쑥쑥 자라는 다문화 자녀…대학 진학률은 41%에 그쳐

입력 2022.06.27 (18: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서대문구에 사는 33살 장수아 씨. 장 씨는 2011년 베트남에서 한국으로 결혼 이민을 와 현재 초등학교 2학년과 4학년을 다니는 두 딸을 키우고 있습니다.

12년 차 주부인 장 씨는 살림은 자신 있지만, 아이 교육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KBS와 전화 인터뷰에서 말했습니다. 장 씨는 "한국어가 부족해서 아이들 가르치기도 어렵고, 알려달라고 해도 내가 잘 몰라서 (가르치기)어렵다"라며 한숨을 쉬었습니다.

그러면서 "다른 학부모들과 어울리기 어렵고, 다문화센터도 이런(자녀 교육) 정보는 없고, 정보를 받을 수 있는 곳도 마땅치 않다"면서 "학원을 어디 다녀야 하는지, 이 선생님의 교육이 맞는지 판단조차 못 해 학원을 그만 둔 적도 있다"고 하소연했습니다.

장 씨는 "(비 다문화가족 자녀인) 친구는 아기 때부터 한국어도 잘 알고 (교육 관련) 정보도 잘 아는데, (다문화가족 자녀는)한 국에서 태어나고 살아도 다문화(가족이)라는 이유로 기회가 줄어들어 마음이 아프다"라고 씁쓸해 했습니다.


■ 10년 이상 한국서 거주 68.8%… 중요해진 '다문화가족 자녀 교육 문제'

여성가족부는 전국 다문화가족 15,578가구를 대상으로 자녀 양육, 사회 생활과 경제 활동 등을 조사한 '2021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를 오늘(27일) 발표했습니다.

다문화가족이 우리 사회에서 더는 '특이한' 가족 형태가 아니라는 것을 반영하듯 실태 조사에서는 국내에서 15년 이상 거주한 결혼 이민자와 귀화자 비율이 39.9%로 나타났습니다. 10년~15년 미만 거주자도 28.9%, 5년~10년 미만이 19.2%입니다. 오히려 5년 미만 '단기 거주' 비율이 가장 적은 12.1%였습니다.

한국에서 10년 이상 거주한 비율이 68.8%인 만큼 자녀가 '학령 인구'에 들어가는 비율도 자연스럽게 늘었습니다. 다문화가족 자녀가 청소년(만 9살~만 24살)인 비율은 43.9%였습니다. 다문화가족 부부 약 4명 중 한 명(26.7%)은 부부 간 갈등 이유로 '자녀 양육'을 꼽을 만큼 다문화가족에게 '자녀 양육'은 중요하면서 어려운 관심사입니다.


■청소년 자녀 둔 다문화가족 10가구 중 9가구 "자녀 양육 어려워"

만 5살 이하 자녀가 있는 다문화가족 가운데 73.7%는 자녀 양육이 어렵다고 응답했습니다. 가장 큰 어려움으로 한국어 지도(26.8%)라고 호소했습니다. 자녀가 어린 만큼 긴급돌봄(20.5%)이 다음을 차지했고, 자녀 양육에 대한 의견 차이 15.8%, 학제 정보 부족 8% 순이었습니다.

'의무 교육'을 1년 앞둔 만 6살부터 청소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부모들은 자녀 교육에 대한 어려움을 더 크게 호소했습니다. 만 6살부터 만 24살 자녀를 둔 다문화 가족 10가구 가운데 9가구 꼴(88.1%)로 자녀 양육이 어렵다고 응답했습니다.

이유로는 자녀가 '학령 인구'가 된 만큼 학습지도와 학업관리의 어려움(50.4%)이 가장 높았고, 진로나 진학 등에 관한 정보 부족(37.6%), 비용 부담 3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양육의 어려움 1~3위가 모두 '학습과 진학'으로 조사됐습니다.


■ 다문화가족 자녀의 10% '아버지와 하루종일 대화 안 해'

다문화가족 가운데 77.3%는 '한국 출신 남편'을 둔 경우로, 가장 비율이 높았습니다. 따라서 한국에 익숙한 '한국인 남편'이 한국어 지도 등 자녀 양육에 도움을 준다면 교육의 어려움이 다소 줄어들 수 있을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이마저 쉽지 않습니다. 다문화가족 자녀와 한국인 아버지 간 대화 자체가 적기 때문입니다.

하루에 한 시간도 아버지와 대화하지 않는다고 답한 다문화가족 자녀의 비율은 74.6%였습니다. 심지어 10명 중 1명(10.5%)은 아버지와 온종일 전혀 대화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전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나온 7.9%보다 2.6%p 높은 수치입니다.


■ 다문화 청소년 대학 취학률 41%에 불과…전 국민 71%와 격차

'양육의 어려움'은 다문화가족 자녀의 취학률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다문화가족 자녀의 초등학교 취학률은 95.3%, 중학교 95.7%, 그리고 고등학교 94.5%로 '의무 교육'의 경우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한 취학률과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의무 교육이 끝난 뒤인 대학 진학 이상의 고등교육기관 취학률은 40.5%에 불과했습니다. 다문화가족 자녀 두 명 중 한 명도 의무 교육 이상의 고등교육을 받지 못하는 셈입니다. 전체 국민의 고등교육기관 취학률은 71.5%인 것과 확연한 차이를 보입니다.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90.9%는 국내에서만 성장한 '똑같은 대한민국 청소년'인데 고등교육기관에 가는 비율은 전체 국민의 56%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 다문화가족 청소년 10명 중 9명 대학 원하지만…"지원 고민해야"

다문화가족 청소년들이 고등교육을 받기 싫은 게 아닙니다. 전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조사나 다문화가족 자녀를 대상으로 한 조사 모두 10명 중 9명꼴로 대학 진학 등 고등교육기관에서 교육을 원한다고 집계됐습니다. 내부적 이유가 원인이 아니면 '대학 취학률 40%'란 결과는 외부적 이유가 만든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실태조사를 진행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최윤정 연구위원은 이번 조사는 현상을 보여주기 위한 목적의 실태조사여서 분석이 더 필요하겠지만, 몇 가지 원인을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최 연구위원은 "현재 다문화가족 지원 정책은 초기 정착 위주로 돼 있는데, 이제는 그 이후에 (다문화가족) 자녀 세대에 대한 지원이 어떤 것이 필요한지 고민이 필요할 시점이다"고 진단했습니다.


또 여성가족부 김숙자 가족정책관은 "우리나라 교육 여건상 부모의 관심과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면서 "결혼 이민자는 상대적으로 언어 소통이 어렵고 입시 정보가 부족한 탓에 자녀 교육에 어려움을 더 많이 겪는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다문화가족 자녀의 사교육 참여율이 전체 청소년에 비해 낮은 것도 원인 중 하나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2021년 기준 다문화가족 자녀의 사교육 참여율은 67.1%로 전체 청소년 77.8%보다 10.7%p 낮습니다. 또 사교육 시간 역시 주당 8.89시간으로 전체 청소년보다 0.18시간 적은 상황입니다.


여성가족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다문화가족 정책 방향과 비전을 제시하고 학령기 자녀 맞춤형 교육·돌봄체계를 담은 '제4차 다문화가족 정책 기본계획(2023~2028)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다문화가족 자녀의 교육 격차를 줄이기 위해 초등학교 입학 전후 읽기, 쓰기와 셈하기 등 다문화가족 자녀 기초학습 지원 사업과 학업·진로 상담 서비스 등을 확대하겠다고 여가부는 설명했습니다.

(인포그래픽: 권세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쑥쑥 자라는 다문화 자녀…대학 진학률은 41%에 그쳐
    • 입력 2022-06-27 18:04:57
    취재K

서울 서대문구에 사는 33살 장수아 씨. 장 씨는 2011년 베트남에서 한국으로 결혼 이민을 와 현재 초등학교 2학년과 4학년을 다니는 두 딸을 키우고 있습니다.

12년 차 주부인 장 씨는 살림은 자신 있지만, 아이 교육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KBS와 전화 인터뷰에서 말했습니다. 장 씨는 "한국어가 부족해서 아이들 가르치기도 어렵고, 알려달라고 해도 내가 잘 몰라서 (가르치기)어렵다"라며 한숨을 쉬었습니다.

그러면서 "다른 학부모들과 어울리기 어렵고, 다문화센터도 이런(자녀 교육) 정보는 없고, 정보를 받을 수 있는 곳도 마땅치 않다"면서 "학원을 어디 다녀야 하는지, 이 선생님의 교육이 맞는지 판단조차 못 해 학원을 그만 둔 적도 있다"고 하소연했습니다.

장 씨는 "(비 다문화가족 자녀인) 친구는 아기 때부터 한국어도 잘 알고 (교육 관련) 정보도 잘 아는데, (다문화가족 자녀는)한 국에서 태어나고 살아도 다문화(가족이)라는 이유로 기회가 줄어들어 마음이 아프다"라고 씁쓸해 했습니다.


■ 10년 이상 한국서 거주 68.8%… 중요해진 '다문화가족 자녀 교육 문제'

여성가족부는 전국 다문화가족 15,578가구를 대상으로 자녀 양육, 사회 생활과 경제 활동 등을 조사한 '2021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를 오늘(27일) 발표했습니다.

다문화가족이 우리 사회에서 더는 '특이한' 가족 형태가 아니라는 것을 반영하듯 실태 조사에서는 국내에서 15년 이상 거주한 결혼 이민자와 귀화자 비율이 39.9%로 나타났습니다. 10년~15년 미만 거주자도 28.9%, 5년~10년 미만이 19.2%입니다. 오히려 5년 미만 '단기 거주' 비율이 가장 적은 12.1%였습니다.

한국에서 10년 이상 거주한 비율이 68.8%인 만큼 자녀가 '학령 인구'에 들어가는 비율도 자연스럽게 늘었습니다. 다문화가족 자녀가 청소년(만 9살~만 24살)인 비율은 43.9%였습니다. 다문화가족 부부 약 4명 중 한 명(26.7%)은 부부 간 갈등 이유로 '자녀 양육'을 꼽을 만큼 다문화가족에게 '자녀 양육'은 중요하면서 어려운 관심사입니다.


■청소년 자녀 둔 다문화가족 10가구 중 9가구 "자녀 양육 어려워"

만 5살 이하 자녀가 있는 다문화가족 가운데 73.7%는 자녀 양육이 어렵다고 응답했습니다. 가장 큰 어려움으로 한국어 지도(26.8%)라고 호소했습니다. 자녀가 어린 만큼 긴급돌봄(20.5%)이 다음을 차지했고, 자녀 양육에 대한 의견 차이 15.8%, 학제 정보 부족 8% 순이었습니다.

'의무 교육'을 1년 앞둔 만 6살부터 청소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부모들은 자녀 교육에 대한 어려움을 더 크게 호소했습니다. 만 6살부터 만 24살 자녀를 둔 다문화 가족 10가구 가운데 9가구 꼴(88.1%)로 자녀 양육이 어렵다고 응답했습니다.

이유로는 자녀가 '학령 인구'가 된 만큼 학습지도와 학업관리의 어려움(50.4%)이 가장 높았고, 진로나 진학 등에 관한 정보 부족(37.6%), 비용 부담 3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양육의 어려움 1~3위가 모두 '학습과 진학'으로 조사됐습니다.


■ 다문화가족 자녀의 10% '아버지와 하루종일 대화 안 해'

다문화가족 가운데 77.3%는 '한국 출신 남편'을 둔 경우로, 가장 비율이 높았습니다. 따라서 한국에 익숙한 '한국인 남편'이 한국어 지도 등 자녀 양육에 도움을 준다면 교육의 어려움이 다소 줄어들 수 있을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이마저 쉽지 않습니다. 다문화가족 자녀와 한국인 아버지 간 대화 자체가 적기 때문입니다.

하루에 한 시간도 아버지와 대화하지 않는다고 답한 다문화가족 자녀의 비율은 74.6%였습니다. 심지어 10명 중 1명(10.5%)은 아버지와 온종일 전혀 대화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전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나온 7.9%보다 2.6%p 높은 수치입니다.


■ 다문화 청소년 대학 취학률 41%에 불과…전 국민 71%와 격차

'양육의 어려움'은 다문화가족 자녀의 취학률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다문화가족 자녀의 초등학교 취학률은 95.3%, 중학교 95.7%, 그리고 고등학교 94.5%로 '의무 교육'의 경우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한 취학률과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의무 교육이 끝난 뒤인 대학 진학 이상의 고등교육기관 취학률은 40.5%에 불과했습니다. 다문화가족 자녀 두 명 중 한 명도 의무 교육 이상의 고등교육을 받지 못하는 셈입니다. 전체 국민의 고등교육기관 취학률은 71.5%인 것과 확연한 차이를 보입니다.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90.9%는 국내에서만 성장한 '똑같은 대한민국 청소년'인데 고등교육기관에 가는 비율은 전체 국민의 56%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 다문화가족 청소년 10명 중 9명 대학 원하지만…"지원 고민해야"

다문화가족 청소년들이 고등교육을 받기 싫은 게 아닙니다. 전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조사나 다문화가족 자녀를 대상으로 한 조사 모두 10명 중 9명꼴로 대학 진학 등 고등교육기관에서 교육을 원한다고 집계됐습니다. 내부적 이유가 원인이 아니면 '대학 취학률 40%'란 결과는 외부적 이유가 만든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실태조사를 진행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최윤정 연구위원은 이번 조사는 현상을 보여주기 위한 목적의 실태조사여서 분석이 더 필요하겠지만, 몇 가지 원인을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최 연구위원은 "현재 다문화가족 지원 정책은 초기 정착 위주로 돼 있는데, 이제는 그 이후에 (다문화가족) 자녀 세대에 대한 지원이 어떤 것이 필요한지 고민이 필요할 시점이다"고 진단했습니다.


또 여성가족부 김숙자 가족정책관은 "우리나라 교육 여건상 부모의 관심과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면서 "결혼 이민자는 상대적으로 언어 소통이 어렵고 입시 정보가 부족한 탓에 자녀 교육에 어려움을 더 많이 겪는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다문화가족 자녀의 사교육 참여율이 전체 청소년에 비해 낮은 것도 원인 중 하나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2021년 기준 다문화가족 자녀의 사교육 참여율은 67.1%로 전체 청소년 77.8%보다 10.7%p 낮습니다. 또 사교육 시간 역시 주당 8.89시간으로 전체 청소년보다 0.18시간 적은 상황입니다.


여성가족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다문화가족 정책 방향과 비전을 제시하고 학령기 자녀 맞춤형 교육·돌봄체계를 담은 '제4차 다문화가족 정책 기본계획(2023~2028)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다문화가족 자녀의 교육 격차를 줄이기 위해 초등학교 입학 전후 읽기, 쓰기와 셈하기 등 다문화가족 자녀 기초학습 지원 사업과 학업·진로 상담 서비스 등을 확대하겠다고 여가부는 설명했습니다.

(인포그래픽: 권세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