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시리아 북부 IS 근거지 급습…“최고위급 간부 생포”
입력 2022.06.16 (20:30)
수정 2022.06.16 (21: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군이 시리아에서 이슬람 수니파 극단주의 테러 조직 이슬람국가(IS) 근거지를 급습해 최고위급 간부를 생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현지시간으로 16일, AFP 통신은 미국 주도 국제연합군이 이날 성명을 내고 "IS 최고지도자 중 한 명을 체포했다"며 "그는 폭발물 제조 전문가이자 작전 지원자로 활동했다"고 밝혔습니다.
미군은 "민간인과 부수적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치밀하게 준비했다"며 "이번 작전으로 인한 민간인 피해는 없었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군은 이날 생포한 IS 간부의 신원을 공개하지는 않았습니다.
시리아 내전 감시단체인 시리아인권관측소는 이번 미군의 작전이 터키 국경에서 약 4㎞ 떨어진 흐메이라 마을에서 이뤄졌다고 전했습니다.
라미 압델 라흐만 시리아인권관측소 대표는 "헬기 2대가 착륙한 뒤 몇 발의 총성이 울렸고, 약 7분 만에 헬기는 떠났다"면서 "미군의 작전은 매우 빠르고 매끄러웠다"고 설명했습니다.
S는 2014년 이슬람 국가 수립 선포 이래 이라크와 시리아 국토의 3분의 1가량을 통제하고 주민 수백만 명을 사실상 준국가형태로 지배했습니다.
하지만 2019년 3월 미국 등이 후원하는 시리아 내 쿠르드족 민병대와 이라크군에 의해 패퇴 당해 현재 1만 명 정도의 잔당이 남아 재기를 노리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IS 잔당은 시리아에서 쿠르드 민병대나 정부군을 대상으로 기습을 펼치거나, 이라크 등지에서 산발적인 테러를 감행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현지시간으로 16일, AFP 통신은 미국 주도 국제연합군이 이날 성명을 내고 "IS 최고지도자 중 한 명을 체포했다"며 "그는 폭발물 제조 전문가이자 작전 지원자로 활동했다"고 밝혔습니다.
미군은 "민간인과 부수적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치밀하게 준비했다"며 "이번 작전으로 인한 민간인 피해는 없었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군은 이날 생포한 IS 간부의 신원을 공개하지는 않았습니다.
시리아 내전 감시단체인 시리아인권관측소는 이번 미군의 작전이 터키 국경에서 약 4㎞ 떨어진 흐메이라 마을에서 이뤄졌다고 전했습니다.
라미 압델 라흐만 시리아인권관측소 대표는 "헬기 2대가 착륙한 뒤 몇 발의 총성이 울렸고, 약 7분 만에 헬기는 떠났다"면서 "미군의 작전은 매우 빠르고 매끄러웠다"고 설명했습니다.
S는 2014년 이슬람 국가 수립 선포 이래 이라크와 시리아 국토의 3분의 1가량을 통제하고 주민 수백만 명을 사실상 준국가형태로 지배했습니다.
하지만 2019년 3월 미국 등이 후원하는 시리아 내 쿠르드족 민병대와 이라크군에 의해 패퇴 당해 현재 1만 명 정도의 잔당이 남아 재기를 노리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IS 잔당은 시리아에서 쿠르드 민병대나 정부군을 대상으로 기습을 펼치거나, 이라크 등지에서 산발적인 테러를 감행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군, 시리아 북부 IS 근거지 급습…“최고위급 간부 생포”
-
- 입력 2022-06-16 20:30:35
- 수정2022-06-16 21:50:49

미군이 시리아에서 이슬람 수니파 극단주의 테러 조직 이슬람국가(IS) 근거지를 급습해 최고위급 간부를 생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현지시간으로 16일, AFP 통신은 미국 주도 국제연합군이 이날 성명을 내고 "IS 최고지도자 중 한 명을 체포했다"며 "그는 폭발물 제조 전문가이자 작전 지원자로 활동했다"고 밝혔습니다.
미군은 "민간인과 부수적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치밀하게 준비했다"며 "이번 작전으로 인한 민간인 피해는 없었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군은 이날 생포한 IS 간부의 신원을 공개하지는 않았습니다.
시리아 내전 감시단체인 시리아인권관측소는 이번 미군의 작전이 터키 국경에서 약 4㎞ 떨어진 흐메이라 마을에서 이뤄졌다고 전했습니다.
라미 압델 라흐만 시리아인권관측소 대표는 "헬기 2대가 착륙한 뒤 몇 발의 총성이 울렸고, 약 7분 만에 헬기는 떠났다"면서 "미군의 작전은 매우 빠르고 매끄러웠다"고 설명했습니다.
S는 2014년 이슬람 국가 수립 선포 이래 이라크와 시리아 국토의 3분의 1가량을 통제하고 주민 수백만 명을 사실상 준국가형태로 지배했습니다.
하지만 2019년 3월 미국 등이 후원하는 시리아 내 쿠르드족 민병대와 이라크군에 의해 패퇴 당해 현재 1만 명 정도의 잔당이 남아 재기를 노리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IS 잔당은 시리아에서 쿠르드 민병대나 정부군을 대상으로 기습을 펼치거나, 이라크 등지에서 산발적인 테러를 감행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현지시간으로 16일, AFP 통신은 미국 주도 국제연합군이 이날 성명을 내고 "IS 최고지도자 중 한 명을 체포했다"며 "그는 폭발물 제조 전문가이자 작전 지원자로 활동했다"고 밝혔습니다.
미군은 "민간인과 부수적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치밀하게 준비했다"며 "이번 작전으로 인한 민간인 피해는 없었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군은 이날 생포한 IS 간부의 신원을 공개하지는 않았습니다.
시리아 내전 감시단체인 시리아인권관측소는 이번 미군의 작전이 터키 국경에서 약 4㎞ 떨어진 흐메이라 마을에서 이뤄졌다고 전했습니다.
라미 압델 라흐만 시리아인권관측소 대표는 "헬기 2대가 착륙한 뒤 몇 발의 총성이 울렸고, 약 7분 만에 헬기는 떠났다"면서 "미군의 작전은 매우 빠르고 매끄러웠다"고 설명했습니다.
S는 2014년 이슬람 국가 수립 선포 이래 이라크와 시리아 국토의 3분의 1가량을 통제하고 주민 수백만 명을 사실상 준국가형태로 지배했습니다.
하지만 2019년 3월 미국 등이 후원하는 시리아 내 쿠르드족 민병대와 이라크군에 의해 패퇴 당해 현재 1만 명 정도의 잔당이 남아 재기를 노리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IS 잔당은 시리아에서 쿠르드 민병대나 정부군을 대상으로 기습을 펼치거나, 이라크 등지에서 산발적인 테러를 감행하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
오수호 기자 odd@kbs.co.kr
오수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