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김치 수출 ‘통합 상표’로 재도약
입력 2022.06.05 (21:26)
수정 2022.06.05 (21: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산 김치를 만들어 파는 진해 웅천농협의 수출액이 10년 새 4분의 1 토막이 났습니다.
중국산 등 저가 김치 공세 때문인데요,
농협이 8개 지역 농협의 김치 브랜드를 통합해 국내 시장은 물론 수출길 확대에 나섰습니다.
배수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절임 배추 한 포기 한 포기 사이로 맛깔스런 양념이 떨어집니다.
김치를 담그는데 쓰는 재료는 모두 국산입니다.
진해 웅천농협의 김치 수출액은 10년 전까지 한 해 400만 달러어치에 달했지만, 현재는 4분의 1 수준인 100만 달러어치에 그치고 있습니다.
외국산 농산물을 사용하는 저가 김치 공세에 밀려 고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내 시장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경남 학교 급식의 절반을 차지했던 시장 점유율은 올해 전체 10% 수준으로 뚝 떨어졌습니다.
이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전국의 8개 농협 김치가 뭉쳤습니다.
진해 웅천농협 등 그동안 전국의 흩어져 별도 법인으로 경쟁을 벌였던 농협 산하 김치공장들이 통합 법인으로 출범한 겁니다.
유통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해 통합 물류체계를 구축했습니다.
[정경수/진해 웅천농협 김치공장 실장 : "경남에만 유통했는데 앞으로 통합물류망을 통해 전국에서 우리 김치를 맛볼 수 있습니다."]
분산된 역량을 하나로 집중해 생산 원가를 낮추고 시장 경쟁력을 갖춰 매출 증가를 노리겠다는 전략입니다.
일본에만 수출을 해왔던 이 김치공장은 통합브랜드 출범 이후 수출국을 다변화할 계획입니다.
진해 웅천농협은 이번 통합 브랜드 출범으로 수출 물량을 3년 안에 5배 늘릴 목표를 세웠습니다.
KBS 뉴스 배수영입니다.
촬영기자:이하우
국산 김치를 만들어 파는 진해 웅천농협의 수출액이 10년 새 4분의 1 토막이 났습니다.
중국산 등 저가 김치 공세 때문인데요,
농협이 8개 지역 농협의 김치 브랜드를 통합해 국내 시장은 물론 수출길 확대에 나섰습니다.
배수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절임 배추 한 포기 한 포기 사이로 맛깔스런 양념이 떨어집니다.
김치를 담그는데 쓰는 재료는 모두 국산입니다.
진해 웅천농협의 김치 수출액은 10년 전까지 한 해 400만 달러어치에 달했지만, 현재는 4분의 1 수준인 100만 달러어치에 그치고 있습니다.
외국산 농산물을 사용하는 저가 김치 공세에 밀려 고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내 시장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경남 학교 급식의 절반을 차지했던 시장 점유율은 올해 전체 10% 수준으로 뚝 떨어졌습니다.
이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전국의 8개 농협 김치가 뭉쳤습니다.
진해 웅천농협 등 그동안 전국의 흩어져 별도 법인으로 경쟁을 벌였던 농협 산하 김치공장들이 통합 법인으로 출범한 겁니다.
유통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해 통합 물류체계를 구축했습니다.
[정경수/진해 웅천농협 김치공장 실장 : "경남에만 유통했는데 앞으로 통합물류망을 통해 전국에서 우리 김치를 맛볼 수 있습니다."]
분산된 역량을 하나로 집중해 생산 원가를 낮추고 시장 경쟁력을 갖춰 매출 증가를 노리겠다는 전략입니다.
일본에만 수출을 해왔던 이 김치공장은 통합브랜드 출범 이후 수출국을 다변화할 계획입니다.
진해 웅천농협은 이번 통합 브랜드 출범으로 수출 물량을 3년 안에 5배 늘릴 목표를 세웠습니다.
KBS 뉴스 배수영입니다.
촬영기자:이하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농협김치 수출 ‘통합 상표’로 재도약
-
- 입력 2022-06-05 21:26:25
- 수정2022-06-05 21:55:07

[앵커]
국산 김치를 만들어 파는 진해 웅천농협의 수출액이 10년 새 4분의 1 토막이 났습니다.
중국산 등 저가 김치 공세 때문인데요,
농협이 8개 지역 농협의 김치 브랜드를 통합해 국내 시장은 물론 수출길 확대에 나섰습니다.
배수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절임 배추 한 포기 한 포기 사이로 맛깔스런 양념이 떨어집니다.
김치를 담그는데 쓰는 재료는 모두 국산입니다.
진해 웅천농협의 김치 수출액은 10년 전까지 한 해 400만 달러어치에 달했지만, 현재는 4분의 1 수준인 100만 달러어치에 그치고 있습니다.
외국산 농산물을 사용하는 저가 김치 공세에 밀려 고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내 시장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경남 학교 급식의 절반을 차지했던 시장 점유율은 올해 전체 10% 수준으로 뚝 떨어졌습니다.
이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전국의 8개 농협 김치가 뭉쳤습니다.
진해 웅천농협 등 그동안 전국의 흩어져 별도 법인으로 경쟁을 벌였던 농협 산하 김치공장들이 통합 법인으로 출범한 겁니다.
유통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해 통합 물류체계를 구축했습니다.
[정경수/진해 웅천농협 김치공장 실장 : "경남에만 유통했는데 앞으로 통합물류망을 통해 전국에서 우리 김치를 맛볼 수 있습니다."]
분산된 역량을 하나로 집중해 생산 원가를 낮추고 시장 경쟁력을 갖춰 매출 증가를 노리겠다는 전략입니다.
일본에만 수출을 해왔던 이 김치공장은 통합브랜드 출범 이후 수출국을 다변화할 계획입니다.
진해 웅천농협은 이번 통합 브랜드 출범으로 수출 물량을 3년 안에 5배 늘릴 목표를 세웠습니다.
KBS 뉴스 배수영입니다.
촬영기자:이하우
국산 김치를 만들어 파는 진해 웅천농협의 수출액이 10년 새 4분의 1 토막이 났습니다.
중국산 등 저가 김치 공세 때문인데요,
농협이 8개 지역 농협의 김치 브랜드를 통합해 국내 시장은 물론 수출길 확대에 나섰습니다.
배수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절임 배추 한 포기 한 포기 사이로 맛깔스런 양념이 떨어집니다.
김치를 담그는데 쓰는 재료는 모두 국산입니다.
진해 웅천농협의 김치 수출액은 10년 전까지 한 해 400만 달러어치에 달했지만, 현재는 4분의 1 수준인 100만 달러어치에 그치고 있습니다.
외국산 농산물을 사용하는 저가 김치 공세에 밀려 고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내 시장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경남 학교 급식의 절반을 차지했던 시장 점유율은 올해 전체 10% 수준으로 뚝 떨어졌습니다.
이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전국의 8개 농협 김치가 뭉쳤습니다.
진해 웅천농협 등 그동안 전국의 흩어져 별도 법인으로 경쟁을 벌였던 농협 산하 김치공장들이 통합 법인으로 출범한 겁니다.
유통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해 통합 물류체계를 구축했습니다.
[정경수/진해 웅천농협 김치공장 실장 : "경남에만 유통했는데 앞으로 통합물류망을 통해 전국에서 우리 김치를 맛볼 수 있습니다."]
분산된 역량을 하나로 집중해 생산 원가를 낮추고 시장 경쟁력을 갖춰 매출 증가를 노리겠다는 전략입니다.
일본에만 수출을 해왔던 이 김치공장은 통합브랜드 출범 이후 수출국을 다변화할 계획입니다.
진해 웅천농협은 이번 통합 브랜드 출범으로 수출 물량을 3년 안에 5배 늘릴 목표를 세웠습니다.
KBS 뉴스 배수영입니다.
촬영기자:이하우
-
-
배수영 기자 sooyoung@kbs.co.kr
배수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