역에 대한 '자연회복'을 제안한 이유입니다.

이들이 '자연회복'에 무게를 두는 이유는 또 있습니다. 1970년대 민둥산이었던 것과 달리 이제는 울창한 숲이 됐기 때문에 산림 생태계가 스스로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이 충분하다는 겁니다.

무엇보다 자연복원을 하면 비교적 산불에 강한 것으로 알려진 '활엽수'가 자리를 잡게 되고, 이렇게 되면 해마다 반복되는 대형산불 피해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그러면서 인공조림은 자연회복이 어려운 지역에서만 제한적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환경단체는 주장하고 있습니다.

지난 12일 김용관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이 산불 피해 지역 복원 계획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 제공 : 산림청)
■ 산림당국 "어느 한쪽이 정답 아냐"

그럼 이번에는 산림청의 얘기를 들어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자연회복'과 '인공조림', 어느 한쪽만 답이 아니라는 게 산림청 생각입니다.

산림청에 따르면 자연회복의 경우 그 지역에서 잘 자랄 수 있는 나무로 복원을 할 수 있고 토양 교란도 최소화하는 건 맞지만, 이렇게 자란 나무들은 중심부가 잘 썩어 병해충의 근거지가 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인공조림은 초기에 나무 생장 속도가 느리고 큰 비용이 들지만,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이른바 '경제림'으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습니다.

산림청은 이런 장단점과 지역 주민들의 입장 등을 반영해 복원 방향을 설정하는 게 맞다고 밝혔습니다.

지역 주민들이 산불 피해 나무가 그대로 남아 있는 모습을 보기 싫어하는 경우도 있고, 장마철 산사태 위험성과 송이 생산을 기대하는 산주들의 입장도 고려할 필요도 있다는 게 산림 당국의 설명입니다.

산림청은 '생태'와 '경제성'을 모두 고려해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시민단체를 비롯해 전문가·학계·지역주민·임업인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산불피해 복원 방향 설정을 위한 협의회'를 운영하고, 올해 연말까지 구체적인 방향을 결정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이 26일 산불피해지 자연복원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무분별한 싹쓸이 벌채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 인공조림 vs 자연회복 논란 '2ROUND'

환경단체의 지적, 그리고 산림청의 반박이 한 차례씩 오고 갔습니다. 그런데 환경단체가 다시 산림청 주장을 반박하고 나섰습니다.

이번 동해안 산불 피해 지역의 경우 복원의 대부분이 인공조림이 될 거라고 환경운동연합은 전망했습니다. 산림청이 자연회복을 추진하는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등은 동해안 산불 전체 피해지역의 23%에 불과하다는 게 전망의 근거입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 11일에 이어 오늘(26일) 또다시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인공조림 중단과 환경부가 참여하는 '민관학연' 공동조사단 구성을 다시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현재 꾸려진 공동조사단은 지역재난대책본부와 국립산림과학원 등 산림청과 밀접한 기관이나 단체로만 구성돼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2000년 동해안 산불 당시 환경부와 산림청이 공동으로 주도한 민관학연의 공동조사단이 제시한 인공복구 51.5%, 자연복원 49%보다 오히려 후퇴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더욱이 산불피해지역을 다시 조림하려면 벌채를 해야 하고, 벌채를 위해서는 다시 작업로를 만들어야 하는데, 작업로를 만든 곳은 산사태가 피해가 훨씬 크다고도 했습니다. 2002년 태풍 루사 이후 자연복원지역과 인공조림지역의 토사 침식에 대한 연구 결과, 인공조림지역이 자연복원지역보다 토사유출량이 2,000배가 많았다는 걸 근거로 들었습니다.

"지금처럼 무분별한 모두 베기와 인공조림 중심의 복구계획이 추진된다면, 기후변화로 가중되고 있는 태풍 피해는 더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때문에 지금과 같은 인공조림 방식은 복구나 복원이 아닌 다른 '의도'를 가진 것이 아닌가 의심할 수밖에 없는 겁니다."
- 환경운동연합 기자회견문 中

이번에도 산림청은 사실이 아니란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동해안 산불 피해지 중 자연회복을 추진하는 면적이 전체의 23%에 그칠 거란 건, 전혀 근거 없는 얘기라고 강조했습니다.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뿐 아니라 나머지 피해지에 대해서도 여건을 따져 가능한 자연회복을 추진할 계획이란 건데요. 하지만 구체적 비율과 면적에 대해선, 앞으로 정밀조사와 복구계획 수립 등의 절차가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정확한 일정은 그래서 올해 연말쯤이나 돼야 나올 거라고 밝혔습니다.

"전체적인 피해면적이나 유전자원보호구역 면적은 나왔지만, 그걸 전체적으로 어떻게 복구한다는 건 지금 확언해서 말씀을 드릴 수 없는 부분입니다. 23%만 자연복원할 거란 주장은 섣불리 피해지역 조사된 것만 놓고 말하는 거에 지나지 않거든요."
- 산림청 관계자 인터뷰 中

한번 난 산불은 많은 것을 앗아갑니다. 다시 옛 모습을 찾기 위해서는 긴 시간과 노력이 듭니다. 그래서 복원보다 중요한 건 예방입니다. 그럼에도 이미 난 산불 피해라면 하루라도 빨리, 더 안전하게 하는 것이 중요할 겁니다. 인공조림이냐, 자연회복이냐,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십니까?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