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대우조선해양 협력업체 노사 협상 잠정 타결
입력 2022.07.22 (17:00) 수정 2022.07.22 (17:34) 뉴스 5
[앵커]
대우조선해양 협력업체 노동자들의 파업이 50일 만에 극적 타결됐습니다.
대우조선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이대완 기자, 막판까지 갔다가 타결됐다는데 자세한 소식 전해주시죠.
[기자]
네, 저는 지금 노사가 합의문을 발표한 기자회견장에 나와 있습니다.
대우조선해양 협력업체 노사가 조금 전 오후 4시 10분 이곳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합의문을 발표했습니다.
지금은 질의, 응답을 받고 있는데요.
지난달 2일부터 대우조선 협력업체 노동자 120여 명이 파업에 들어간 지 50일 만입니다.
이번 주 초부터 협상을 재개한 협력업체 노사 양측은 파업의 최대 명분이었던 임금 인상안에 대해서는 일찌감치 합의를 한 상태였는데요.
마지막까지 협상의 가장 큰 걸림돌은 손해배상소송과 고용승계였습니다.
파업으로 협력업체들이 입은 피해에 대해 민형사상 책임을 어디까지 둘 것인가가 큰 쟁점이었습니다.
임금인상과 고용보장에 두 가지 내용에 대해서는 합의를 이뤘다고 밝혔습니다.
원칙적으로 노동자들이 생계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하지만, 손해배상소송에 따른 민형사상 책임 문제는 합의를 이루지 못했습니다.
워낙 의견차가 크고 사태가 엄중했기 때문에 아직 논의할 지점이 많다는 설명입니다.
금속노조는 잠시 뒤 건조 작업장 앞에서 금속노조의 입장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연 뒤 옥쇄 파업 중인 노동자를 구조해 병원으로 옮길 예정입니다.
한 달 정도 선박 건조작업장을 점거해 고공농성을 벌이던 노동자 6명도 농성을 풀 예정입니다.
다만 조업 재개 일정은 아직 확실치 않은 상황입니다.
지금까지 대우조선해양 거제 옥포조선소에서 KBS 뉴스 이대완입니다.
대우조선해양 협력업체 노동자들의 파업이 50일 만에 극적 타결됐습니다.
대우조선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이대완 기자, 막판까지 갔다가 타결됐다는데 자세한 소식 전해주시죠.
[기자]
네, 저는 지금 노사가 합의문을 발표한 기자회견장에 나와 있습니다.
대우조선해양 협력업체 노사가 조금 전 오후 4시 10분 이곳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합의문을 발표했습니다.
지금은 질의, 응답을 받고 있는데요.
지난달 2일부터 대우조선 협력업체 노동자 120여 명이 파업에 들어간 지 50일 만입니다.
이번 주 초부터 협상을 재개한 협력업체 노사 양측은 파업의 최대 명분이었던 임금 인상안에 대해서는 일찌감치 합의를 한 상태였는데요.
마지막까지 협상의 가장 큰 걸림돌은 손해배상소송과 고용승계였습니다.
파업으로 협력업체들이 입은 피해에 대해 민형사상 책임을 어디까지 둘 것인가가 큰 쟁점이었습니다.
임금인상과 고용보장에 두 가지 내용에 대해서는 합의를 이뤘다고 밝혔습니다.
원칙적으로 노동자들이 생계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하지만, 손해배상소송에 따른 민형사상 책임 문제는 합의를 이루지 못했습니다.
워낙 의견차가 크고 사태가 엄중했기 때문에 아직 논의할 지점이 많다는 설명입니다.
금속노조는 잠시 뒤 건조 작업장 앞에서 금속노조의 입장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연 뒤 옥쇄 파업 중인 노동자를 구조해 병원으로 옮길 예정입니다.
한 달 정도 선박 건조작업장을 점거해 고공농성을 벌이던 노동자 6명도 농성을 풀 예정입니다.
다만 조업 재개 일정은 아직 확실치 않은 상황입니다.
지금까지 대우조선해양 거제 옥포조선소에서 KBS 뉴스 이대완입니다.
- 대우조선해양 협력업체 노사 협상 잠정 타결
-
- 입력 2022-07-22 17:00:46
- 수정2022-07-22 17:34:23

[앵커]
대우조선해양 협력업체 노동자들의 파업이 50일 만에 극적 타결됐습니다.
대우조선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이대완 기자, 막판까지 갔다가 타결됐다는데 자세한 소식 전해주시죠.
[기자]
네, 저는 지금 노사가 합의문을 발표한 기자회견장에 나와 있습니다.
대우조선해양 협력업체 노사가 조금 전 오후 4시 10분 이곳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합의문을 발표했습니다.
지금은 질의, 응답을 받고 있는데요.
지난달 2일부터 대우조선 협력업체 노동자 120여 명이 파업에 들어간 지 50일 만입니다.
이번 주 초부터 협상을 재개한 협력업체 노사 양측은 파업의 최대 명분이었던 임금 인상안에 대해서는 일찌감치 합의를 한 상태였는데요.
마지막까지 협상의 가장 큰 걸림돌은 손해배상소송과 고용승계였습니다.
파업으로 협력업체들이 입은 피해에 대해 민형사상 책임을 어디까지 둘 것인가가 큰 쟁점이었습니다.
임금인상과 고용보장에 두 가지 내용에 대해서는 합의를 이뤘다고 밝혔습니다.
원칙적으로 노동자들이 생계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하지만, 손해배상소송에 따른 민형사상 책임 문제는 합의를 이루지 못했습니다.
워낙 의견차가 크고 사태가 엄중했기 때문에 아직 논의할 지점이 많다는 설명입니다.
금속노조는 잠시 뒤 건조 작업장 앞에서 금속노조의 입장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연 뒤 옥쇄 파업 중인 노동자를 구조해 병원으로 옮길 예정입니다.
한 달 정도 선박 건조작업장을 점거해 고공농성을 벌이던 노동자 6명도 농성을 풀 예정입니다.
다만 조업 재개 일정은 아직 확실치 않은 상황입니다.
지금까지 대우조선해양 거제 옥포조선소에서 KBS 뉴스 이대완입니다.
대우조선해양 협력업체 노동자들의 파업이 50일 만에 극적 타결됐습니다.
대우조선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이대완 기자, 막판까지 갔다가 타결됐다는데 자세한 소식 전해주시죠.
[기자]
네, 저는 지금 노사가 합의문을 발표한 기자회견장에 나와 있습니다.
대우조선해양 협력업체 노사가 조금 전 오후 4시 10분 이곳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합의문을 발표했습니다.
지금은 질의, 응답을 받고 있는데요.
지난달 2일부터 대우조선 협력업체 노동자 120여 명이 파업에 들어간 지 50일 만입니다.
이번 주 초부터 협상을 재개한 협력업체 노사 양측은 파업의 최대 명분이었던 임금 인상안에 대해서는 일찌감치 합의를 한 상태였는데요.
마지막까지 협상의 가장 큰 걸림돌은 손해배상소송과 고용승계였습니다.
파업으로 협력업체들이 입은 피해에 대해 민형사상 책임을 어디까지 둘 것인가가 큰 쟁점이었습니다.
임금인상과 고용보장에 두 가지 내용에 대해서는 합의를 이뤘다고 밝혔습니다.
원칙적으로 노동자들이 생계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겁니다.
하지만, 손해배상소송에 따른 민형사상 책임 문제는 합의를 이루지 못했습니다.
워낙 의견차가 크고 사태가 엄중했기 때문에 아직 논의할 지점이 많다는 설명입니다.
금속노조는 잠시 뒤 건조 작업장 앞에서 금속노조의 입장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연 뒤 옥쇄 파업 중인 노동자를 구조해 병원으로 옮길 예정입니다.
한 달 정도 선박 건조작업장을 점거해 고공농성을 벌이던 노동자 6명도 농성을 풀 예정입니다.
다만 조업 재개 일정은 아직 확실치 않은 상황입니다.
지금까지 대우조선해양 거제 옥포조선소에서 KBS 뉴스 이대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뉴스 5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이대완 기자 bigbowl@kbs.co.kr
이대완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