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등 과열 후유증…세종 아파트값 46주 연속 하락

입력 2022.06.09 (21:43) 수정 2022.06.09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2년 전부터 크게 올랐던 세종과 대전 아파트값의 내림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세종은 46주 연속, 대전은 22주 연속 하락했는데요.

집값 과열의 후유증이 더 이어질 거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이용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20년 세종 아파트값 44.9% 폭등은 당시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연설에서부터 비롯됐습니다.

[김태년/당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2020년 7월 20일 : "국회가 통째로 세종시로 이전해야 합니다. 아울러, 더 적극적인 논의를 통해 청와대와 정부 부처도 모두 이전해야 합니다."]

정치권의 합의 없이 나온 이 발언 직후부터 세종 아파트값에는 거품이 잔뜩 끼었고, 이후 지난해 7월부터 46주 연속 하락했습니다.

덩달아 상승폭이 컸던 대전 아파트값도 이번 주까지 22주 연속 하락했습니다.

지난달 26일 윤석열 대통령이 정부세종청사를 방문하며 '친세종 행보'를 보였는데도, 대전과 세종은 가격 반등 기미가 없습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음성변조 : "가격이 많이 올랐던 지역 위주로 아무래도 고점 인식이나 급등 피로감이 있기 때문에 하락세가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 1년 사이 시장에 내놓은 매물은 쌓여만 갔습니다.

대전지역 매물은 1년 전 6천8백여 건에서 만 2천여 건으로, 세종은 3천8백여 건에서 5천2백여 건으로, 충남 역시 만 2천여 건에서 만 7천여 건으로 급증했습니다.

게다가 매수세를 뒷받침할 제반 여건이 우호적이지 않습니다.

[강신철/바른경제연구소장 : "금리 인상이나 대출 규제 때문에 신규 수요가 없잖아요. 그러다 보니까 매물만 늘어나지 팔리지 않을 것 같은 현상이 지속될 것 같습니다."]

국토균형발전이라는 본래 취지와는 무관하게 집값 폭등이 야기돼 청년층의 내 집 마련 꿈이 멀어진 상황에서, 주택 시장에 대한 세밀한 정책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이용순입니다.

촬영기자:박평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급등 과열 후유증…세종 아파트값 46주 연속 하락
    • 입력 2022-06-09 21:43:39
    • 수정2022-06-09 22:04:35
    뉴스9(대전)
[앵커]

2년 전부터 크게 올랐던 세종과 대전 아파트값의 내림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세종은 46주 연속, 대전은 22주 연속 하락했는데요.

집값 과열의 후유증이 더 이어질 거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이용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20년 세종 아파트값 44.9% 폭등은 당시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의 교섭단체 연설에서부터 비롯됐습니다.

[김태년/당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2020년 7월 20일 : "국회가 통째로 세종시로 이전해야 합니다. 아울러, 더 적극적인 논의를 통해 청와대와 정부 부처도 모두 이전해야 합니다."]

정치권의 합의 없이 나온 이 발언 직후부터 세종 아파트값에는 거품이 잔뜩 끼었고, 이후 지난해 7월부터 46주 연속 하락했습니다.

덩달아 상승폭이 컸던 대전 아파트값도 이번 주까지 22주 연속 하락했습니다.

지난달 26일 윤석열 대통령이 정부세종청사를 방문하며 '친세종 행보'를 보였는데도, 대전과 세종은 가격 반등 기미가 없습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음성변조 : "가격이 많이 올랐던 지역 위주로 아무래도 고점 인식이나 급등 피로감이 있기 때문에 하락세가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 1년 사이 시장에 내놓은 매물은 쌓여만 갔습니다.

대전지역 매물은 1년 전 6천8백여 건에서 만 2천여 건으로, 세종은 3천8백여 건에서 5천2백여 건으로, 충남 역시 만 2천여 건에서 만 7천여 건으로 급증했습니다.

게다가 매수세를 뒷받침할 제반 여건이 우호적이지 않습니다.

[강신철/바른경제연구소장 : "금리 인상이나 대출 규제 때문에 신규 수요가 없잖아요. 그러다 보니까 매물만 늘어나지 팔리지 않을 것 같은 현상이 지속될 것 같습니다."]

국토균형발전이라는 본래 취지와는 무관하게 집값 폭등이 야기돼 청년층의 내 집 마련 꿈이 멀어진 상황에서, 주택 시장에 대한 세밀한 정책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이용순입니다.

촬영기자:박평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대전-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