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를 위한 환경교육…자연 학습·이색 체험까지
입력 2022.08.22 (08:30)
수정 2022.08.22 (08: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자연에 대한 학습과 이색 체험을 접목한 학교 밖 친환경 교육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충북환경교육센터를 중심으로 여러 연령층을 아우르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한창인데요.
박미영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지난 3월, 청주에 문을 연 충청북도교육청 환경교육센터입니다.
순환하는 지구, 식량과 자원, 미세먼지와 플라스틱 오염 등에 대한 중학생들의 환경 학습이 한창입니다.
자전거 페달 밟기로 전기를 직접 만들어보면서 에너지의 소중함을 깨닫기도 합니다.
백두대간을 축으로 한 충북의 생태와 자연 등에 대해서도 꼼꼼하게 살펴보고 기록합니다.
[최예원/단양중학교 2학년 : "평소에도 환경에 관심이 많고, 이런 곳에 와서 체험하게 되니까 지구에 대한 마음이 좀 더 깊어지는 것 같은 느낌도 들었어요."]
유치원생들은 개구리와 물고기 등 호수와 논에 사는 동물 그림을 직접 색칠해봅니다.
그림을 스캔하자, 내가 색칠한 동물이 서식지를 보여주는 화면에 깜짝 등장합니다.
나뭇가지와 풍선덩굴 등 자연 속의 재료로 함께 작은 집을 만들면서 창의력과 협동심을 기르기도 합니다.
[손동호/충북환경교육센터 환경교육팀 교사 :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에 맞춰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고요. 학교와 소통해서 학교에 맞는 프로그램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공작실에서는 남는 소나무 조각을 이용해 의자와 보관함을 만드는 가족 목공 수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전문가의 도움으로 직접 못을 박고 사포질을 하면서 세상에 하나뿐인 친환경 소품을 만듭니다.
[전미란/청주시 가경동 : "자투리 목재를 이용해서 이런 멋진 생활용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게, 아이와 같이 함께할 수 있다는 게 좋은 기회인 것 같습니다."]
기후 위기 시대, 모두를 위한 학교 밖 체험형 환경 교육의 가치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미영입니다.
촬영기자:김현기
자연에 대한 학습과 이색 체험을 접목한 학교 밖 친환경 교육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충북환경교육센터를 중심으로 여러 연령층을 아우르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한창인데요.
박미영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지난 3월, 청주에 문을 연 충청북도교육청 환경교육센터입니다.
순환하는 지구, 식량과 자원, 미세먼지와 플라스틱 오염 등에 대한 중학생들의 환경 학습이 한창입니다.
자전거 페달 밟기로 전기를 직접 만들어보면서 에너지의 소중함을 깨닫기도 합니다.
백두대간을 축으로 한 충북의 생태와 자연 등에 대해서도 꼼꼼하게 살펴보고 기록합니다.
[최예원/단양중학교 2학년 : "평소에도 환경에 관심이 많고, 이런 곳에 와서 체험하게 되니까 지구에 대한 마음이 좀 더 깊어지는 것 같은 느낌도 들었어요."]
유치원생들은 개구리와 물고기 등 호수와 논에 사는 동물 그림을 직접 색칠해봅니다.
그림을 스캔하자, 내가 색칠한 동물이 서식지를 보여주는 화면에 깜짝 등장합니다.
나뭇가지와 풍선덩굴 등 자연 속의 재료로 함께 작은 집을 만들면서 창의력과 협동심을 기르기도 합니다.
[손동호/충북환경교육센터 환경교육팀 교사 :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에 맞춰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고요. 학교와 소통해서 학교에 맞는 프로그램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공작실에서는 남는 소나무 조각을 이용해 의자와 보관함을 만드는 가족 목공 수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전문가의 도움으로 직접 못을 박고 사포질을 하면서 세상에 하나뿐인 친환경 소품을 만듭니다.
[전미란/청주시 가경동 : "자투리 목재를 이용해서 이런 멋진 생활용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게, 아이와 같이 함께할 수 있다는 게 좋은 기회인 것 같습니다."]
기후 위기 시대, 모두를 위한 학교 밖 체험형 환경 교육의 가치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미영입니다.
촬영기자:김현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모두를 위한 환경교육…자연 학습·이색 체험까지
-
- 입력 2022-08-22 08:29:59
- 수정2022-08-22 08:59:22

[앵커]
자연에 대한 학습과 이색 체험을 접목한 학교 밖 친환경 교육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충북환경교육센터를 중심으로 여러 연령층을 아우르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한창인데요.
박미영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지난 3월, 청주에 문을 연 충청북도교육청 환경교육센터입니다.
순환하는 지구, 식량과 자원, 미세먼지와 플라스틱 오염 등에 대한 중학생들의 환경 학습이 한창입니다.
자전거 페달 밟기로 전기를 직접 만들어보면서 에너지의 소중함을 깨닫기도 합니다.
백두대간을 축으로 한 충북의 생태와 자연 등에 대해서도 꼼꼼하게 살펴보고 기록합니다.
[최예원/단양중학교 2학년 : "평소에도 환경에 관심이 많고, 이런 곳에 와서 체험하게 되니까 지구에 대한 마음이 좀 더 깊어지는 것 같은 느낌도 들었어요."]
유치원생들은 개구리와 물고기 등 호수와 논에 사는 동물 그림을 직접 색칠해봅니다.
그림을 스캔하자, 내가 색칠한 동물이 서식지를 보여주는 화면에 깜짝 등장합니다.
나뭇가지와 풍선덩굴 등 자연 속의 재료로 함께 작은 집을 만들면서 창의력과 협동심을 기르기도 합니다.
[손동호/충북환경교육센터 환경교육팀 교사 :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에 맞춰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고요. 학교와 소통해서 학교에 맞는 프로그램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공작실에서는 남는 소나무 조각을 이용해 의자와 보관함을 만드는 가족 목공 수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전문가의 도움으로 직접 못을 박고 사포질을 하면서 세상에 하나뿐인 친환경 소품을 만듭니다.
[전미란/청주시 가경동 : "자투리 목재를 이용해서 이런 멋진 생활용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게, 아이와 같이 함께할 수 있다는 게 좋은 기회인 것 같습니다."]
기후 위기 시대, 모두를 위한 학교 밖 체험형 환경 교육의 가치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미영입니다.
촬영기자:김현기
자연에 대한 학습과 이색 체험을 접목한 학교 밖 친환경 교육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충북환경교육센터를 중심으로 여러 연령층을 아우르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한창인데요.
박미영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지난 3월, 청주에 문을 연 충청북도교육청 환경교육센터입니다.
순환하는 지구, 식량과 자원, 미세먼지와 플라스틱 오염 등에 대한 중학생들의 환경 학습이 한창입니다.
자전거 페달 밟기로 전기를 직접 만들어보면서 에너지의 소중함을 깨닫기도 합니다.
백두대간을 축으로 한 충북의 생태와 자연 등에 대해서도 꼼꼼하게 살펴보고 기록합니다.
[최예원/단양중학교 2학년 : "평소에도 환경에 관심이 많고, 이런 곳에 와서 체험하게 되니까 지구에 대한 마음이 좀 더 깊어지는 것 같은 느낌도 들었어요."]
유치원생들은 개구리와 물고기 등 호수와 논에 사는 동물 그림을 직접 색칠해봅니다.
그림을 스캔하자, 내가 색칠한 동물이 서식지를 보여주는 화면에 깜짝 등장합니다.
나뭇가지와 풍선덩굴 등 자연 속의 재료로 함께 작은 집을 만들면서 창의력과 협동심을 기르기도 합니다.
[손동호/충북환경교육센터 환경교육팀 교사 :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에 맞춰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고요. 학교와 소통해서 학교에 맞는 프로그램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공작실에서는 남는 소나무 조각을 이용해 의자와 보관함을 만드는 가족 목공 수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전문가의 도움으로 직접 못을 박고 사포질을 하면서 세상에 하나뿐인 친환경 소품을 만듭니다.
[전미란/청주시 가경동 : "자투리 목재를 이용해서 이런 멋진 생활용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게, 아이와 같이 함께할 수 있다는 게 좋은 기회인 것 같습니다."]
기후 위기 시대, 모두를 위한 학교 밖 체험형 환경 교육의 가치가 점점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미영입니다.
촬영기자:김현기
-
-
박미영 기자 mypark@kbs.co.kr
박미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