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노후 주택·노후 건물 ‘전국 최다’

입력 2022.08.11 (19:18) 수정 2022.08.11 (19: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부산의 노후 주택과 건물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낡은 건물과 주택은 안전 문제뿐 아니라 보기에도 좋지 않은데요,

부산시도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사유 재산이라 대책 마련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상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복도로에 작은 집들이 다닥다닥 모여 있습니다.

한국전쟁 때 피란민들이 몰려오면서 조성되기 시작한 이런 집들은 이후까지 많은 집이 그대로 남았습니다.

20년 이상된 노후 주택 비율은 부산이 평균 83%가 넘는데, 17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80%를 넘었습니다.

85%를 넘은 전국 16개 시·구·군 가운데 부산은 무려 11개가 포함됐습니다.

영도구가 91%로 가장 높았고, 사상구와 사하구가 두 번째, 세 번째를 기록했고, 서구, 동구가 뒤를 이었고, 해운대구와 부산진구,연제구,중구,동래구, 남구도 포함됐습니다.

노후 건물도 마찬가집니다.

20년 이상된 노후 건물 비율도 부산이 75%로, 전국 평균 58%보다 월등하게 높은 전국 최고입니다.

80%를 넘은 전국 18개 시·구·군 가운데 부산은 10개가 포함됐는데, 동구가 87%로 가장 높았고, 이어 서구와 영도구의 순이었으며, 사하구와 부산진구,중구,동래구,남구, 연제구,해운대구가 포함됐습니다.

이처럼 낡은 건물과 주택은 안전에 취약하고 도시 미관에도 좋지 않습니다.

부산시는 지난해 20년 이상 된 노후 주택 수리를 지원하기 위한 조례를 만들어 시행을 앞두고 있지만, 쉽지만은 않은 상황입니다.

[김종석/부산시 총괄건축과장 : "수많은 사유주택에 대한 행정청의 직접적인 지원은 여러 가지 사정상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습니다만, 도시미관이나 기능에 저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재개발의 활성화를 포함한 각종 규제 완화 등의 제도 개선 방안을 (검토하겠습니다.)"]

전문가들은 민간에 맡겨놓다 보면 시장 논리로 일부 지역 외에는 사업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합니다.

[강동진/경성대 도시공학과 교수 : "부분적으로 파편적인 개발이 진행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총체적인 관점에서 부산이 가지고 있는 도시 특성을 잃어버릴 수밖에 없습니다."]

이 때문에 적극적인 리모델링과 소규모 재건축 등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게 공공이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이상준입니다.

촬영기자:류석민/영상편집:김종수/그래픽:최유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산, 노후 주택·노후 건물 ‘전국 최다’
    • 입력 2022-08-11 19:18:16
    • 수정2022-08-11 19:56:49
    뉴스7(부산)
[앵커]

부산의 노후 주택과 건물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낡은 건물과 주택은 안전 문제뿐 아니라 보기에도 좋지 않은데요,

부산시도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사유 재산이라 대책 마련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상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복도로에 작은 집들이 다닥다닥 모여 있습니다.

한국전쟁 때 피란민들이 몰려오면서 조성되기 시작한 이런 집들은 이후까지 많은 집이 그대로 남았습니다.

20년 이상된 노후 주택 비율은 부산이 평균 83%가 넘는데, 17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80%를 넘었습니다.

85%를 넘은 전국 16개 시·구·군 가운데 부산은 무려 11개가 포함됐습니다.

영도구가 91%로 가장 높았고, 사상구와 사하구가 두 번째, 세 번째를 기록했고, 서구, 동구가 뒤를 이었고, 해운대구와 부산진구,연제구,중구,동래구, 남구도 포함됐습니다.

노후 건물도 마찬가집니다.

20년 이상된 노후 건물 비율도 부산이 75%로, 전국 평균 58%보다 월등하게 높은 전국 최고입니다.

80%를 넘은 전국 18개 시·구·군 가운데 부산은 10개가 포함됐는데, 동구가 87%로 가장 높았고, 이어 서구와 영도구의 순이었으며, 사하구와 부산진구,중구,동래구,남구, 연제구,해운대구가 포함됐습니다.

이처럼 낡은 건물과 주택은 안전에 취약하고 도시 미관에도 좋지 않습니다.

부산시는 지난해 20년 이상 된 노후 주택 수리를 지원하기 위한 조례를 만들어 시행을 앞두고 있지만, 쉽지만은 않은 상황입니다.

[김종석/부산시 총괄건축과장 : "수많은 사유주택에 대한 행정청의 직접적인 지원은 여러 가지 사정상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습니다만, 도시미관이나 기능에 저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재개발의 활성화를 포함한 각종 규제 완화 등의 제도 개선 방안을 (검토하겠습니다.)"]

전문가들은 민간에 맡겨놓다 보면 시장 논리로 일부 지역 외에는 사업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합니다.

[강동진/경성대 도시공학과 교수 : "부분적으로 파편적인 개발이 진행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총체적인 관점에서 부산이 가지고 있는 도시 특성을 잃어버릴 수밖에 없습니다."]

이 때문에 적극적인 리모델링과 소규모 재건축 등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게 공공이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이상준입니다.

촬영기자:류석민/영상편집:김종수/그래픽:최유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