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반도체 인력 육성 속 지방대 위기…“국립대학법 제정이 대안”
입력 2022.06.22 (21:47) 수정 2022.06.22 (21:58) 뉴스9(대구)
[앵커]
4차 산업혁명 시대, '산업의 쌀'로 불리는 반도체를 확보하기 위해 전 세계가 소리 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는데요.
우리 정부도 이 반도체 전문 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대학 반도체학과의 정원을 대폭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데, 그 틈바구니에서 지방대의 위기가 더 커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노란빛이 감도는 클린룸에서 학생들이 강의에 귀를 기울입니다.
경북대는 반도체 관련 연구는 물론 실험실습 강의까지 가능한 국내 몇 안 되는 대학 중 한 곳입니다.
정부의 반도체 인력 육성 기조에 맞춰 개편도 준비하고 있습니다.
[최무한/경북대 IT대학 전자공학부 학부장 : "실무 필수능력을 교육하는 5년 과정에, 학·석사 연계과정으로 운영되는 학제간 융합 반도체 대학원을 신설하여 교육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정부가 반도체 관련학과 정원을 대폭 늘리기로 하면서 지방대는 오히려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반도체 관련 교육이 가능한 대학이 지방에는 한 자릿수로 꼽을 정도여서 증원이 수도권 대학에 집중되면 지방대의 학생 이탈은 더욱 심화될 거란 우려 때문입니다.
이에 경북대와 전남대 등 반도체 교육능력을 갖춘 지역 거점 국립대들은 국립대학법의 조속한 제정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현행법상 교육부에 소속된 국립대가 국립대학법 제정을 통해 자율성과 재정 지원 근거를 확보하면, 수도권 대학에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겁니다.
[임은희/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 : "국립대학법을 만들면서 그 안에 국립대학 재정 지원에 대한 명확한 규정 그리고 정부가 운영 지정을 마련해주는 뒷받침, 이런 것들이 함께 가야지만 의미 있는 결과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첨단산업 인력 육성 과정에서 또다시 불거진 지방대의 위기, 국립대학법 제정이 지역 국립대학들의 전화위복 계기가 될 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4차 산업혁명 시대, '산업의 쌀'로 불리는 반도체를 확보하기 위해 전 세계가 소리 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는데요.
우리 정부도 이 반도체 전문 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대학 반도체학과의 정원을 대폭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데, 그 틈바구니에서 지방대의 위기가 더 커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노란빛이 감도는 클린룸에서 학생들이 강의에 귀를 기울입니다.
경북대는 반도체 관련 연구는 물론 실험실습 강의까지 가능한 국내 몇 안 되는 대학 중 한 곳입니다.
정부의 반도체 인력 육성 기조에 맞춰 개편도 준비하고 있습니다.
[최무한/경북대 IT대학 전자공학부 학부장 : "실무 필수능력을 교육하는 5년 과정에, 학·석사 연계과정으로 운영되는 학제간 융합 반도체 대학원을 신설하여 교육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정부가 반도체 관련학과 정원을 대폭 늘리기로 하면서 지방대는 오히려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반도체 관련 교육이 가능한 대학이 지방에는 한 자릿수로 꼽을 정도여서 증원이 수도권 대학에 집중되면 지방대의 학생 이탈은 더욱 심화될 거란 우려 때문입니다.
이에 경북대와 전남대 등 반도체 교육능력을 갖춘 지역 거점 국립대들은 국립대학법의 조속한 제정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현행법상 교육부에 소속된 국립대가 국립대학법 제정을 통해 자율성과 재정 지원 근거를 확보하면, 수도권 대학에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겁니다.
[임은희/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 : "국립대학법을 만들면서 그 안에 국립대학 재정 지원에 대한 명확한 규정 그리고 정부가 운영 지정을 마련해주는 뒷받침, 이런 것들이 함께 가야지만 의미 있는 결과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첨단산업 인력 육성 과정에서 또다시 불거진 지방대의 위기, 국립대학법 제정이 지역 국립대학들의 전화위복 계기가 될 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 반도체 인력 육성 속 지방대 위기…“국립대학법 제정이 대안”
-
- 입력 2022-06-22 21:47:20
- 수정2022-06-22 21:58:48

[앵커]
4차 산업혁명 시대, '산업의 쌀'로 불리는 반도체를 확보하기 위해 전 세계가 소리 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는데요.
우리 정부도 이 반도체 전문 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대학 반도체학과의 정원을 대폭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데, 그 틈바구니에서 지방대의 위기가 더 커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노란빛이 감도는 클린룸에서 학생들이 강의에 귀를 기울입니다.
경북대는 반도체 관련 연구는 물론 실험실습 강의까지 가능한 국내 몇 안 되는 대학 중 한 곳입니다.
정부의 반도체 인력 육성 기조에 맞춰 개편도 준비하고 있습니다.
[최무한/경북대 IT대학 전자공학부 학부장 : "실무 필수능력을 교육하는 5년 과정에, 학·석사 연계과정으로 운영되는 학제간 융합 반도체 대학원을 신설하여 교육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정부가 반도체 관련학과 정원을 대폭 늘리기로 하면서 지방대는 오히려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반도체 관련 교육이 가능한 대학이 지방에는 한 자릿수로 꼽을 정도여서 증원이 수도권 대학에 집중되면 지방대의 학생 이탈은 더욱 심화될 거란 우려 때문입니다.
이에 경북대와 전남대 등 반도체 교육능력을 갖춘 지역 거점 국립대들은 국립대학법의 조속한 제정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현행법상 교육부에 소속된 국립대가 국립대학법 제정을 통해 자율성과 재정 지원 근거를 확보하면, 수도권 대학에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겁니다.
[임은희/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 : "국립대학법을 만들면서 그 안에 국립대학 재정 지원에 대한 명확한 규정 그리고 정부가 운영 지정을 마련해주는 뒷받침, 이런 것들이 함께 가야지만 의미 있는 결과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첨단산업 인력 육성 과정에서 또다시 불거진 지방대의 위기, 국립대학법 제정이 지역 국립대학들의 전화위복 계기가 될 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4차 산업혁명 시대, '산업의 쌀'로 불리는 반도체를 확보하기 위해 전 세계가 소리 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는데요.
우리 정부도 이 반도체 전문 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대학 반도체학과의 정원을 대폭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데, 그 틈바구니에서 지방대의 위기가 더 커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김도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노란빛이 감도는 클린룸에서 학생들이 강의에 귀를 기울입니다.
경북대는 반도체 관련 연구는 물론 실험실습 강의까지 가능한 국내 몇 안 되는 대학 중 한 곳입니다.
정부의 반도체 인력 육성 기조에 맞춰 개편도 준비하고 있습니다.
[최무한/경북대 IT대학 전자공학부 학부장 : "실무 필수능력을 교육하는 5년 과정에, 학·석사 연계과정으로 운영되는 학제간 융합 반도체 대학원을 신설하여 교육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정부가 반도체 관련학과 정원을 대폭 늘리기로 하면서 지방대는 오히려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반도체 관련 교육이 가능한 대학이 지방에는 한 자릿수로 꼽을 정도여서 증원이 수도권 대학에 집중되면 지방대의 학생 이탈은 더욱 심화될 거란 우려 때문입니다.
이에 경북대와 전남대 등 반도체 교육능력을 갖춘 지역 거점 국립대들은 국립대학법의 조속한 제정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현행법상 교육부에 소속된 국립대가 국립대학법 제정을 통해 자율성과 재정 지원 근거를 확보하면, 수도권 대학에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겁니다.
[임은희/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 : "국립대학법을 만들면서 그 안에 국립대학 재정 지원에 대한 명확한 규정 그리고 정부가 운영 지정을 마련해주는 뒷받침, 이런 것들이 함께 가야지만 의미 있는 결과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첨단산업 인력 육성 과정에서 또다시 불거진 지방대의 위기, 국립대학법 제정이 지역 국립대학들의 전화위복 계기가 될 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김동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9(대구)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도훈 기자 kinchy@kbs.co.kr
김도훈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