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갈등]④ 고전력 첨단 시설은 수도권 집중…비용은 지방에

입력 2022.08.01 (21:47) 수정 2022.08.01 (21: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에너지 갈등 기획 보도, 이어갑니다.

전기 사용량이 많은 데이터센터와 반도체 업종은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데요,

하지만 전기를 생산하고 수도권까지 보내는 부담은 비수도권 주민들이 고스란히 떠안아야 합니다.

심층기획팀 윤경재 기자입니다.

[리포트]

온라인 쇼핑과 SNS, 동영상 실시간 재생과 인공지능 서비스까지, 코로나19 확산 뒤 막대한 데이터 사용이 뒤따르고 있습니다.

서버 컴퓨터와 네트워크 회선을 관리하는 데이터센터가 필수입니다.

국내 데이터센터는 2000년 53개에서 2020년 156개로 3배가량 늘었습니다.

2029년까지 새로 지어질 센터는 193곳에 이릅니다.

지난해 한국전력의 국감 자료를 보면 건립 예정인 데이터센터 193곳이 신청한 전기계약용량은 14.7GW로, 신고리 4호기급 원전 11기의 발전용량과 맞먹습니다.

24시간 가동하는 데다 열을 식혀줄 냉방시설까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들 데이터센터의 60%가량은 수도권에 있는 데다, 새로 지을 센터들도 94%가 수도권에 자리 잡을 예정입니다.

수도권 쏠림 현상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는 겁니다.

[강승훈/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 산업정책팀 : "가장 큰 이유는 고객이고요. 고객과의 접근성. 문제가 발생했을 때 즉시 대처가 가능해야 하는데 AS 업체라든지 인력 같은 부분에서의 편의성 부분도…."]

반도체 공장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지난해 25개 제조업종 가운데 반도체가 포함된 전자·통신 업종이 전체 제조업 사용량의 1/5을 차지하며 가장 많은 전기를 썼습니다.

삼성전자는 경기 수원과 화성, 평택, 아산, SK하이닉스는 경기 이천과 용인, 충북 청주입니다.

수도권 중심으로 구축돼 있습니다.

최근 10년 동안 전력 사용량도 비수도권과 달리, 경기도만 압도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전기를 보내는 '계통 인프라' 구축에 쓴 비용만 지난 11년 동안 2조 3,000억 원에 달합니다.

계통 인프라 구축 비용은 전기 생산 원가에 고스란히 포함됩니다.

우리나라 전기요금은 지역과 상관없이 원가를 균등하게 나누고 있는데요.

비수도권 전기 소비자들은 수도권으로의 송전 비용까지 포함해 전기요금을 부담하고 있습니다.

발전 시설과의 거리나 전력자급률에 따라 지역별 전기요금을 책정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지역 주민의 요금 부담을 낮추고, 전기를 많이 쓰는 기업의 지역 이전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신정훈/국회의원 : "영국에서는 전기를 생산하는 지역의 전기요금과 송배전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도시 지역의 전기요금과는 차별 요금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전기를 많이 생산하는 농촌 지역에 전기를 많이 소비하는 업체들이 입주하게 되면 많은 혜택을 볼 수 있는 것이죠."]

반도체·데이터센터 기업들의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구축도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김시헌/안양대 환경에너지공학과 교수 : "서울까지 송배전 손실을 일으키면서 도달하는 거잖아요. 100의 에너지를 넣어서 발전한다고 하면 35%밖에 도달을 안 해요. 서울에 올 때는…. 그래서 다른 데 보면 분산 발전을 많이 추구하고 있는 거죠."]

춘천시는 소양강 수열발전을 활용해 전력자급률을 높인 데이터센터 밀집단지 조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경재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그래픽:박부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에너지 갈등]④ 고전력 첨단 시설은 수도권 집중…비용은 지방에
    • 입력 2022-08-01 21:47:14
    • 수정2022-08-01 21:56:00
    뉴스9(창원)
[앵커]

에너지 갈등 기획 보도, 이어갑니다.

전기 사용량이 많은 데이터센터와 반도체 업종은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데요,

하지만 전기를 생산하고 수도권까지 보내는 부담은 비수도권 주민들이 고스란히 떠안아야 합니다.

심층기획팀 윤경재 기자입니다.

[리포트]

온라인 쇼핑과 SNS, 동영상 실시간 재생과 인공지능 서비스까지, 코로나19 확산 뒤 막대한 데이터 사용이 뒤따르고 있습니다.

서버 컴퓨터와 네트워크 회선을 관리하는 데이터센터가 필수입니다.

국내 데이터센터는 2000년 53개에서 2020년 156개로 3배가량 늘었습니다.

2029년까지 새로 지어질 센터는 193곳에 이릅니다.

지난해 한국전력의 국감 자료를 보면 건립 예정인 데이터센터 193곳이 신청한 전기계약용량은 14.7GW로, 신고리 4호기급 원전 11기의 발전용량과 맞먹습니다.

24시간 가동하는 데다 열을 식혀줄 냉방시설까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들 데이터센터의 60%가량은 수도권에 있는 데다, 새로 지을 센터들도 94%가 수도권에 자리 잡을 예정입니다.

수도권 쏠림 현상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는 겁니다.

[강승훈/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 산업정책팀 : "가장 큰 이유는 고객이고요. 고객과의 접근성. 문제가 발생했을 때 즉시 대처가 가능해야 하는데 AS 업체라든지 인력 같은 부분에서의 편의성 부분도…."]

반도체 공장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지난해 25개 제조업종 가운데 반도체가 포함된 전자·통신 업종이 전체 제조업 사용량의 1/5을 차지하며 가장 많은 전기를 썼습니다.

삼성전자는 경기 수원과 화성, 평택, 아산, SK하이닉스는 경기 이천과 용인, 충북 청주입니다.

수도권 중심으로 구축돼 있습니다.

최근 10년 동안 전력 사용량도 비수도권과 달리, 경기도만 압도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전기를 보내는 '계통 인프라' 구축에 쓴 비용만 지난 11년 동안 2조 3,000억 원에 달합니다.

계통 인프라 구축 비용은 전기 생산 원가에 고스란히 포함됩니다.

우리나라 전기요금은 지역과 상관없이 원가를 균등하게 나누고 있는데요.

비수도권 전기 소비자들은 수도권으로의 송전 비용까지 포함해 전기요금을 부담하고 있습니다.

발전 시설과의 거리나 전력자급률에 따라 지역별 전기요금을 책정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지역 주민의 요금 부담을 낮추고, 전기를 많이 쓰는 기업의 지역 이전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신정훈/국회의원 : "영국에서는 전기를 생산하는 지역의 전기요금과 송배전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도시 지역의 전기요금과는 차별 요금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전기를 많이 생산하는 농촌 지역에 전기를 많이 소비하는 업체들이 입주하게 되면 많은 혜택을 볼 수 있는 것이죠."]

반도체·데이터센터 기업들의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구축도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김시헌/안양대 환경에너지공학과 교수 : "서울까지 송배전 손실을 일으키면서 도달하는 거잖아요. 100의 에너지를 넣어서 발전한다고 하면 35%밖에 도달을 안 해요. 서울에 올 때는…. 그래서 다른 데 보면 분산 발전을 많이 추구하고 있는 거죠."]

춘천시는 소양강 수열발전을 활용해 전력자급률을 높인 데이터센터 밀집단지 조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경재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그래픽:박부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