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만 원 싸게 받으라”하자 반발하는 대중제골프장

입력 2022.08.23 (06: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약

세계적 기업 능가하는 대중제 골프장 영업이익률
그린피 급등…코로나 틈탄 폭리 논란 계속
정부, "회원제보다 높게 받지 못하도록" 추진
대중제 반발 속 일부 자발적 요금 인하 움직임


■그린피 30만 원, 이게 대중제(퍼블릭) 맞나요?

수도권에 있는 한 대중제(퍼블릭) 골프장 요금표입니다. 18홀 정상요금이라고 골프장 측에서 밝힌 내용을 그대로 인용해왔습니다.

A 대중제 골프장 요금
(출처:골프장 홈페이지)
평일: 249,000원 주말·공휴일:299,000원

다른 변수가 없다면 평일은 25만 원, 주말에는 30만 원이라는 뜻입니다. 골프 대중화를 위해 조성했다는 대중제(퍼블릭) 요금이 이렇습니다. 웬만한 회원제보다 비쌉니다. 4인 기준 그린피에 카트비, 캐디피까지 더하면 기본비용만 150만 원에 육박합니다.

실제로 대중제 골프장의 25% 정도가 회원제 골프장의 비회원 평균 그린피보다 비싸게 받고 있다는 조사 결과(한국소비자원, 2021년)도 있습니다. 잘 알려졌다시피 대중제 골프장은 세금 등에서 회원제보다 여러 금전적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영업이익률 40%…구글·애플보다 높다

코로나 19 유행은 골프장들에 큰 호재가 됐습니다. 수요가 몰리니 가격이 오르는 것은 당연한 일일 수 있습니다. 골프장들이 적당한 선을 지켰다면 그냥 넘어갈 수도 있는 문제였겠죠. 하지만 골프장 수익률이 최근 급등한 가운데 특히 대중제가 누린 특수의 정도는 이용객들의 거센 반발을 사는 지경까지 이르렀습니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국내 대중제 골프장의 영업이익률은 40%를 넘었습니다. 돈 잘 벌기로 유명한 구글이나 애플의 영업이익률이 20% 선이고 삼성전자는 10% 수준입니다. 골프장들이 이런 세계적인 기업들보다 더 혁신적이고 더 창의적인 활동을 통해 수익을 창출했을까요? 그보다는 그냥 가격을 올렸기 때문으로 보는 게 더 타당할 것 같습니다.


올해 5월 기준으로 코로나 전인 2020년과 비교한 그린피 오름세 자료입니다. 물론 여기에는 그린피 못지 않게 인상된 카트 사용료, 캐디피, 각종 식음료 비용 등은 빠져 있습니다.

■불만 폭주하자 정부, "4만 원 덜 받으라" 검토

대중제 골프장은 1990년대 말 정부의 '골프 대중화 정책'을 계기로 등장했습니다. 회원제와 달리 개별소비세를 부과하지 않고, 재산세도 낮춰주는 등 여러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1999년 9개에 불과하던 대중제 골프장 수는 300곳 넘게 늘어 회원제 수를 단연 압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중제'라는 말에 어울리지 않게 요금 인상에 대한 원성이 폭주하자 정부가 관련법 개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핵심은 대중제 그린피 인하를 유도하겠다는 것입니다.


표에서 본 것처럼 개정안의 핵심은 '대중제 골프장이 회원제골프장의 비회원 평균 요금보다 그린피를 4만 원 낮게 책정하면 지금처럼 세제 혜택을 주고, 그렇지 않으면 지금의 회원제처럼 개별소비세 등 세금을 물리겠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성수기 회원제골프장 비회원 그린피가 평균 24만 원이라면 이보다 4만 원 낮은 20만 원 이하로 책정하면 지금의 대중제 혜택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대중제 반발, "요금만 더 오를 것"

이런 정부의 움직임에 대해 대중제골프장들은 반발하고 있습니다. 시장경제 원칙에 안 맞다는 것입니다. 개별 골프장들의 코스 상태나 처지 등이 다 다른데 일괄적으로 가격을 규제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주장이 먼저입니다.

대중제 골프장이 회원제와 달리 골프장 조성 원가가 비싸고 경영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점도 주요 반대 이유로 꼽고 있습니다.

오히려 이 방안을 시행하면 많은 대중제 골프장이 새로 부과되는 세금만큼 이용 요금을 인상하는 방법으로 대처할 가능성이 있다고 골프장 업계는 지적하고 있습니다. 일부 언론들은 "시장을 왜곡해 비용을 더 올릴 것"이란 기사로 입장을 대변하기도 했습니다.

■일부 요금 인하 움직임…'눈 속이기 대응'은 곤란

코로나 19 이후 골프장 이용료가 폭등해 소비자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연합뉴스 자료 사진)코로나 19 이후 골프장 이용료가 폭등해 소비자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연합뉴스 자료 사진)

2년 넘게 현재 진행 중인 코로나 19로 인해 해외 여행길이 막히고 여가 활동에 제한이 생기면서 골프장들은 특수를 누렸습니다. 이 과정에서 끝을 모르고 치솟는 이용료에 소비자들의 불만은 극에 달했습니다. '불매운동'을 통해 골프장들에 경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정부가 추진 중인 '4만 원 인하' 법 개정에 골프장들은 반발하고 있지만, 이용객들은 다른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해야 합니다.

전방위적인 물가 폭등 속에 '공공의 적'이 돼버린 골프장 이용요금. 최근 일부 골프장에서 그린피 인하 캠페인을 통해 자정 노력을 시작했다는 소식도 들립니다. 이런 움직임이 당장의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눈 속이기 대응으로 끝나지 않을지는 앞으로 좀 더 지켜봐야 할 부분입니다.

(그래픽: 김서린 / 사진구성:신혜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4만 원 싸게 받으라”하자 반발하는 대중제골프장
    • 입력 2022-08-23 06:00:17
    취재K
세계적 기업 능가하는 대중제 골프장 영업이익률<br />그린피 급등…코로나 틈탄 폭리 논란 계속<br />정부, "회원제보다 높게 받지 못하도록" 추진<br />대중제 반발 속 일부 자발적 요금 인하 움직임

■그린피 30만 원, 이게 대중제(퍼블릭) 맞나요?

수도권에 있는 한 대중제(퍼블릭) 골프장 요금표입니다. 18홀 정상요금이라고 골프장 측에서 밝힌 내용을 그대로 인용해왔습니다.

A 대중제 골프장 요금
(출처:골프장 홈페이지)
평일: 249,000원 주말·공휴일:299,000원

다른 변수가 없다면 평일은 25만 원, 주말에는 30만 원이라는 뜻입니다. 골프 대중화를 위해 조성했다는 대중제(퍼블릭) 요금이 이렇습니다. 웬만한 회원제보다 비쌉니다. 4인 기준 그린피에 카트비, 캐디피까지 더하면 기본비용만 150만 원에 육박합니다.

실제로 대중제 골프장의 25% 정도가 회원제 골프장의 비회원 평균 그린피보다 비싸게 받고 있다는 조사 결과(한국소비자원, 2021년)도 있습니다. 잘 알려졌다시피 대중제 골프장은 세금 등에서 회원제보다 여러 금전적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영업이익률 40%…구글·애플보다 높다

코로나 19 유행은 골프장들에 큰 호재가 됐습니다. 수요가 몰리니 가격이 오르는 것은 당연한 일일 수 있습니다. 골프장들이 적당한 선을 지켰다면 그냥 넘어갈 수도 있는 문제였겠죠. 하지만 골프장 수익률이 최근 급등한 가운데 특히 대중제가 누린 특수의 정도는 이용객들의 거센 반발을 사는 지경까지 이르렀습니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국내 대중제 골프장의 영업이익률은 40%를 넘었습니다. 돈 잘 벌기로 유명한 구글이나 애플의 영업이익률이 20% 선이고 삼성전자는 10% 수준입니다. 골프장들이 이런 세계적인 기업들보다 더 혁신적이고 더 창의적인 활동을 통해 수익을 창출했을까요? 그보다는 그냥 가격을 올렸기 때문으로 보는 게 더 타당할 것 같습니다.


올해 5월 기준으로 코로나 전인 2020년과 비교한 그린피 오름세 자료입니다. 물론 여기에는 그린피 못지 않게 인상된 카트 사용료, 캐디피, 각종 식음료 비용 등은 빠져 있습니다.

■불만 폭주하자 정부, "4만 원 덜 받으라" 검토

대중제 골프장은 1990년대 말 정부의 '골프 대중화 정책'을 계기로 등장했습니다. 회원제와 달리 개별소비세를 부과하지 않고, 재산세도 낮춰주는 등 여러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1999년 9개에 불과하던 대중제 골프장 수는 300곳 넘게 늘어 회원제 수를 단연 압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중제'라는 말에 어울리지 않게 요금 인상에 대한 원성이 폭주하자 정부가 관련법 개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핵심은 대중제 그린피 인하를 유도하겠다는 것입니다.


표에서 본 것처럼 개정안의 핵심은 '대중제 골프장이 회원제골프장의 비회원 평균 요금보다 그린피를 4만 원 낮게 책정하면 지금처럼 세제 혜택을 주고, 그렇지 않으면 지금의 회원제처럼 개별소비세 등 세금을 물리겠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성수기 회원제골프장 비회원 그린피가 평균 24만 원이라면 이보다 4만 원 낮은 20만 원 이하로 책정하면 지금의 대중제 혜택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대중제 반발, "요금만 더 오를 것"

이런 정부의 움직임에 대해 대중제골프장들은 반발하고 있습니다. 시장경제 원칙에 안 맞다는 것입니다. 개별 골프장들의 코스 상태나 처지 등이 다 다른데 일괄적으로 가격을 규제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주장이 먼저입니다.

대중제 골프장이 회원제와 달리 골프장 조성 원가가 비싸고 경영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점도 주요 반대 이유로 꼽고 있습니다.

오히려 이 방안을 시행하면 많은 대중제 골프장이 새로 부과되는 세금만큼 이용 요금을 인상하는 방법으로 대처할 가능성이 있다고 골프장 업계는 지적하고 있습니다. 일부 언론들은 "시장을 왜곡해 비용을 더 올릴 것"이란 기사로 입장을 대변하기도 했습니다.

■일부 요금 인하 움직임…'눈 속이기 대응'은 곤란

코로나 19 이후 골프장 이용료가 폭등해 소비자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연합뉴스 자료 사진)
2년 넘게 현재 진행 중인 코로나 19로 인해 해외 여행길이 막히고 여가 활동에 제한이 생기면서 골프장들은 특수를 누렸습니다. 이 과정에서 끝을 모르고 치솟는 이용료에 소비자들의 불만은 극에 달했습니다. '불매운동'을 통해 골프장들에 경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정부가 추진 중인 '4만 원 인하' 법 개정에 골프장들은 반발하고 있지만, 이용객들은 다른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해야 합니다.

전방위적인 물가 폭등 속에 '공공의 적'이 돼버린 골프장 이용요금. 최근 일부 골프장에서 그린피 인하 캠페인을 통해 자정 노력을 시작했다는 소식도 들립니다. 이런 움직임이 당장의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눈 속이기 대응으로 끝나지 않을지는 앞으로 좀 더 지켜봐야 할 부분입니다.

(그래픽: 김서린 / 사진구성:신혜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