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라면 소비 1위’ 베트남에서 한국 라면은 왜 인기 없을까
입력 2022.07.12 (08:00) 취재K
한국의 '라면 부심'에 베트남이 상처를 입혔다. 세계라면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베트남의 연간 1인당 라면 소비량은 87개. 부동의 세계 1위였던 한국(73개)을 처음 뛰어넘었다. 베트남의 1인당 라면 소비량은 매년 20~30% 증가세를 보일 만큼 성장세가 뚜렷하다. 전체 라면 시장은 86억 개(2021년) 수준이다.
베트남 라면 시장이 급성장하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지난해 9월 '베트남 라면 시장 동향'을 발간했다. 이 보고서에서 공사는 베트남이 전세계 라면 시장의 허브로 발돋움 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면류 소비량이 높아 한국 라면의 진출 필요성을 강조했다.

■ 도시 봉쇄 탓에 라면 소비 늘었나?
베트남의 '라면 사랑'은 어디서 비롯됐을까. 세계라면협회의 한국 대표 파트너사, 농심의 설명은 이렇다. "최근 베트남이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구매력이 높아진 데다, 코로나19로 인해 외식보다 집에서 한 끼를 해결하려는 경향이 확산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런데 베트남 현지에서 10년 넘게 기업 주재원으로 일하면서 <왜 베트남 시장인가>를 쓴 시장 분석가 유영국 씨는 '가슴 아픈 사연'이 있다고 분석한다.
"코로나19로 베트남 정부는 6개월 간 도시를 봉쇄하고, 3개월 간 집 밖으로 못 나가도록 했습니다. 베트남 사람들은 대개 아침이나 점심에 바깥에서 쌀국수를 먹는데, 그러질 못하다 보니 저임금 노동자들 중심으로 비상식량인 '라면' 소비가 늘었습니다" |
![지난해 10월 베트남의 도시 봉쇄가 풀리자마자 도시를 빠져나가는 사람들. [유영국 씨 제공]](/data/fckeditor/new/image/2022/07/11/315831657514236451.jpg)
베트남를 비롯해 동남아에선 65~85g 중량의 '미니 사이즈' 라면을 주로 먹는다. 한국의 봉지 라면은 보통 120g이다. (실제로 그램 기준으로 먹은 라면양을 따져보면 한국인이 베트남인보다 더 많이 먹었을 것이다)
우리처럼 라면을 냄비에 끓여 먹지 않고, 대접에 라면과 스프를 붓고 뜨거운 물을 부어 먹는다. 컵라면과 유사한 방식이다. 수돗물에 석회질이 많아 국물은 잘 마시지 않는다. 스프에 향신료 '고수'가 들어가 있는 경우가 있어 시큼한 맛이 난다고 한다.

■ 라면, 식품 수출 1위…베트남은 전체 수출국가 중 15위
라면은 올해 상반기 농축산식품 수출 품목 중 단일 품목으로는 가장 큰 규모를 차지했다. 상반기만 3억 8,370만 달러를 수출해 '전통의 강호' 김(3억 7,590만 달러)을 제쳤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0% 늘어난 수치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베트남을 비롯한 전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제품(매운맛, 할랄라면 등)이 인기를 끌고 대형유통매장, 편의점 및 온라인몰 등 다양한 유통망을 통한 입점이 확대되면서 수출이 증가했다"라고 분석했다.
우리의 라면 수출 1·2위 국가는 중국과 미국이다. 상반기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이 9,190만 달러, 미국이 4,790만 달러로 두 국가가 차지하는 비중이 36.3%를 차지한다. 베트남을 비롯해 필리핀, 태국 등 '신남방' 국가들 상반기 수출액은 7,220만 달러를 기록했다. 관세청 수출입 통계를 보면 베트남 수출액은 약 700만 달러 가량으로, 전체 수출 국가 중 15위 수준이다. 동남아에서 한국 라면은 필리핀과 태국,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 더 많이 팔리고 있다.
■ K-라면의 설익은 베트남 공략
베트남의 라면 시장은 자국 회사 중심이다. 2020년 기준 에이스쿡(Acecook Vietnam)이 33.2%의 시장 점유율로 계속 1위를 지키고 있다. 2위는 시장점유율 20.7%의 마산그룹(Masan), 3위 Uniben 10.8%, 4위 Asia Cook 7.6% 순이다. 에이스쿡은 1993년 일본의 종합상사인 '마루베니'가 베트남 업체와 합작 형태로 설립한 회사다. 마산 컨슈머는 SK그룹과 국민연금이 5,300억원을 투자해 널리 알려진, '마산 그룹'의 대표 식품 자회사라고 한다.
![팔도가 베트남 푸터성에 지은 1만 2,000제곱미터 규모의 현지 라면 공장 [사진제공 = 팔도]](/data/fckeditor/new/image/2022/07/11/315831657512406467.png)
우리 라면 회사 '빅4'(농심·팔도·삼양·오뚜기)는 아직까지 베트남 시장에서 뚜렷한 성과는 거두지 못하고 있다. 다만, 팔도가 2019년 베트남에서 약 344억 원 가량 매출을 올리면서 '톱10'에 처음 진입하기도 했다. 팔도는 2006년 베트남 법인(팔도비나)를 설립하고 2012년 한국 회사 중 처음으로 푸터성 푸닌현에 현지 공장을 지었다. 지난해 라면 판매량은 12만 3,611개로, 전년 대비 10.3% 성장했다고 한다.
오뚜기도 2018년 베트남 북부에 라면공장을 설립하고, 80g 중량의 ‘진라면 미니’를 출시하는 등 현지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농심의 경우 호치민에 신라면 푸드트럭을 운영하는 등 베트남 마케팅에 공을 들이는 추세다. 삼양식품은 2018년 베트남 유통업체 ‘사이공 쿱’과 손잡고 '불닭볶음면' 등 주력 제품 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한국 라면회사들은 베트남 내 한인 시장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현재 베트남에는 한국인이 20만 명 정도 살고 있다.) 베트남에서 가장 인기 있는 팔도의 한국 라면 코레노(KORENO)도 냄비에 끓여 먹는 '한국식 라면'이다. 컵라면과 비슷하게 라면을 조리하고, 국물을 먹지 않는 베트남의 식문화와는 거리가 있는 셈이다.
한 라면회사 관계자는 "라면 수출은 중국 시장이 가장 '큰 손'이기 때문에 동남아 시장에 맞춰 면과 스프, 건더기 레시피를 바꾸는 건 쉽지 않다" 라고 말했다. 유영국 씨는 "식품회사들이 한국식 얼큰한 맛만 고집하면서 한류 마케팅에 기대는 건 한계가 있다"라면서 "단기적 성과에 매달리기 보다는 베트남 식문화에 대한 이해가 먼저"라고 지적했다.
- ‘라면 소비 1위’ 베트남에서 한국 라면은 왜 인기 없을까
-
- 입력 2022-07-12 08:00:18

한국의 '라면 부심'에 베트남이 상처를 입혔다. 세계라면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베트남의 연간 1인당 라면 소비량은 87개. 부동의 세계 1위였던 한국(73개)을 처음 뛰어넘었다. 베트남의 1인당 라면 소비량은 매년 20~30% 증가세를 보일 만큼 성장세가 뚜렷하다. 전체 라면 시장은 86억 개(2021년) 수준이다.
베트남 라면 시장이 급성장하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지난해 9월 '베트남 라면 시장 동향'을 발간했다. 이 보고서에서 공사는 베트남이 전세계 라면 시장의 허브로 발돋움 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면류 소비량이 높아 한국 라면의 진출 필요성을 강조했다.

■ 도시 봉쇄 탓에 라면 소비 늘었나?
베트남의 '라면 사랑'은 어디서 비롯됐을까. 세계라면협회의 한국 대표 파트너사, 농심의 설명은 이렇다. "최근 베트남이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구매력이 높아진 데다, 코로나19로 인해 외식보다 집에서 한 끼를 해결하려는 경향이 확산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런데 베트남 현지에서 10년 넘게 기업 주재원으로 일하면서 <왜 베트남 시장인가>를 쓴 시장 분석가 유영국 씨는 '가슴 아픈 사연'이 있다고 분석한다.
"코로나19로 베트남 정부는 6개월 간 도시를 봉쇄하고, 3개월 간 집 밖으로 못 나가도록 했습니다. 베트남 사람들은 대개 아침이나 점심에 바깥에서 쌀국수를 먹는데, 그러질 못하다 보니 저임금 노동자들 중심으로 비상식량인 '라면' 소비가 늘었습니다" |
![지난해 10월 베트남의 도시 봉쇄가 풀리자마자 도시를 빠져나가는 사람들. [유영국 씨 제공]](/data/fckeditor/new/image/2022/07/11/315831657514236451.jpg)
베트남를 비롯해 동남아에선 65~85g 중량의 '미니 사이즈' 라면을 주로 먹는다. 한국의 봉지 라면은 보통 120g이다. (실제로 그램 기준으로 먹은 라면양을 따져보면 한국인이 베트남인보다 더 많이 먹었을 것이다)
우리처럼 라면을 냄비에 끓여 먹지 않고, 대접에 라면과 스프를 붓고 뜨거운 물을 부어 먹는다. 컵라면과 유사한 방식이다. 수돗물에 석회질이 많아 국물은 잘 마시지 않는다. 스프에 향신료 '고수'가 들어가 있는 경우가 있어 시큼한 맛이 난다고 한다.

■ 라면, 식품 수출 1위…베트남은 전체 수출국가 중 15위
라면은 올해 상반기 농축산식품 수출 품목 중 단일 품목으로는 가장 큰 규모를 차지했다. 상반기만 3억 8,370만 달러를 수출해 '전통의 강호' 김(3억 7,590만 달러)을 제쳤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0% 늘어난 수치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베트남을 비롯한 전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제품(매운맛, 할랄라면 등)이 인기를 끌고 대형유통매장, 편의점 및 온라인몰 등 다양한 유통망을 통한 입점이 확대되면서 수출이 증가했다"라고 분석했다.
우리의 라면 수출 1·2위 국가는 중국과 미국이다. 상반기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이 9,190만 달러, 미국이 4,790만 달러로 두 국가가 차지하는 비중이 36.3%를 차지한다. 베트남을 비롯해 필리핀, 태국 등 '신남방' 국가들 상반기 수출액은 7,220만 달러를 기록했다. 관세청 수출입 통계를 보면 베트남 수출액은 약 700만 달러 가량으로, 전체 수출 국가 중 15위 수준이다. 동남아에서 한국 라면은 필리핀과 태국,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 더 많이 팔리고 있다.
■ K-라면의 설익은 베트남 공략
베트남의 라면 시장은 자국 회사 중심이다. 2020년 기준 에이스쿡(Acecook Vietnam)이 33.2%의 시장 점유율로 계속 1위를 지키고 있다. 2위는 시장점유율 20.7%의 마산그룹(Masan), 3위 Uniben 10.8%, 4위 Asia Cook 7.6% 순이다. 에이스쿡은 1993년 일본의 종합상사인 '마루베니'가 베트남 업체와 합작 형태로 설립한 회사다. 마산 컨슈머는 SK그룹과 국민연금이 5,300억원을 투자해 널리 알려진, '마산 그룹'의 대표 식품 자회사라고 한다.
![팔도가 베트남 푸터성에 지은 1만 2,000제곱미터 규모의 현지 라면 공장 [사진제공 = 팔도]](/data/fckeditor/new/image/2022/07/11/315831657512406467.png)
우리 라면 회사 '빅4'(농심·팔도·삼양·오뚜기)는 아직까지 베트남 시장에서 뚜렷한 성과는 거두지 못하고 있다. 다만, 팔도가 2019년 베트남에서 약 344억 원 가량 매출을 올리면서 '톱10'에 처음 진입하기도 했다. 팔도는 2006년 베트남 법인(팔도비나)를 설립하고 2012년 한국 회사 중 처음으로 푸터성 푸닌현에 현지 공장을 지었다. 지난해 라면 판매량은 12만 3,611개로, 전년 대비 10.3% 성장했다고 한다.
오뚜기도 2018년 베트남 북부에 라면공장을 설립하고, 80g 중량의 ‘진라면 미니’를 출시하는 등 현지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농심의 경우 호치민에 신라면 푸드트럭을 운영하는 등 베트남 마케팅에 공을 들이는 추세다. 삼양식품은 2018년 베트남 유통업체 ‘사이공 쿱’과 손잡고 '불닭볶음면' 등 주력 제품 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한국 라면회사들은 베트남 내 한인 시장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현재 베트남에는 한국인이 20만 명 정도 살고 있다.) 베트남에서 가장 인기 있는 팔도의 한국 라면 코레노(KORENO)도 냄비에 끓여 먹는 '한국식 라면'이다. 컵라면과 비슷하게 라면을 조리하고, 국물을 먹지 않는 베트남의 식문화와는 거리가 있는 셈이다.
한 라면회사 관계자는 "라면 수출은 중국 시장이 가장 '큰 손'이기 때문에 동남아 시장에 맞춰 면과 스프, 건더기 레시피를 바꾸는 건 쉽지 않다" 라고 말했다. 유영국 씨는 "식품회사들이 한국식 얼큰한 맛만 고집하면서 한류 마케팅에 기대는 건 한계가 있다"라면서 "단기적 성과에 매달리기 보다는 베트남 식문화에 대한 이해가 먼저"라고 지적했다.
- 기자 정보
-
-
장혁진 기자 analogue@kbs.co.kr
장혁진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