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질병관리청 살모넬라균·캄필로박터균 감염증 5배 급증
입력 2022.07.22 (12:56) 수정 2022.07.22 (12:59) 뉴스 12
주로 달걀이나 닭을 통해 감염되는 살모넬라균과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환자가 최근 석 달 사이 5배가량 급증했습니다.
질병관리청 자료를 보면, 이 달 셋째 주 살모넬라균 감염증과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신고 환자 수는 각각 백4명과 백13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석 달 전인 4월 마지막 주 환자 수 25명과 22명에 비해 5배가량 늘어난 수치입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껍질이 손상되지 않은 달걀을 구입해 냉장 보관하고 달걀 겉면을 만진 후에는 손을 반드시 씻어야 합니다.
질병관리청 자료를 보면, 이 달 셋째 주 살모넬라균 감염증과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신고 환자 수는 각각 백4명과 백13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석 달 전인 4월 마지막 주 환자 수 25명과 22명에 비해 5배가량 늘어난 수치입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껍질이 손상되지 않은 달걀을 구입해 냉장 보관하고 달걀 겉면을 만진 후에는 손을 반드시 씻어야 합니다.
- 질병관리청 살모넬라균·캄필로박터균 감염증 5배 급증
-
- 입력 2022-07-22 12:56:04
- 수정2022-07-22 12:59:31

주로 달걀이나 닭을 통해 감염되는 살모넬라균과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환자가 최근 석 달 사이 5배가량 급증했습니다.
질병관리청 자료를 보면, 이 달 셋째 주 살모넬라균 감염증과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신고 환자 수는 각각 백4명과 백13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석 달 전인 4월 마지막 주 환자 수 25명과 22명에 비해 5배가량 늘어난 수치입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껍질이 손상되지 않은 달걀을 구입해 냉장 보관하고 달걀 겉면을 만진 후에는 손을 반드시 씻어야 합니다.
질병관리청 자료를 보면, 이 달 셋째 주 살모넬라균 감염증과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신고 환자 수는 각각 백4명과 백13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석 달 전인 4월 마지막 주 환자 수 25명과 22명에 비해 5배가량 늘어난 수치입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껍질이 손상되지 않은 달걀을 구입해 냉장 보관하고 달걀 겉면을 만진 후에는 손을 반드시 씻어야 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뉴스 12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KBS
KBS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