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문체부 “청와대, 고품격 미술 전시공간으로 만들 것”
입력 2022.07.21 (13:01) 수정 2022.07.21 (13:12) 문화
정부가 국민에게 개방된 청와대를 ‘고품격 미술품 전시 공간’으로 꾸며 새 정부의 핵심 브랜드로 키우겠다고 밝혔습니다.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장관은 오늘(2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업무 보고를 하고, 청와대 본관과 영빈관, 녹지원 등을 전시 공간으로 꾸미는 2단계 활용 계획을 설명했습니다.
■ “영빈관, 고품격 전시장으로…‘이건희 컬렉션’ 유치”
구체적으로 보면 청와대 본관 2층 집무실과 회의실 등은 그대로 남겨두지만, 1층 로비와 세종실(335㎡), 충무실(355㎡), 인왕실(216㎡)은 미술품 상설 전시장으로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국빈들을 맞이하던 청와대 영빈관은 이른바 ‘이건희 컬렉션’ 등 최고의 미술 작품을 유치해 고품격 특별 기획전시장으로 꾸미겠다고 문체부는 설명했습니다.
박 장관은 “우선 올 가을 청와대 소장품 특별전을 기획 준비하고 있다”며 “청와대가 소장하던 6백여 점의 예술품 가운데 허백련, 김기창 등 최고의 한국화 거장 20여 명의 작품이 걸리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수령 740년이 넘은 주목을 포함해 5만여 그루의 나무와 꽃으로 가꿔진 녹지원 등 야외 공간도 조각 공원과 야외 특별전시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출입 기자들이 상주하던 춘추관은 2층 브리핑실(450㎡)을 민간에 대관하는 특별 전시공간으로 쓰고, 관저 역시 본채 거실과 별채 식당을 중심으로 미술품이 설치됩니다.
박 장관은 “전시 작품 선정 등에 대한민국 최고의 민간전문가가 참여해 최고의 프리미엄 전시공간을 만들 것”이라며, 청와대 2단계 개방이 민관 협력의 모범 사례가 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 “건축물 구조 변경 없다…대통령 역사문화공간 만들 것”
박보균 장관은 다만 “청와대 건물 리모델링(구조 변경)은 없다”며, “본관이나 영빈관의 건축물 원형이 손상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그동안은 문화재청과 대통령실 관리비서관실이 청와대 개방 업무를 함께 맡아 왔지만, 앞으로는 문체부가 전반적인 내용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침류각 등 청와대 안 전통문화재 보존·관리는 문화재청이 계속하기로 했습니다.
한편 청와대 본관과 관저, 구 본관 터 등은 역대 대통령의 삶을 느낄 수 있는 ‘대통령 역사 문화 공간’으로 꾸며집니다.
박 장관은 “청와대 안에서의 삶과 역동적인 우리 역사 결단의 순간 등을 스토리텔링으로 전시할 계획”이라며, 박지만·노재헌·김현철·김홍업 등 역대 대통령 유가족 6명이 자문위원으로 참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통령실 제공]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장관은 오늘(2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업무 보고를 하고, 청와대 본관과 영빈관, 녹지원 등을 전시 공간으로 꾸미는 2단계 활용 계획을 설명했습니다.
■ “영빈관, 고품격 전시장으로…‘이건희 컬렉션’ 유치”
구체적으로 보면 청와대 본관 2층 집무실과 회의실 등은 그대로 남겨두지만, 1층 로비와 세종실(335㎡), 충무실(355㎡), 인왕실(216㎡)은 미술품 상설 전시장으로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국빈들을 맞이하던 청와대 영빈관은 이른바 ‘이건희 컬렉션’ 등 최고의 미술 작품을 유치해 고품격 특별 기획전시장으로 꾸미겠다고 문체부는 설명했습니다.
박 장관은 “우선 올 가을 청와대 소장품 특별전을 기획 준비하고 있다”며 “청와대가 소장하던 6백여 점의 예술품 가운데 허백련, 김기창 등 최고의 한국화 거장 20여 명의 작품이 걸리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수령 740년이 넘은 주목을 포함해 5만여 그루의 나무와 꽃으로 가꿔진 녹지원 등 야외 공간도 조각 공원과 야외 특별전시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출입 기자들이 상주하던 춘추관은 2층 브리핑실(450㎡)을 민간에 대관하는 특별 전시공간으로 쓰고, 관저 역시 본채 거실과 별채 식당을 중심으로 미술품이 설치됩니다.
박 장관은 “전시 작품 선정 등에 대한민국 최고의 민간전문가가 참여해 최고의 프리미엄 전시공간을 만들 것”이라며, 청와대 2단계 개방이 민관 협력의 모범 사례가 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 “건축물 구조 변경 없다…대통령 역사문화공간 만들 것”
박보균 장관은 다만 “청와대 건물 리모델링(구조 변경)은 없다”며, “본관이나 영빈관의 건축물 원형이 손상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그동안은 문화재청과 대통령실 관리비서관실이 청와대 개방 업무를 함께 맡아 왔지만, 앞으로는 문체부가 전반적인 내용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침류각 등 청와대 안 전통문화재 보존·관리는 문화재청이 계속하기로 했습니다.
한편 청와대 본관과 관저, 구 본관 터 등은 역대 대통령의 삶을 느낄 수 있는 ‘대통령 역사 문화 공간’으로 꾸며집니다.
박 장관은 “청와대 안에서의 삶과 역동적인 우리 역사 결단의 순간 등을 스토리텔링으로 전시할 계획”이라며, 박지만·노재헌·김현철·김홍업 등 역대 대통령 유가족 6명이 자문위원으로 참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통령실 제공]
- 문체부 “청와대, 고품격 미술 전시공간으로 만들 것”
-
- 입력 2022-07-21 13:01:31
- 수정2022-07-21 13:12:26

정부가 국민에게 개방된 청와대를 ‘고품격 미술품 전시 공간’으로 꾸며 새 정부의 핵심 브랜드로 키우겠다고 밝혔습니다.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장관은 오늘(2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업무 보고를 하고, 청와대 본관과 영빈관, 녹지원 등을 전시 공간으로 꾸미는 2단계 활용 계획을 설명했습니다.
■ “영빈관, 고품격 전시장으로…‘이건희 컬렉션’ 유치”
구체적으로 보면 청와대 본관 2층 집무실과 회의실 등은 그대로 남겨두지만, 1층 로비와 세종실(335㎡), 충무실(355㎡), 인왕실(216㎡)은 미술품 상설 전시장으로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국빈들을 맞이하던 청와대 영빈관은 이른바 ‘이건희 컬렉션’ 등 최고의 미술 작품을 유치해 고품격 특별 기획전시장으로 꾸미겠다고 문체부는 설명했습니다.
박 장관은 “우선 올 가을 청와대 소장품 특별전을 기획 준비하고 있다”며 “청와대가 소장하던 6백여 점의 예술품 가운데 허백련, 김기창 등 최고의 한국화 거장 20여 명의 작품이 걸리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수령 740년이 넘은 주목을 포함해 5만여 그루의 나무와 꽃으로 가꿔진 녹지원 등 야외 공간도 조각 공원과 야외 특별전시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출입 기자들이 상주하던 춘추관은 2층 브리핑실(450㎡)을 민간에 대관하는 특별 전시공간으로 쓰고, 관저 역시 본채 거실과 별채 식당을 중심으로 미술품이 설치됩니다.
박 장관은 “전시 작품 선정 등에 대한민국 최고의 민간전문가가 참여해 최고의 프리미엄 전시공간을 만들 것”이라며, 청와대 2단계 개방이 민관 협력의 모범 사례가 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 “건축물 구조 변경 없다…대통령 역사문화공간 만들 것”
박보균 장관은 다만 “청와대 건물 리모델링(구조 변경)은 없다”며, “본관이나 영빈관의 건축물 원형이 손상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그동안은 문화재청과 대통령실 관리비서관실이 청와대 개방 업무를 함께 맡아 왔지만, 앞으로는 문체부가 전반적인 내용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침류각 등 청와대 안 전통문화재 보존·관리는 문화재청이 계속하기로 했습니다.
한편 청와대 본관과 관저, 구 본관 터 등은 역대 대통령의 삶을 느낄 수 있는 ‘대통령 역사 문화 공간’으로 꾸며집니다.
박 장관은 “청와대 안에서의 삶과 역동적인 우리 역사 결단의 순간 등을 스토리텔링으로 전시할 계획”이라며, 박지만·노재헌·김현철·김홍업 등 역대 대통령 유가족 6명이 자문위원으로 참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통령실 제공]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장관은 오늘(2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업무 보고를 하고, 청와대 본관과 영빈관, 녹지원 등을 전시 공간으로 꾸미는 2단계 활용 계획을 설명했습니다.
■ “영빈관, 고품격 전시장으로…‘이건희 컬렉션’ 유치”
구체적으로 보면 청와대 본관 2층 집무실과 회의실 등은 그대로 남겨두지만, 1층 로비와 세종실(335㎡), 충무실(355㎡), 인왕실(216㎡)은 미술품 상설 전시장으로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국빈들을 맞이하던 청와대 영빈관은 이른바 ‘이건희 컬렉션’ 등 최고의 미술 작품을 유치해 고품격 특별 기획전시장으로 꾸미겠다고 문체부는 설명했습니다.
박 장관은 “우선 올 가을 청와대 소장품 특별전을 기획 준비하고 있다”며 “청와대가 소장하던 6백여 점의 예술품 가운데 허백련, 김기창 등 최고의 한국화 거장 20여 명의 작품이 걸리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수령 740년이 넘은 주목을 포함해 5만여 그루의 나무와 꽃으로 가꿔진 녹지원 등 야외 공간도 조각 공원과 야외 특별전시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출입 기자들이 상주하던 춘추관은 2층 브리핑실(450㎡)을 민간에 대관하는 특별 전시공간으로 쓰고, 관저 역시 본채 거실과 별채 식당을 중심으로 미술품이 설치됩니다.
박 장관은 “전시 작품 선정 등에 대한민국 최고의 민간전문가가 참여해 최고의 프리미엄 전시공간을 만들 것”이라며, 청와대 2단계 개방이 민관 협력의 모범 사례가 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 “건축물 구조 변경 없다…대통령 역사문화공간 만들 것”
박보균 장관은 다만 “청와대 건물 리모델링(구조 변경)은 없다”며, “본관이나 영빈관의 건축물 원형이 손상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그동안은 문화재청과 대통령실 관리비서관실이 청와대 개방 업무를 함께 맡아 왔지만, 앞으로는 문체부가 전반적인 내용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침류각 등 청와대 안 전통문화재 보존·관리는 문화재청이 계속하기로 했습니다.
한편 청와대 본관과 관저, 구 본관 터 등은 역대 대통령의 삶을 느낄 수 있는 ‘대통령 역사 문화 공간’으로 꾸며집니다.
박 장관은 “청와대 안에서의 삶과 역동적인 우리 역사 결단의 순간 등을 스토리텔링으로 전시할 계획”이라며, 박지만·노재헌·김현철·김홍업 등 역대 대통령 유가족 6명이 자문위원으로 참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대통령실 제공]
-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