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해커, 美 병원 해킹해 6억5천만원 빼앗았다 회수당해
입력 2022.07.19 (23:40)
수정 2022.07.19 (23: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 해커가 미국의 병원을 해킹해 50만 달러(약 6억5천만 원)를 빼앗으려 한 사실이 뒤늦게 공개됐습니다.
로이터통신은 현지시간 19일 뉴욕 포댐대학에서 전날 개최된 사이버보안 회의에서 리사 모나코 미국 법무부 차관이 이 같은 사실을 소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모나코 차관에 따르면 캔자스주(州)와 콜로라도주의 병원은 지난해 북한 해커의 공격을 받은 뒤 50만 달러를 지불했으나 이후 미국 정부가 병원이 북한 해커들에게 보낸 50만 달러를 회수해 돌려줬습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은 이달 초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북한의 랜섬웨어 공격에 대한 경보를 내렸습니다.
당시 연방수사국,FBI 등 미 안보당국에 따르면 북한은 랜섬웨어를 이용해 의료기관에 대한 공격을 시도했습니다.
의료기관의 건강기록과 진단서 등이 보관된 서버에 암호를 건 뒤 금품을 요구하는 수법이었습니다.
한편 북한은 랜섬웨어 공격 외에도 암호화폐 해킹 등 다양한 방법으로 외화를 벌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 아일랜드에 기반을 둔 암호화폐 분석업체 '코인컵'이 2011년부터 올해까지 발생한 암호화폐 해킹 사건을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이 15건으로 가장 많은 암호화폐 해킹을 시도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북한이 2017년부터 자금 마련을 목적으로 본격적인 해킹을 시작했고, 지금껏 탈취한 암호화폐의 총 가치는 약 16억 달러,약 2조 원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로이터통신은 현지시간 19일 뉴욕 포댐대학에서 전날 개최된 사이버보안 회의에서 리사 모나코 미국 법무부 차관이 이 같은 사실을 소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모나코 차관에 따르면 캔자스주(州)와 콜로라도주의 병원은 지난해 북한 해커의 공격을 받은 뒤 50만 달러를 지불했으나 이후 미국 정부가 병원이 북한 해커들에게 보낸 50만 달러를 회수해 돌려줬습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은 이달 초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북한의 랜섬웨어 공격에 대한 경보를 내렸습니다.
당시 연방수사국,FBI 등 미 안보당국에 따르면 북한은 랜섬웨어를 이용해 의료기관에 대한 공격을 시도했습니다.
의료기관의 건강기록과 진단서 등이 보관된 서버에 암호를 건 뒤 금품을 요구하는 수법이었습니다.
한편 북한은 랜섬웨어 공격 외에도 암호화폐 해킹 등 다양한 방법으로 외화를 벌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 아일랜드에 기반을 둔 암호화폐 분석업체 '코인컵'이 2011년부터 올해까지 발생한 암호화폐 해킹 사건을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이 15건으로 가장 많은 암호화폐 해킹을 시도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북한이 2017년부터 자금 마련을 목적으로 본격적인 해킹을 시작했고, 지금껏 탈취한 암호화폐의 총 가치는 약 16억 달러,약 2조 원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北 해커, 美 병원 해킹해 6억5천만원 빼앗았다 회수당해
-
- 입력 2022-07-19 23:40:04
- 수정2022-07-19 23:47:30

북한 해커가 미국의 병원을 해킹해 50만 달러(약 6억5천만 원)를 빼앗으려 한 사실이 뒤늦게 공개됐습니다.
로이터통신은 현지시간 19일 뉴욕 포댐대학에서 전날 개최된 사이버보안 회의에서 리사 모나코 미국 법무부 차관이 이 같은 사실을 소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모나코 차관에 따르면 캔자스주(州)와 콜로라도주의 병원은 지난해 북한 해커의 공격을 받은 뒤 50만 달러를 지불했으나 이후 미국 정부가 병원이 북한 해커들에게 보낸 50만 달러를 회수해 돌려줬습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은 이달 초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북한의 랜섬웨어 공격에 대한 경보를 내렸습니다.
당시 연방수사국,FBI 등 미 안보당국에 따르면 북한은 랜섬웨어를 이용해 의료기관에 대한 공격을 시도했습니다.
의료기관의 건강기록과 진단서 등이 보관된 서버에 암호를 건 뒤 금품을 요구하는 수법이었습니다.
한편 북한은 랜섬웨어 공격 외에도 암호화폐 해킹 등 다양한 방법으로 외화를 벌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 아일랜드에 기반을 둔 암호화폐 분석업체 '코인컵'이 2011년부터 올해까지 발생한 암호화폐 해킹 사건을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이 15건으로 가장 많은 암호화폐 해킹을 시도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북한이 2017년부터 자금 마련을 목적으로 본격적인 해킹을 시작했고, 지금껏 탈취한 암호화폐의 총 가치는 약 16억 달러,약 2조 원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로이터통신은 현지시간 19일 뉴욕 포댐대학에서 전날 개최된 사이버보안 회의에서 리사 모나코 미국 법무부 차관이 이 같은 사실을 소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모나코 차관에 따르면 캔자스주(州)와 콜로라도주의 병원은 지난해 북한 해커의 공격을 받은 뒤 50만 달러를 지불했으나 이후 미국 정부가 병원이 북한 해커들에게 보낸 50만 달러를 회수해 돌려줬습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은 이달 초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북한의 랜섬웨어 공격에 대한 경보를 내렸습니다.
당시 연방수사국,FBI 등 미 안보당국에 따르면 북한은 랜섬웨어를 이용해 의료기관에 대한 공격을 시도했습니다.
의료기관의 건강기록과 진단서 등이 보관된 서버에 암호를 건 뒤 금품을 요구하는 수법이었습니다.
한편 북한은 랜섬웨어 공격 외에도 암호화폐 해킹 등 다양한 방법으로 외화를 벌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 아일랜드에 기반을 둔 암호화폐 분석업체 '코인컵'이 2011년부터 올해까지 발생한 암호화폐 해킹 사건을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이 15건으로 가장 많은 암호화폐 해킹을 시도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북한이 2017년부터 자금 마련을 목적으로 본격적인 해킹을 시작했고, 지금껏 탈취한 암호화폐의 총 가치는 약 16억 달러,약 2조 원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
홍수진 기자 nodance@kbs.co.kr
홍수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