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어촌 소멸]⑤ 통계로 본 어촌 소멸…현실적인 대책은?

입력 2022.06.23 (19:29) 수정 2022.06.23 (22: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어촌 소멸 실태를 연속 보도한 최진석 기자와 몇 가지 더 짚어보겠습니다.

최 기자, 지방소멸의 한 단면입니다.

어촌소멸을 중점적으로 다뤘는데요.

이번 취재, 어떻게 시작하게 됐나요?

[기자]

네, 해마다 봄철이 되면 통영 추도의 물메기와 도다리의 생산량을 취재하게 되는데요.

올해도 추도 어촌계를 취재했는데 물메기와 도다리가 문제가 아니라, 고수온 때문에 바다에 고기가 잡히지 않아 심각한 상황이라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그래서 해양수산부 산하 한국어촌어항공단과 해양수산개발원 등 각종 자료를 찾아보니, 어촌소멸을 보여주는 많은 통계를 분석할 수 있었습니다.

남해안 바다의 평균 수온이 오르고 양식장 피해가 늘어나는 데다, 어촌 인구가 점점 줄어드는 총체적인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앵커]

어촌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각종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 뭐가 문제인가요?

[기자]

네, 가장 대표적인 정책이 '어촌뉴딜300'입니다.

정부는 2019년부터 2024년까지 모두 3조 원을 쏟아부어 전국의 어촌과 어항 300곳의 필수 기반시설을 현대화하고 주민 자치사업 등을 지원하고 있는데요.

도로 건설이나 선박 투입으로 접근성이 높아지고 체험 프로그램 마련으로 관광객은 조금씩 늘었습니다.

문제는 주민들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건물을 지어놓고도 제대로 쓰이지 않거나, 주민 고령화로 사업 추진에 동력을 이어갈 수 없다는 점입니다.

그러다 보니, 예산은 투입됐지만, 주민들에게 지속 가능한 일자리나 소득 증대를 제공하기보다는 일시적인 효과에 그치고 있는데요.

더 현실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어떤 대책이 있을까요?

[기자]

정부가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귀어, 귀촌 정책을 보면 저금리 대출이나 귀어 교육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무엇보다 청년층 유입을 위해서는 귀어에 성공한 사람과 연계를 시켜주거나, 어선업과 양식업을 기반으로 하는 유통과 관광 분야까지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또 의료나 교육, 편의시설 같은 생활 인프라 마련에 더 힘을 써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습니다.

[앵커]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영상편집:안진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고! 어촌 소멸]⑤ 통계로 본 어촌 소멸…현실적인 대책은?
    • 입력 2022-06-23 19:29:54
    • 수정2022-06-23 22:23:39
    뉴스7(창원)
[앵커]

어촌 소멸 실태를 연속 보도한 최진석 기자와 몇 가지 더 짚어보겠습니다.

최 기자, 지방소멸의 한 단면입니다.

어촌소멸을 중점적으로 다뤘는데요.

이번 취재, 어떻게 시작하게 됐나요?

[기자]

네, 해마다 봄철이 되면 통영 추도의 물메기와 도다리의 생산량을 취재하게 되는데요.

올해도 추도 어촌계를 취재했는데 물메기와 도다리가 문제가 아니라, 고수온 때문에 바다에 고기가 잡히지 않아 심각한 상황이라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그래서 해양수산부 산하 한국어촌어항공단과 해양수산개발원 등 각종 자료를 찾아보니, 어촌소멸을 보여주는 많은 통계를 분석할 수 있었습니다.

남해안 바다의 평균 수온이 오르고 양식장 피해가 늘어나는 데다, 어촌 인구가 점점 줄어드는 총체적인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앵커]

어촌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각종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 뭐가 문제인가요?

[기자]

네, 가장 대표적인 정책이 '어촌뉴딜300'입니다.

정부는 2019년부터 2024년까지 모두 3조 원을 쏟아부어 전국의 어촌과 어항 300곳의 필수 기반시설을 현대화하고 주민 자치사업 등을 지원하고 있는데요.

도로 건설이나 선박 투입으로 접근성이 높아지고 체험 프로그램 마련으로 관광객은 조금씩 늘었습니다.

문제는 주민들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건물을 지어놓고도 제대로 쓰이지 않거나, 주민 고령화로 사업 추진에 동력을 이어갈 수 없다는 점입니다.

그러다 보니, 예산은 투입됐지만, 주민들에게 지속 가능한 일자리나 소득 증대를 제공하기보다는 일시적인 효과에 그치고 있는데요.

더 현실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어떤 대책이 있을까요?

[기자]

정부가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귀어, 귀촌 정책을 보면 저금리 대출이나 귀어 교육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무엇보다 청년층 유입을 위해서는 귀어에 성공한 사람과 연계를 시켜주거나, 어선업과 양식업을 기반으로 하는 유통과 관광 분야까지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또 의료나 교육, 편의시설 같은 생활 인프라 마련에 더 힘을 써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했습니다.

[앵커]

네,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영상편집:안진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