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심고 숲 가꾸고…‘대프리카’ 오명 벗으려면?

입력 2022.06.29 (08: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약

쓰레기 매립장 위에 생긴 대구수목원…개원 20주년
녹지 확대…'대프리카' 오명 벗나?
해외 녹지 관리 사례는?…"가로수, 질적 개선 해야"


도심 속 시민들의 휴식처로 사랑받는 대구 수목원이 개원 20주년을 맞았습니다. 대구 수목원은 특별한 역사를 갖고 있는데요. 1986년부터 1990년까지 생활 쓰레기 410만 톤이 매립됐던 곳을 탈바꿈시켜 도심형 수목원으로 만든 곳이기 때문입니다.

이때부터였을까요? 대구는 녹지 축 조성 등 기후 위기 대응에 '진심'이었는데요.


■ 녹지 양적 성장…열대야·온열 질환 '전국 최저' 수준

대구시는 1995년 8만 4천 그루였던 가로수를 지속적으로 조성해 2020년에는 22만 7천 그루로 늘렸습니다. 이는 25년 사이 2.7배 증가한 수치인데요. 가로수 총량으로 보면 특·광역시 중에서는 서울과 울산 다음으로 가장 많고, 대구시민 한 명당 0.09그루인 셈입니다.

공원과 도시 숲, 가로수 조성 등은 도시 경관 개선과 대기 정화 등의 기능도 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폭염도시', '대프리카(대구+아프리카)'라는 오명이 붙은 대구에서 폭염 영향을 줄이고 열섬 현상을 낮추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데요.

실제로 대구에서는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2010년대(2010~2019년) 대구의 폭염 대비 열대야 발생일은 0.6일로 전국 특·광역시 중 가장 적었습니다. 같은 기간 부산이 6.4일로 가장 많고 인천이 4.7일로 뒤를 이었습니다. 열대야 발생 일수 역시 같은 기간 대구는 19.7일로 부산 22.3일과 인천 20일보다 적었습니다.


온열 질환자 발생 수도 2016년부터 5년간 대구는 인구 10만 명당 2.1명으로 전국 특·광역시 중 최저 수준이었습니다. 같은 기간 광주는 5.1명, 울산은 4.4명을 기록했습니다. 물론, 폭염 저감 시설 확대와 취약계층에 대한 예찰 등 다양한 폭염 대책의 결과겠지만 녹지 조성 등의 영향도 크겠죠.

■ "가로수의 체계적인 관리 필요"

다만, 도시 숲이나 가로수의 양적 성장과 더불어 이제는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2020년 기준 대구의 가로수 22만 7천 그루의 연간 관리비는 15억 5천만 원에 불과하고, 이마저도 올해는 14억 5천만 원으로 줄었습니다. 대구경북연구원은 "연간 가로수 관리비용을 단순 계산하면 1그루당 6,828원으로, 매년 주기적이고 세심한 관리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자료 출처: 대구경북연구원자료 출처: 대구경북연구원

해외에서는 가로수에 대해 조금 더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지는사례들이 많습니다.

미국 사례를 보면 뉴욕시는 1995년부터 10년에 한 번씩 '트리카운트(Tree Count)'라는 가로수 조사를 합니다. 이를 통해 온라인상에서 가로수 수종과 연혁 특성 등 현황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 시민이나 학생들이 특정 나무를 '내 나무'로 지정해 생육을 관찰하고 물을 주거나 쓰레기를 줍는 '트리 케어(Tree Care)' 활동도 진행합니다.

자료 출처: 대구경북연구원자료 출처: 대구경북연구원

영국 런던에서는 '수관 피복률'을 활용한 도시 나무 지도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수관 피복률'이란 하늘에서 봤을 때 도시 면적 중 차지하는 녹지 비율을 뜻하는데요. 런던은 2050년까지 수관 피복률을 10% 이상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과도한 가지치기를 지양하고 매뉴얼에 따른 건강한 가로수 관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 기업과 공공의 후원을 촉진해 가로수의 양적 확대와 함께, 질적 개선도 추구하고 있습니다.


대구경북연구원은 이를 바탕으로 대구에도 체계적인 가로수 데이터 조성과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또 충분한 예산을 통해 주기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가지치기와 관리가 이뤄져야 하고요. 현재 구·군에서 관리하고 있는 가로수를 시민과 민간 단체, 관련 전문가 등 관리 주체를 다양화하고 협업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나무 심고 숲 가꾸고. 가까이 보면 폭염 대책으로, 조금 더 멀리 보면 탄소 중립을 위해 계속 이어가야 할 활동입니다. 혁신적이고 선도적으로 녹지 축을 만들어온 대구시. 이제는 지속 가능한 녹지 조성을 위한 더욱 장기적인 관점이 더해질 때입니다.

그래픽 김지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나무 심고 숲 가꾸고…‘대프리카’ 오명 벗으려면?
    • 입력 2022-06-29 08:00:21
    취재K
쓰레기 매립장 위에 생긴 대구수목원…개원 20주년<br />녹지 확대…'대프리카' 오명 벗나?<br />해외 녹지 관리 사례는?…"가로수, 질적 개선 해야"

도심 속 시민들의 휴식처로 사랑받는 대구 수목원이 개원 20주년을 맞았습니다. 대구 수목원은 특별한 역사를 갖고 있는데요. 1986년부터 1990년까지 생활 쓰레기 410만 톤이 매립됐던 곳을 탈바꿈시켜 도심형 수목원으로 만든 곳이기 때문입니다.

이때부터였을까요? 대구는 녹지 축 조성 등 기후 위기 대응에 '진심'이었는데요.


■ 녹지 양적 성장…열대야·온열 질환 '전국 최저' 수준

대구시는 1995년 8만 4천 그루였던 가로수를 지속적으로 조성해 2020년에는 22만 7천 그루로 늘렸습니다. 이는 25년 사이 2.7배 증가한 수치인데요. 가로수 총량으로 보면 특·광역시 중에서는 서울과 울산 다음으로 가장 많고, 대구시민 한 명당 0.09그루인 셈입니다.

공원과 도시 숲, 가로수 조성 등은 도시 경관 개선과 대기 정화 등의 기능도 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폭염도시', '대프리카(대구+아프리카)'라는 오명이 붙은 대구에서 폭염 영향을 줄이고 열섬 현상을 낮추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데요.

실제로 대구에서는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2010년대(2010~2019년) 대구의 폭염 대비 열대야 발생일은 0.6일로 전국 특·광역시 중 가장 적었습니다. 같은 기간 부산이 6.4일로 가장 많고 인천이 4.7일로 뒤를 이었습니다. 열대야 발생 일수 역시 같은 기간 대구는 19.7일로 부산 22.3일과 인천 20일보다 적었습니다.


온열 질환자 발생 수도 2016년부터 5년간 대구는 인구 10만 명당 2.1명으로 전국 특·광역시 중 최저 수준이었습니다. 같은 기간 광주는 5.1명, 울산은 4.4명을 기록했습니다. 물론, 폭염 저감 시설 확대와 취약계층에 대한 예찰 등 다양한 폭염 대책의 결과겠지만 녹지 조성 등의 영향도 크겠죠.

■ "가로수의 체계적인 관리 필요"

다만, 도시 숲이나 가로수의 양적 성장과 더불어 이제는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2020년 기준 대구의 가로수 22만 7천 그루의 연간 관리비는 15억 5천만 원에 불과하고, 이마저도 올해는 14억 5천만 원으로 줄었습니다. 대구경북연구원은 "연간 가로수 관리비용을 단순 계산하면 1그루당 6,828원으로, 매년 주기적이고 세심한 관리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자료 출처: 대구경북연구원
해외에서는 가로수에 대해 조금 더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지는사례들이 많습니다.

미국 사례를 보면 뉴욕시는 1995년부터 10년에 한 번씩 '트리카운트(Tree Count)'라는 가로수 조사를 합니다. 이를 통해 온라인상에서 가로수 수종과 연혁 특성 등 현황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 시민이나 학생들이 특정 나무를 '내 나무'로 지정해 생육을 관찰하고 물을 주거나 쓰레기를 줍는 '트리 케어(Tree Care)' 활동도 진행합니다.

자료 출처: 대구경북연구원
영국 런던에서는 '수관 피복률'을 활용한 도시 나무 지도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수관 피복률'이란 하늘에서 봤을 때 도시 면적 중 차지하는 녹지 비율을 뜻하는데요. 런던은 2050년까지 수관 피복률을 10% 이상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과도한 가지치기를 지양하고 매뉴얼에 따른 건강한 가로수 관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 기업과 공공의 후원을 촉진해 가로수의 양적 확대와 함께, 질적 개선도 추구하고 있습니다.


대구경북연구원은 이를 바탕으로 대구에도 체계적인 가로수 데이터 조성과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또 충분한 예산을 통해 주기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가지치기와 관리가 이뤄져야 하고요. 현재 구·군에서 관리하고 있는 가로수를 시민과 민간 단체, 관련 전문가 등 관리 주체를 다양화하고 협업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나무 심고 숲 가꾸고. 가까이 보면 폭염 대책으로, 조금 더 멀리 보면 탄소 중립을 위해 계속 이어가야 할 활동입니다. 혁신적이고 선도적으로 녹지 축을 만들어온 대구시. 이제는 지속 가능한 녹지 조성을 위한 더욱 장기적인 관점이 더해질 때입니다.

그래픽 김지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