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안듣는 남아시아발 장티푸스 전세계 확산”
입력 2022.06.23 (11:50)
수정 2022.06.23 (11: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도와 방글라데시 등에서 발생한 항생제 내성 티푸스균이 최근 30년 사이 197차례나 국경을 넘어 세계 각국으로 전파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현지시각 22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국 스탠퍼드대와 방글라데시 아동보건연구재단, 인도 기독의대 등이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진은 장티푸스를 유발하는 티푸스균의 염기서열을 분석해 이러한 결과를 도출했습니다.
연구진은 장티푸스 피해가 극심한 방글라데시와 인도, 네팔, 파키스탄 등 4개 남아시아 국가에서 2014~2019년 발생한 장티푸스 사례 3천489건을 분석한 뒤 113년간 세계 70개국에서 수집된 유사 샘플 4천169건과 대조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이는 관련 연구 중 최대 규모로 알려졌습니다.
분석 결과 파키스탄을 제외한 나머지 남아시아 국가에선 여러 종류의 항생제를 써도 죽지 않는 다제내성균의 발생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항생제 내성 티푸스균이 국경을 넘어 여타 지역으로 전파된 사례가 1990년대 이후 최소 197차례에 이른다는 증거가 나왔다고 연구진은 밝혔습니다.
세계 보건의료계는 최근 수년간 이른바 ‘슈퍼버그’로 불리는 다제내성균의 위험성을 경고해 왔습니다. 항생제 남용 등으로 내성을 지니게 된 균이 확산할 경우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섭니다.
장티푸스는 매년 10만 명이 넘는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21일 의학저널 ‘랜싯 미생물’에 게재됐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현지시각 22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국 스탠퍼드대와 방글라데시 아동보건연구재단, 인도 기독의대 등이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진은 장티푸스를 유발하는 티푸스균의 염기서열을 분석해 이러한 결과를 도출했습니다.
연구진은 장티푸스 피해가 극심한 방글라데시와 인도, 네팔, 파키스탄 등 4개 남아시아 국가에서 2014~2019년 발생한 장티푸스 사례 3천489건을 분석한 뒤 113년간 세계 70개국에서 수집된 유사 샘플 4천169건과 대조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이는 관련 연구 중 최대 규모로 알려졌습니다.
분석 결과 파키스탄을 제외한 나머지 남아시아 국가에선 여러 종류의 항생제를 써도 죽지 않는 다제내성균의 발생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항생제 내성 티푸스균이 국경을 넘어 여타 지역으로 전파된 사례가 1990년대 이후 최소 197차례에 이른다는 증거가 나왔다고 연구진은 밝혔습니다.
세계 보건의료계는 최근 수년간 이른바 ‘슈퍼버그’로 불리는 다제내성균의 위험성을 경고해 왔습니다. 항생제 남용 등으로 내성을 지니게 된 균이 확산할 경우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섭니다.
장티푸스는 매년 10만 명이 넘는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21일 의학저널 ‘랜싯 미생물’에 게재됐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항생제 안듣는 남아시아발 장티푸스 전세계 확산”
-
- 입력 2022-06-23 11:50:27
- 수정2022-06-23 11:54:47

인도와 방글라데시 등에서 발생한 항생제 내성 티푸스균이 최근 30년 사이 197차례나 국경을 넘어 세계 각국으로 전파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현지시각 22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국 스탠퍼드대와 방글라데시 아동보건연구재단, 인도 기독의대 등이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진은 장티푸스를 유발하는 티푸스균의 염기서열을 분석해 이러한 결과를 도출했습니다.
연구진은 장티푸스 피해가 극심한 방글라데시와 인도, 네팔, 파키스탄 등 4개 남아시아 국가에서 2014~2019년 발생한 장티푸스 사례 3천489건을 분석한 뒤 113년간 세계 70개국에서 수집된 유사 샘플 4천169건과 대조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이는 관련 연구 중 최대 규모로 알려졌습니다.
분석 결과 파키스탄을 제외한 나머지 남아시아 국가에선 여러 종류의 항생제를 써도 죽지 않는 다제내성균의 발생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항생제 내성 티푸스균이 국경을 넘어 여타 지역으로 전파된 사례가 1990년대 이후 최소 197차례에 이른다는 증거가 나왔다고 연구진은 밝혔습니다.
세계 보건의료계는 최근 수년간 이른바 ‘슈퍼버그’로 불리는 다제내성균의 위험성을 경고해 왔습니다. 항생제 남용 등으로 내성을 지니게 된 균이 확산할 경우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섭니다.
장티푸스는 매년 10만 명이 넘는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21일 의학저널 ‘랜싯 미생물’에 게재됐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현지시각 22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국 스탠퍼드대와 방글라데시 아동보건연구재단, 인도 기독의대 등이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진은 장티푸스를 유발하는 티푸스균의 염기서열을 분석해 이러한 결과를 도출했습니다.
연구진은 장티푸스 피해가 극심한 방글라데시와 인도, 네팔, 파키스탄 등 4개 남아시아 국가에서 2014~2019년 발생한 장티푸스 사례 3천489건을 분석한 뒤 113년간 세계 70개국에서 수집된 유사 샘플 4천169건과 대조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이는 관련 연구 중 최대 규모로 알려졌습니다.
분석 결과 파키스탄을 제외한 나머지 남아시아 국가에선 여러 종류의 항생제를 써도 죽지 않는 다제내성균의 발생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항생제 내성 티푸스균이 국경을 넘어 여타 지역으로 전파된 사례가 1990년대 이후 최소 197차례에 이른다는 증거가 나왔다고 연구진은 밝혔습니다.
세계 보건의료계는 최근 수년간 이른바 ‘슈퍼버그’로 불리는 다제내성균의 위험성을 경고해 왔습니다. 항생제 남용 등으로 내성을 지니게 된 균이 확산할 경우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섭니다.
장티푸스는 매년 10만 명이 넘는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21일 의학저널 ‘랜싯 미생물’에 게재됐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
정지주 기자 jjcheong@kbs.co.kr
정지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