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수족구 다시 증가…“의심 땐 접촉자제”

입력 2022.07.15 (10:49) 수정 2022.07.15 (1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영유아 수족구병 환자가 늘고 있어, 질병관리청이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질병청은 전국 211개 표본감시기관에서 수족구병 의사환자분율(1천명당 의심환자수)을 조사한 결과 6월 2주(12∼18일) 1.7명에서 6월 3주(19∼25일) 2.6명, 6월 4주(26일∼7월 2일) 5.4명, 7월 1주(3~9일) 10.3명으로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코로나19 유행 이전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 지난 2년여간 추이와 비교해서는 발생 비율이 높은 것입니다.

특히 0~6세의 경우 1천명당 수족구병 의심환자 비율이 6월 2주 2.2명, 6월 3주 3.4명, 6월 4주 7.2명, 7월 1주 13.8명으로 더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수족구병은 콕사키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열, 입안의 물집과 궤양,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 등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영유아에게서 많이 발생하고, 감염된 사람의 침, 가래, 콧물, 수포의 진물 등의 분비물 또는 대변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됩니다.

수족구병은 확진자의 대변이나 분비물과 직·간접 접촉할 때 전파되므로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에서 아이를 돌보기 전·후 손을 씻고 장난감을 소독하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수족구병은 증상 발생 후 대부분 7~10일 후 자연 회복하나, 드물게 뇌수막염, 뇌염, 마비증상이 올 수 있어 고열, 구토, 무기력 증상이 생길 경우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수족구병이 의심될 경우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고 다중이용시설 이용을 자제해야 한다”며 “예방을 위해 수영장, 키즈카페, 문화센터 등 어린이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도 소독 등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영유아 수족구 다시 증가…“의심 땐 접촉자제”
    • 입력 2022-07-15 10:49:29
    • 수정2022-07-15 12:06:12
    사회
최근 영유아 수족구병 환자가 늘고 있어, 질병관리청이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질병청은 전국 211개 표본감시기관에서 수족구병 의사환자분율(1천명당 의심환자수)을 조사한 결과 6월 2주(12∼18일) 1.7명에서 6월 3주(19∼25일) 2.6명, 6월 4주(26일∼7월 2일) 5.4명, 7월 1주(3~9일) 10.3명으로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코로나19 유행 이전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 지난 2년여간 추이와 비교해서는 발생 비율이 높은 것입니다.

특히 0~6세의 경우 1천명당 수족구병 의심환자 비율이 6월 2주 2.2명, 6월 3주 3.4명, 6월 4주 7.2명, 7월 1주 13.8명으로 더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수족구병은 콕사키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열, 입안의 물집과 궤양,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 등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영유아에게서 많이 발생하고, 감염된 사람의 침, 가래, 콧물, 수포의 진물 등의 분비물 또는 대변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됩니다.

수족구병은 확진자의 대변이나 분비물과 직·간접 접촉할 때 전파되므로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에서 아이를 돌보기 전·후 손을 씻고 장난감을 소독하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수족구병은 증상 발생 후 대부분 7~10일 후 자연 회복하나, 드물게 뇌수막염, 뇌염, 마비증상이 올 수 있어 고열, 구토, 무기력 증상이 생길 경우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수족구병이 의심될 경우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고 다중이용시설 이용을 자제해야 한다”며 “예방을 위해 수영장, 키즈카페, 문화센터 등 어린이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도 소독 등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