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둔화에 폐사까지”…양돈농가 ‘힘겨운 여름나기’
입력 2022.07.20 (23:45)
수정 2022.07.21 (00: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아프리카돼지열병, ASF로 인해 위기를 맞고 있는 양돈산업에 새로운 악재가 거듭해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올해 초엔 사룟값이 오르더니, 이젠 폭염까지 기승을 부리면서, 양돈업이 한계 상황에 내몰리고 있습니다.
조휴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축사에 돼지가 가득 들어차 있습니다.
급수대 쪽에는 돼지들이 더 많이 몰려 아예 틈이 보이지 않을 정도입니다.
정상적이라면, 벌써 도축장으로 보냈어야 합니다.
그런데 지금은 열흘 가까이 출하가 지연되고 있습니다.
폭염 때문입니다.
기온이 섭씨 27도를 넘어가면, 돼지는 스트레스를 받아 사료를 잘 먹지 않게 돼, 성장이 느려집니다.
그런데 강원도에서는이르는 날이 한 달 넘게 계속되고 있습니다.
[조우형/양돈농민 : "올해는 더위가 6월부터 일찍 오다 보니까. 더운 상태에서 또 장마까지 겹치니 돼지들이 지칩니다 지쳐. 그래서 성장률이 많이 떨어집니다."]
이 때문에, 농장마다 폭염과의 사투를 벌이고 있습니다.
돈사에는 대부분 뒤쪽으로 보시는 것처럼 내부의 공기를 바깥으로 빼주는 장치가 설치돼 있습니다.
하지만 여름철에는 이 기계를 하루종일 돌려도 별 효과가 없습니다.
폐사도 늘고 있습니다.
올해 전국에서 폭염 때문에 죽은 돼지는 8,500여 마리.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두 배 넘게 늘었습니다.
[정병구/강원도 축산과장 : "오래되고 노후된 농장들이 많이 피해를 보죠. 자동급수시설, 안개분무시설, 그리고 고온 스트레스 완화제 공급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4년째 계속되는 아프리카돼지열병, 사룟값 폭등, 이젠 폭염까지.
양돈 농민들은 말 그대로 숨 막히는 여름을 보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휴연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
아프리카돼지열병, ASF로 인해 위기를 맞고 있는 양돈산업에 새로운 악재가 거듭해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올해 초엔 사룟값이 오르더니, 이젠 폭염까지 기승을 부리면서, 양돈업이 한계 상황에 내몰리고 있습니다.
조휴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축사에 돼지가 가득 들어차 있습니다.
급수대 쪽에는 돼지들이 더 많이 몰려 아예 틈이 보이지 않을 정도입니다.
정상적이라면, 벌써 도축장으로 보냈어야 합니다.
그런데 지금은 열흘 가까이 출하가 지연되고 있습니다.
폭염 때문입니다.
기온이 섭씨 27도를 넘어가면, 돼지는 스트레스를 받아 사료를 잘 먹지 않게 돼, 성장이 느려집니다.
그런데 강원도에서는이르는 날이 한 달 넘게 계속되고 있습니다.
[조우형/양돈농민 : "올해는 더위가 6월부터 일찍 오다 보니까. 더운 상태에서 또 장마까지 겹치니 돼지들이 지칩니다 지쳐. 그래서 성장률이 많이 떨어집니다."]
이 때문에, 농장마다 폭염과의 사투를 벌이고 있습니다.
돈사에는 대부분 뒤쪽으로 보시는 것처럼 내부의 공기를 바깥으로 빼주는 장치가 설치돼 있습니다.
하지만 여름철에는 이 기계를 하루종일 돌려도 별 효과가 없습니다.
폐사도 늘고 있습니다.
올해 전국에서 폭염 때문에 죽은 돼지는 8,500여 마리.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두 배 넘게 늘었습니다.
[정병구/강원도 축산과장 : "오래되고 노후된 농장들이 많이 피해를 보죠. 자동급수시설, 안개분무시설, 그리고 고온 스트레스 완화제 공급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4년째 계속되는 아프리카돼지열병, 사룟값 폭등, 이젠 폭염까지.
양돈 농민들은 말 그대로 숨 막히는 여름을 보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휴연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성장 둔화에 폐사까지”…양돈농가 ‘힘겨운 여름나기’
-
- 입력 2022-07-20 23:45:54
- 수정2022-07-21 00:46:45

[앵커]
아프리카돼지열병, ASF로 인해 위기를 맞고 있는 양돈산업에 새로운 악재가 거듭해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올해 초엔 사룟값이 오르더니, 이젠 폭염까지 기승을 부리면서, 양돈업이 한계 상황에 내몰리고 있습니다.
조휴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축사에 돼지가 가득 들어차 있습니다.
급수대 쪽에는 돼지들이 더 많이 몰려 아예 틈이 보이지 않을 정도입니다.
정상적이라면, 벌써 도축장으로 보냈어야 합니다.
그런데 지금은 열흘 가까이 출하가 지연되고 있습니다.
폭염 때문입니다.
기온이 섭씨 27도를 넘어가면, 돼지는 스트레스를 받아 사료를 잘 먹지 않게 돼, 성장이 느려집니다.
그런데 강원도에서는이르는 날이 한 달 넘게 계속되고 있습니다.
[조우형/양돈농민 : "올해는 더위가 6월부터 일찍 오다 보니까. 더운 상태에서 또 장마까지 겹치니 돼지들이 지칩니다 지쳐. 그래서 성장률이 많이 떨어집니다."]
이 때문에, 농장마다 폭염과의 사투를 벌이고 있습니다.
돈사에는 대부분 뒤쪽으로 보시는 것처럼 내부의 공기를 바깥으로 빼주는 장치가 설치돼 있습니다.
하지만 여름철에는 이 기계를 하루종일 돌려도 별 효과가 없습니다.
폐사도 늘고 있습니다.
올해 전국에서 폭염 때문에 죽은 돼지는 8,500여 마리.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두 배 넘게 늘었습니다.
[정병구/강원도 축산과장 : "오래되고 노후된 농장들이 많이 피해를 보죠. 자동급수시설, 안개분무시설, 그리고 고온 스트레스 완화제 공급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4년째 계속되는 아프리카돼지열병, 사룟값 폭등, 이젠 폭염까지.
양돈 농민들은 말 그대로 숨 막히는 여름을 보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휴연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
아프리카돼지열병, ASF로 인해 위기를 맞고 있는 양돈산업에 새로운 악재가 거듭해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올해 초엔 사룟값이 오르더니, 이젠 폭염까지 기승을 부리면서, 양돈업이 한계 상황에 내몰리고 있습니다.
조휴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축사에 돼지가 가득 들어차 있습니다.
급수대 쪽에는 돼지들이 더 많이 몰려 아예 틈이 보이지 않을 정도입니다.
정상적이라면, 벌써 도축장으로 보냈어야 합니다.
그런데 지금은 열흘 가까이 출하가 지연되고 있습니다.
폭염 때문입니다.
기온이 섭씨 27도를 넘어가면, 돼지는 스트레스를 받아 사료를 잘 먹지 않게 돼, 성장이 느려집니다.
그런데 강원도에서는이르는 날이 한 달 넘게 계속되고 있습니다.
[조우형/양돈농민 : "올해는 더위가 6월부터 일찍 오다 보니까. 더운 상태에서 또 장마까지 겹치니 돼지들이 지칩니다 지쳐. 그래서 성장률이 많이 떨어집니다."]
이 때문에, 농장마다 폭염과의 사투를 벌이고 있습니다.
돈사에는 대부분 뒤쪽으로 보시는 것처럼 내부의 공기를 바깥으로 빼주는 장치가 설치돼 있습니다.
하지만 여름철에는 이 기계를 하루종일 돌려도 별 효과가 없습니다.
폐사도 늘고 있습니다.
올해 전국에서 폭염 때문에 죽은 돼지는 8,500여 마리.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두 배 넘게 늘었습니다.
[정병구/강원도 축산과장 : "오래되고 노후된 농장들이 많이 피해를 보죠. 자동급수시설, 안개분무시설, 그리고 고온 스트레스 완화제 공급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4년째 계속되는 아프리카돼지열병, 사룟값 폭등, 이젠 폭염까지.
양돈 농민들은 말 그대로 숨 막히는 여름을 보내고 있습니다.
KBS 뉴스 조휴연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
-
-
조휴연 기자 dakgalbi@kbs.co.kr
조휴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