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정치권 “전대미문의 실수”…사도광산 후폭풍

입력 2022.07.29 (14: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 자민당 외교부회 등이 오늘(29일) ‘사도광산’ 과 관련해 개최한 회의에서 다카이치 자민당 정무조사회장이 일어서서 인사하고 있다. (사진/일본 지지통신 홈페이지)일본 자민당 외교부회 등이 오늘(29일) ‘사도광산’ 과 관련해 개최한 회의에서 다카이치 자민당 정무조사회장이 일어서서 인사하고 있다. (사진/일본 지지통신 홈페이지)

일본 정부가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강행해 온 사도광산이 올해 유네스코 심사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일본 내에서 후폭풍이 거셉니다.

집권 자민당의 '세계유산 등록을 실현하는 의원연맹 (이하 의원연맹)'과 외교부회(정무조사회 산하의 의원모임)는 오늘(29일) 정부로부터 그간의 경위를 듣기 위해 회의를 개최한 자리에서 정부(문화청)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다카이치 사나에 자민당 정무조사회장은 이 자리에서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추진과 관련해) 내년 여름이면 등재 여부 결과가 나올 줄 알았는데, 이런 일은 상상도 하지 않았다"며 실망감을 나타냈습니다.

사도광산이 올해 유네스코 세계유산 심사대상에서 제외된 것과 관련해 “보수층 이탈에 영향을 줄 수 밖에 없다”며 강력히 비판한 사토 마사히사 일본 자민당 외교부회장(참의원),  사진은 사토 의원이 2011년 독도를 방문하겠다며  한국에 입국을 시도하던 모습이다.사도광산이 올해 유네스코 세계유산 심사대상에서 제외된 것과 관련해 “보수층 이탈에 영향을 줄 수 밖에 없다”며 강력히 비판한 사토 마사히사 일본 자민당 외교부회장(참의원), 사진은 사토 의원이 2011년 독도를 방문하겠다며 한국에 입국을 시도하던 모습이다.

사토 마사히사 외교부회장은 "많은 일본인에게 폐를 끼쳤으며 (정부에) 강렬한 반성을 요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사토 회장은 또 "지금까지 정부와 자민당이 하나가 되어 힘을 합쳐왔는데, 이같은 신뢰관계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와함께 " 기시다정권과 자민당을 지지하는 보수층 이탈에도 영향이 있을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지지통신은 다카이치 회장이 이번 사도광산 등재와 관련한 정부(문화청)의 대응에 대해 검증하자고 말했다고 보도했고, 마이니치신문도 회의 참석자들 사이에 정부에 경위 설명과 원인규명을 요구하자는 목소리가 이어졌다고 전했습니다.

니시무라 치나미 입헌민주당 간사장도 "불명확한 것이 너무 많다. 경위를 밝히고 등록할 방법을 제시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올해 9월 말까지 잠정 추천서를 제출하고 내년 2월 1일까지 정식 추천서를 다시 제출해 애초 계획보다 1년 늦은 2024년 세계유산 등록을 다시 노리겠다는 구상입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유네스코는 사도광산을 구성하는 유적 중 하나인 니시미카와사금산(砂金山)에서 과거에 사금을 채취할 때 사용된 도수로(導水路, 물을 끌어들이는 길) 중 끊겨 있는 부분에 관한 설명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일본 측은 "끊겨 있는 부분까지 포함해 한 덩어리의 자산"이라고 설명했으나 유네스코는 이를 수용하지 않았습니다.

일본 문화청은 유네스코가 이번에 미비점을 지적한 것이 한국 측의 반발과는 관계가 없다고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에 있는 사도광산, 일제강점기 조선인들의 강제노역 현장이기도 하다. (사진/일본 마이니치신문 홈페이지 캡처)일본 니가타현 사도섬에 있는 사도광산, 일제강점기 조선인들의 강제노역 현장이기도 하다. (사진/일본 마이니치신문 홈페이지 캡처)

사도광산은 에도 시대에는 금광으로 유명했으나 태평양 전쟁이 본격화한 후에는 구리, 철, 아연 등 전쟁 물자를 확보하는 광산으로 주로 이용됐습니다. 광산 노동은 위험하고 힘들어 기피 대상이었으며 일제는 조선인을 사도 광산에 대거 동원해 강제 노역을 시켰습니다.

동원된 조선인 규모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최대 1천2백여 명"(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적어도 2천 명"(히로세 데이조 일본 후쿠오카대 명예교수) 등의 분석이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 추천서에 대상 기간을 16∼19세기 중반으로 한정해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동을 사실상 배제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日 정치권 “전대미문의 실수”…사도광산 후폭풍
    • 입력 2022-07-29 14:47:19
    세계는 지금
일본 자민당 외교부회 등이 오늘(29일) ‘사도광산’ 과 관련해 개최한 회의에서 다카이치 자민당 정무조사회장이 일어서서 인사하고 있다. (사진/일본 지지통신 홈페이지)
일본 정부가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강행해 온 사도광산이 올해 유네스코 심사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일본 내에서 후폭풍이 거셉니다.

집권 자민당의 '세계유산 등록을 실현하는 의원연맹 (이하 의원연맹)'과 외교부회(정무조사회 산하의 의원모임)는 오늘(29일) 정부로부터 그간의 경위를 듣기 위해 회의를 개최한 자리에서 정부(문화청)에 대한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다카이치 사나에 자민당 정무조사회장은 이 자리에서 "(사도광산의 세계유산 등재 추진과 관련해) 내년 여름이면 등재 여부 결과가 나올 줄 알았는데, 이런 일은 상상도 하지 않았다"며 실망감을 나타냈습니다.

사도광산이 올해 유네스코 세계유산 심사대상에서 제외된 것과 관련해 “보수층 이탈에 영향을 줄 수 밖에 없다”며 강력히 비판한 사토 마사히사 일본 자민당 외교부회장(참의원),  사진은 사토 의원이 2011년 독도를 방문하겠다며  한국에 입국을 시도하던 모습이다.
사토 마사히사 외교부회장은 "많은 일본인에게 폐를 끼쳤으며 (정부에) 강렬한 반성을 요구한다"고 말했습니다. 사토 회장은 또 "지금까지 정부와 자민당이 하나가 되어 힘을 합쳐왔는데, 이같은 신뢰관계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와함께 " 기시다정권과 자민당을 지지하는 보수층 이탈에도 영향이 있을 수 밖에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지지통신은 다카이치 회장이 이번 사도광산 등재와 관련한 정부(문화청)의 대응에 대해 검증하자고 말했다고 보도했고, 마이니치신문도 회의 참석자들 사이에 정부에 경위 설명과 원인규명을 요구하자는 목소리가 이어졌다고 전했습니다.

니시무라 치나미 입헌민주당 간사장도 "불명확한 것이 너무 많다. 경위를 밝히고 등록할 방법을 제시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올해 9월 말까지 잠정 추천서를 제출하고 내년 2월 1일까지 정식 추천서를 다시 제출해 애초 계획보다 1년 늦은 2024년 세계유산 등록을 다시 노리겠다는 구상입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유네스코는 사도광산을 구성하는 유적 중 하나인 니시미카와사금산(砂金山)에서 과거에 사금을 채취할 때 사용된 도수로(導水路, 물을 끌어들이는 길) 중 끊겨 있는 부분에 관한 설명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일본 측은 "끊겨 있는 부분까지 포함해 한 덩어리의 자산"이라고 설명했으나 유네스코는 이를 수용하지 않았습니다.

일본 문화청은 유네스코가 이번에 미비점을 지적한 것이 한국 측의 반발과는 관계가 없다고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에 있는 사도광산, 일제강점기 조선인들의 강제노역 현장이기도 하다. (사진/일본 마이니치신문 홈페이지 캡처)
사도광산은 에도 시대에는 금광으로 유명했으나 태평양 전쟁이 본격화한 후에는 구리, 철, 아연 등 전쟁 물자를 확보하는 광산으로 주로 이용됐습니다. 광산 노동은 위험하고 힘들어 기피 대상이었으며 일제는 조선인을 사도 광산에 대거 동원해 강제 노역을 시켰습니다.

동원된 조선인 규모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최대 1천2백여 명"(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적어도 2천 명"(히로세 데이조 일본 후쿠오카대 명예교수) 등의 분석이 있습니다.

일본 정부는 사도광산 추천서에 대상 기간을 16∼19세기 중반으로 한정해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 노동을 사실상 배제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