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산생존권사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정부의 수입 축산물 무관세 철회와 사료 가격 안정 대책을 촉구하며 시위에 나섰습니다.
전국한우협회와 대한한돈협회, 한국낙농육우협회, 대한양계협회, 한국육계협회, 한국오리협회, 한국토종닭협회, 한국양봉협회, 한국경주마생산자단체 등 9개 축산생산자단체로 구성된 축산 생존권 비대위는 오늘(11일) 서울역 앞에서 총궐기대회를 열고 이같이 요구했습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8일 고물가 부담 경감을 위한 민생안정 방안으로 주요 축산물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과 물량을 증량하기로 했습니다.
비대위는 정부가 물가안정을 위해 수입 축산물에 할당관세 0%를 적용했지만, 오히려 수입축산물 가격은 상승하고 국산 가격만 대폭 하락했다며 정책 효과에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또 치솟는 사료 가격으로 생산비에도 못 미치는 가격에 출하하고 있지만, 정부가 내놓는 정책마다 수입을 적극적으로 장려해 축산 농가들을 더 어렵게 하고 있다고 호소했습니다.
비대위는 건강한 국민 먹거리 생산에 전념하기 위해서는 축산 생산기반 사수가 필수라며, 무관세 철회와 사료 가격 안정화 대책이 마련될 때까지 물러서지 않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전국한우협회와 대한한돈협회, 한국낙농육우협회, 대한양계협회, 한국육계협회, 한국오리협회, 한국토종닭협회, 한국양봉협회, 한국경주마생산자단체 등 9개 축산생산자단체로 구성된 축산 생존권 비대위는 오늘(11일) 서울역 앞에서 총궐기대회를 열고 이같이 요구했습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8일 고물가 부담 경감을 위한 민생안정 방안으로 주요 축산물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과 물량을 증량하기로 했습니다.
비대위는 정부가 물가안정을 위해 수입 축산물에 할당관세 0%를 적용했지만, 오히려 수입축산물 가격은 상승하고 국산 가격만 대폭 하락했다며 정책 효과에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또 치솟는 사료 가격으로 생산비에도 못 미치는 가격에 출하하고 있지만, 정부가 내놓는 정책마다 수입을 적극적으로 장려해 축산 농가들을 더 어렵게 하고 있다고 호소했습니다.
비대위는 건강한 국민 먹거리 생산에 전념하기 위해서는 축산 생산기반 사수가 필수라며, 무관세 철회와 사료 가격 안정화 대책이 마련될 때까지 물러서지 않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축산업계 “효과 없는 수입 축산물 무관세 철회해야”
-
- 입력 2022-08-11 13:32:40

축산생존권사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정부의 수입 축산물 무관세 철회와 사료 가격 안정 대책을 촉구하며 시위에 나섰습니다.
전국한우협회와 대한한돈협회, 한국낙농육우협회, 대한양계협회, 한국육계협회, 한국오리협회, 한국토종닭협회, 한국양봉협회, 한국경주마생산자단체 등 9개 축산생산자단체로 구성된 축산 생존권 비대위는 오늘(11일) 서울역 앞에서 총궐기대회를 열고 이같이 요구했습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8일 고물가 부담 경감을 위한 민생안정 방안으로 주요 축산물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과 물량을 증량하기로 했습니다.
비대위는 정부가 물가안정을 위해 수입 축산물에 할당관세 0%를 적용했지만, 오히려 수입축산물 가격은 상승하고 국산 가격만 대폭 하락했다며 정책 효과에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또 치솟는 사료 가격으로 생산비에도 못 미치는 가격에 출하하고 있지만, 정부가 내놓는 정책마다 수입을 적극적으로 장려해 축산 농가들을 더 어렵게 하고 있다고 호소했습니다.
비대위는 건강한 국민 먹거리 생산에 전념하기 위해서는 축산 생산기반 사수가 필수라며, 무관세 철회와 사료 가격 안정화 대책이 마련될 때까지 물러서지 않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전국한우협회와 대한한돈협회, 한국낙농육우협회, 대한양계협회, 한국육계협회, 한국오리협회, 한국토종닭협회, 한국양봉협회, 한국경주마생산자단체 등 9개 축산생산자단체로 구성된 축산 생존권 비대위는 오늘(11일) 서울역 앞에서 총궐기대회를 열고 이같이 요구했습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8일 고물가 부담 경감을 위한 민생안정 방안으로 주요 축산물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과 물량을 증량하기로 했습니다.
비대위는 정부가 물가안정을 위해 수입 축산물에 할당관세 0%를 적용했지만, 오히려 수입축산물 가격은 상승하고 국산 가격만 대폭 하락했다며 정책 효과에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또 치솟는 사료 가격으로 생산비에도 못 미치는 가격에 출하하고 있지만, 정부가 내놓는 정책마다 수입을 적극적으로 장려해 축산 농가들을 더 어렵게 하고 있다고 호소했습니다.
비대위는 건강한 국민 먹거리 생산에 전념하기 위해서는 축산 생산기반 사수가 필수라며, 무관세 철회와 사료 가격 안정화 대책이 마련될 때까지 물러서지 않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조정인 기자 rower@kbs.co.kr
조정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