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회견 참석 언론사에 광고비’…논란 키운 창원시 해명

입력 2022.08.24 (14:36) 수정 2022.08.24 (14: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달 창원시 진해구 한 가정에서 주민이 신고한 수돗물 유충 의심 사례.지난달 창원시 진해구 한 가정에서 주민이 신고한 수돗물 유충 의심 사례.

■ '수돗물 유충 사고'…창원시의 대응은?

지난달 7일, 경남 창원시 진해구 6만 5천 가구, 15만 명에게 하루 수돗물 5만 톤을 공급하는 석동정수장에서 '수돗물 유충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시민들이 믿고 마셔야 하는 수돗물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된 것입니다. 수돗물의 신뢰를 뒤흔든 이 사고, 더 큰 문제는 사고 이후 창원시의 대응입니다.

창원시 진해구 석동정수장에서 수돗물 유충이 발견된 것은 지난달 7일, 하지만 창원시는 최초 유충 발견 이후 28시간이 지난 시점에서야 홍남표 창원시장에게 이를 보고했습니다. 이를 시민들에게 알린 시각은 지난달 8일 밤 10시 40분, 최초 유충 발견 이후 36시간이 지난 시점입니다. 창원시민들은 창원시의 늑장 대응에 분노했습니다. 창원시가 시민들에게 수돗물 유충 사고 발생을 늦게 알려, 많은 시민이 깔따구 유충이 있을지도 모를 수돗물을 마셔야 했기 때문입니다.

창원시민들의 창원시청 항의방문을 다룬 KBS뉴스 화면.창원시민들의 창원시청 항의방문을 다룬 KBS뉴스 화면.
https://www.youtube.com/watch?v=DDxRV4MuiPs

수돗물 유충 사고 16일 만인 지난달 23일 오후에 열린 홍남표 창원시장의 기자회견.수돗물 유충 사고 16일 만인 지난달 23일 오후에 열린 홍남표 창원시장의 기자회견.

■ 창원시장, '16일 만에 사과'…토요일 오후 5시 기자회견

사고 발생 15일 만인 지난달 22일 오후, 창원시는 다음 날 홍남표 창원시장이 시민 사과와 대책 발표 기자회견을 한다고 전했습니다. 창원시 공보관은 저녁 7시 이후 개별적으로 창원시 취재기자들에게 전화로 이를 통보하며 참석을 독려했습니다. 하지만 기자회견 전날까지 정확한 기자회견 시간도 공지되지 않았고, 기자회견 당일인 지난달 23일 토요일 기자회견을 불과 3시간 앞둔 오후 1시 49분에서야 최종 기자회견 시간이 확정됐습니다.

창원시를 취재하는 주요 언론들은 이런 기자회견 진행 방식과 내용에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사전에 충분한 협의가 없이 일방적으로 진행되는 기자회견에 창원시가 참석을 독려한다는 데 대한 문제 제기였습니다. 심지어 당시에는 수돗물 유충 사고의 원인을 조사하는 '민관 합동 특별조사위원회'에서 중간 발표나 대책 발표도 되지 않은 시점이었기에, 원인 조사도 되지 않은 상황에서 어떤 대책이 나올지 의문이 제기되던 상황이었습니다.

창원시의 최근 한 달 언론사별 광고·홍보비 지출 내역.창원시의 최근 한 달 언론사별 광고·홍보비 지출 내역.

■ 창원시장 기자회견 참석 기자만 광고비 배정?

홍남표 창원시장의 수돗물 유충 사고 첫 기자회견에는 7개 언론사가 참석했습니다. 정확히 취재기자 6명과 촬영기자 1명 등 전체 7개 언론사 기자들입니다. 그런데 기자회견 이틀 뒤인 지난달 25일, 창원시는 기자회견에 참석했던 언론사 5곳에 110만 원씩, 모두 550만 원의 광고를 발주했습니다. 광고 내용은 '민선 8기 시정 비전 홍보 배너 광고'가 이유였습니다. 기자회견에 참석했던 또 다른 언론사에는 일주일 뒤인 지난 3일 '창원특례시 도시 이미지 홍보 배너광고'를 이유로 110만 원이 지출됐습니다.

KBS창원은 창원시의회를 통해 창원시의 <언론사별 광고 홍보비 예산 지출 내역(2022.7.1 ~ 2022.8.3까지)을 확보하고, 이런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이후 <창원시장 기자회견 참석 기자만 광고비 배정? / KBS 2022.08.18.> 뉴스(https://www.youtube.com/watch?v=gXF2ZAqdW98)를 제작해 한해 15억 원에 이르는 창원시의 광고비 집행 기준에 의문을 제기하며, 선심성 예산 집행은 아닌지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KBS창원 보도 이후 창원시가 발표한 해명자료.KBS창원 보도 이후 창원시가 발표한 해명자료.

■ '선심성 광고비' 집행 지적이…왜곡 보도?

KBS창원의 보도 이후 창원시는 지난 19일 19시 12분 창원시를 취재하는 400여 명 기자에게 이메일을 보냈습니다. <KBS뉴스 왜곡 보도[8.18.] 관련 창원시 해명자료>를 통해 팩트와 정황, 창원시 판단을 담았습니다. 또, 창원시 담당 취재기자 이메일을 통해 KBS창원방송총국을 상대로 <KBS창원 보도내용 정정보도 요청>을 보내왔습니다.

하지만 창원시가 밝힌 [팩트]의 요지는 기본적인 사실과 다릅니다.

[창원시 주장]
KBS는 창원시가 공식 사과 이틀 후 브리핑에 참여한 5개 매체에 국한하여 광고비를 집행했다고 보도하였으나, 당일 브리핑에 참여한 매체는 10여 개였다.

당일 홍남표 창원시장의 첫 기자회견에 참여한 매체는 앞서 지적했듯 7개 언론사입니다. 창원시는 10여 개 매체가 참석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릅니다. 창원시 자체 유튜브 채널로 중계한 동영상을 보면 금방 확인할 수 있는 기본적인 사실입니다. 특히, 창원시 요청으로 기자회견 당일 창원시를 방문한 3개 언론사 기자들은 기자회견장인 브리핑룸에 들어가지 않고 밖에서 창원시 관계자를 기다렸습니다. 일방적인 기자회견에 항의의 뜻을 전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창원시는 이들 언론사마저 마치 기자회견에 참석한 언론사인 것처럼 '둔갑'시켰습니다.

[창원시 정황 판단]
창원시장의 공식 사과가 이미 끝난 마당에 브리핑에 참여한 매체 10여 개 중 5개 매체만 특별히 선심성 광고비를 집행할 하등의 이유가 없으며, 이는 어느 누구나 쉽게 짐작할 수 있는 사실이다.

창원시에 확인한 결과, 창원시를 취재하는 언론사는 200여 곳, 창원시 보도자료를 받는 언론인은 400여 명입니다. 창원시를 상시 취재하는 언론사는 40여 곳에 이릅니다. 인구 103만 명 대도시이자 경남의 주요 도시인 창원에서, 평소 지역 주요 현안과 관련된 기자회견이 열리면 기자회견장 가득하게 취재진이 몰립니다. 하지만 수돗물 유충 사고와 관련한 창원시장의 첫 기자회견, 민선 8기 취임 이후 창원시장의 첫 기자회견에는 고작 7개 언론사만 참석한 상황이었습니다.

KBS창원은 '창원시가 기자회견 이후 5개 언론사에 대해 광고를 배정했는데, 이들 언론사는 모두 기자회견에 참석한 언론사'라고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창원시는 '5개 매체만 특별히 선심성 광고비를 집행할 하등의 이유가 없으며, 이는 어느 누구나 쉽게 짐작할 수 있는 사실'이라는 입장을 되풀이하고 있습니다.

광고비 집행 기준에 대한 창원시 공보관의 해명.광고비 집행 기준에 대한 창원시 공보관의 해명.

■ "소외됐던 언론사에 광고비 집행"…논란 키운 창원시 해명

취재 당시 KBS창원은 창원시의 반론권 보장을 위해 창원시 공보관과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창원시장의 기자회견 뒤 일부 언론사에 광고비를 배정한 이유에 대해 창원시의 명확한 입장과 설명을 요구했습니다. 창원시 공보관의 공식 해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꼭 (기자회견에) 참석했다고 해서 집행한 것은 아니고, 평상시에 좀 소외됐던 언론사 위주로 (광고비를) 집행했던 것 같습니다."

경남민주언론시민연합은 지난 22일 성명을 내 창원시에 광고비 집행기준과 내역 공개를 촉구했습니다. 경남민언련은 창원시 공보관의 인터뷰를 지적하며 "광고비 집행 기준이 참석 여부도 아니고 '소외됐던 언론사'라는 것이다. 문제의 핵심에 대한 답변도 아닐뿐더러 그동안 창원시가 이런 방식으로 광고비를 자의적으로 집행해 왔다는 방증"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경남민언련은 "예산과 집행내역을 포함해 1인 매체, 온라인 매체와 주간신문, 일간지의 영향력과 광고비 집행의 효율성, 공익성, 신뢰성 같은 객관적 기준 마련과 이에 따른 홍보비의 산정 기준도 공개되어야 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기자회견에 직접 참석했던 7개 매체 가운데 저간의 사정이 있는 2개 매체를 제외한 5개 매체에만 광고비를 배정한 것은 누가 보아도 합리적인 의심을 받기에 충분했다"라고 밝혔습니다. 또, "그동안 소외되어 있었다면서 떡 하나 더 주듯이 누구의 말 한마디에 의해 광고비가 집행되고 말고 하는 호주머니 쌈짓돈이 아니다"라며, 창원시에 ▲정부광고 운영위원회 신설 ▲투명한 정부 광고비 집행기준 및 절차 수립 ▲경남지역 언론사 영향력 지수 개발 및 광고 집행 기준 등을 요구했습니다.

창원시가 특정 언론사에 발주한 시정 비전 홍보 배너 광고.창원시가 특정 언론사에 발주한 시정 비전 홍보 배너 광고.

■ 반복되는 '정부 광고' 논란…'관리인가, 광고인가'

전국언론노조는 지난 6월, 한국언론진흥재단으로부터 받은 2016년부터 2020년 5월까지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한 정부광고 자료를 공개했습니다. 지난한 행정소송을 거쳐 광고주와 매체별 광고에 해당하는 31만 건의 자료입니다. 이 자료는 인터넷 검색으로 누구나 금방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료에 따르면 4년 동안 전국 신문 매체에 집행된 연평균 광고료는 2,193억 원 수준, 가장 많은 광고비를 집행한 광고주는 지방자치단체였습니다. 4년 평균 1,012억 원입니다.

이 가운데 창원시는 연평균 15억 7천만 원(전국 16위), 부산광역시 12억 9천만 원(전국 21위), 경상남도 5억 7천만 원(전국 72위) 수준입니다. 인구 103만 명 창원시 연간 광고비보다 더 많은 광고비를 지출한 전국 지방자치단체는 경북도청과 대구광역시, 서울특별시 등 5곳뿐입니다.

정부광고 문제의 핵심은 투명성입니다.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한 정부광고는 마땅한 집행 기준이나 투명성 보장 제도가 없다 보니, 이해관계에 따라 일방적인 선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큰 데다, 광고를 활용한 지방자치단체 등 정부 기관의 언론사 길들이기가 공공연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습니다.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정부광고가 정책에 대한 이해를 돕기보다 언론사를 관리하는 정부 기관의 도구로 변질되었다는 것입니다. 여기다 지방자치단체가 보조금 사업으로 언론사에 지원하는 사업 예산은 실질적인 후원 성격이 강하지만, 정부광고 예산에 포함되지도 않습니다. 보도자료만 내면 이를 써주고 광고를 받는 '가짜 사이비 언론'이 늘고, 광고비가 지방자치단체의 언론 길들이기 도구나 비판 언론에 재갈을 물리는 도구로 활용됐다는 지적도 끊임없이 나왔습니다.

창원시는 KBS창원이 "창원시정 전반에 걸쳐 행정 불신을 초래하고 시민의 알 권리를 왜곡하는 보도를 했다"라고 주장합니다. 권력과 행정기관에 대한 견제와 감시, 비판이라는 언론의 사명을 생각하면, '광고비'라는 민감한 영역에 대해서도 성역 없는 보도가 있어야 할 것입니다.
좋은 약은 입에 쓴 법이지만, 잘못된 행동에도 아첨과 거짓으로 눈과 귀를 가리는 일이 반복된다면 결코 성공하지 못할 것입니다. 문제는 단순합니다. 누가, 언제, 어떤 이유로 기자회견에 참석한 언론사에 광고비를 배정했는지 당당하게 밝히면 될 일입니다. 창원시의 납득할 만한 답변과 대책 마련을 기대하겠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자회견 참석 언론사에 광고비’…논란 키운 창원시 해명
    • 입력 2022-08-24 14:36:57
    • 수정2022-08-24 14:38:34
    취재K
지난달 창원시 진해구 한 가정에서 주민이 신고한 수돗물 유충 의심 사례.
■ '수돗물 유충 사고'…창원시의 대응은?

지난달 7일, 경남 창원시 진해구 6만 5천 가구, 15만 명에게 하루 수돗물 5만 톤을 공급하는 석동정수장에서 '수돗물 유충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시민들이 믿고 마셔야 하는 수돗물에서 '깔따구 유충'이 발견된 것입니다. 수돗물의 신뢰를 뒤흔든 이 사고, 더 큰 문제는 사고 이후 창원시의 대응입니다.

창원시 진해구 석동정수장에서 수돗물 유충이 발견된 것은 지난달 7일, 하지만 창원시는 최초 유충 발견 이후 28시간이 지난 시점에서야 홍남표 창원시장에게 이를 보고했습니다. 이를 시민들에게 알린 시각은 지난달 8일 밤 10시 40분, 최초 유충 발견 이후 36시간이 지난 시점입니다. 창원시민들은 창원시의 늑장 대응에 분노했습니다. 창원시가 시민들에게 수돗물 유충 사고 발생을 늦게 알려, 많은 시민이 깔따구 유충이 있을지도 모를 수돗물을 마셔야 했기 때문입니다.

창원시민들의 창원시청 항의방문을 다룬 KBS뉴스 화면.https://www.youtube.com/watch?v=DDxRV4MuiPs

수돗물 유충 사고 16일 만인 지난달 23일 오후에 열린 홍남표 창원시장의 기자회견.
■ 창원시장, '16일 만에 사과'…토요일 오후 5시 기자회견

사고 발생 15일 만인 지난달 22일 오후, 창원시는 다음 날 홍남표 창원시장이 시민 사과와 대책 발표 기자회견을 한다고 전했습니다. 창원시 공보관은 저녁 7시 이후 개별적으로 창원시 취재기자들에게 전화로 이를 통보하며 참석을 독려했습니다. 하지만 기자회견 전날까지 정확한 기자회견 시간도 공지되지 않았고, 기자회견 당일인 지난달 23일 토요일 기자회견을 불과 3시간 앞둔 오후 1시 49분에서야 최종 기자회견 시간이 확정됐습니다.

창원시를 취재하는 주요 언론들은 이런 기자회견 진행 방식과 내용에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사전에 충분한 협의가 없이 일방적으로 진행되는 기자회견에 창원시가 참석을 독려한다는 데 대한 문제 제기였습니다. 심지어 당시에는 수돗물 유충 사고의 원인을 조사하는 '민관 합동 특별조사위원회'에서 중간 발표나 대책 발표도 되지 않은 시점이었기에, 원인 조사도 되지 않은 상황에서 어떤 대책이 나올지 의문이 제기되던 상황이었습니다.

창원시의 최근 한 달 언론사별 광고·홍보비 지출 내역.
■ 창원시장 기자회견 참석 기자만 광고비 배정?

홍남표 창원시장의 수돗물 유충 사고 첫 기자회견에는 7개 언론사가 참석했습니다. 정확히 취재기자 6명과 촬영기자 1명 등 전체 7개 언론사 기자들입니다. 그런데 기자회견 이틀 뒤인 지난달 25일, 창원시는 기자회견에 참석했던 언론사 5곳에 110만 원씩, 모두 550만 원의 광고를 발주했습니다. 광고 내용은 '민선 8기 시정 비전 홍보 배너 광고'가 이유였습니다. 기자회견에 참석했던 또 다른 언론사에는 일주일 뒤인 지난 3일 '창원특례시 도시 이미지 홍보 배너광고'를 이유로 110만 원이 지출됐습니다.

KBS창원은 창원시의회를 통해 창원시의 <언론사별 광고 홍보비 예산 지출 내역(2022.7.1 ~ 2022.8.3까지)을 확보하고, 이런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이후 <창원시장 기자회견 참석 기자만 광고비 배정? / KBS 2022.08.18.> 뉴스(https://www.youtube.com/watch?v=gXF2ZAqdW98)를 제작해 한해 15억 원에 이르는 창원시의 광고비 집행 기준에 의문을 제기하며, 선심성 예산 집행은 아닌지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KBS창원 보도 이후 창원시가 발표한 해명자료.
■ '선심성 광고비' 집행 지적이…왜곡 보도?

KBS창원의 보도 이후 창원시는 지난 19일 19시 12분 창원시를 취재하는 400여 명 기자에게 이메일을 보냈습니다. <KBS뉴스 왜곡 보도[8.18.] 관련 창원시 해명자료>를 통해 팩트와 정황, 창원시 판단을 담았습니다. 또, 창원시 담당 취재기자 이메일을 통해 KBS창원방송총국을 상대로 <KBS창원 보도내용 정정보도 요청>을 보내왔습니다.

하지만 창원시가 밝힌 [팩트]의 요지는 기본적인 사실과 다릅니다.

[창원시 주장]
KBS는 창원시가 공식 사과 이틀 후 브리핑에 참여한 5개 매체에 국한하여 광고비를 집행했다고 보도하였으나, 당일 브리핑에 참여한 매체는 10여 개였다.

당일 홍남표 창원시장의 첫 기자회견에 참여한 매체는 앞서 지적했듯 7개 언론사입니다. 창원시는 10여 개 매체가 참석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릅니다. 창원시 자체 유튜브 채널로 중계한 동영상을 보면 금방 확인할 수 있는 기본적인 사실입니다. 특히, 창원시 요청으로 기자회견 당일 창원시를 방문한 3개 언론사 기자들은 기자회견장인 브리핑룸에 들어가지 않고 밖에서 창원시 관계자를 기다렸습니다. 일방적인 기자회견에 항의의 뜻을 전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창원시는 이들 언론사마저 마치 기자회견에 참석한 언론사인 것처럼 '둔갑'시켰습니다.

[창원시 정황 판단]
창원시장의 공식 사과가 이미 끝난 마당에 브리핑에 참여한 매체 10여 개 중 5개 매체만 특별히 선심성 광고비를 집행할 하등의 이유가 없으며, 이는 어느 누구나 쉽게 짐작할 수 있는 사실이다.

창원시에 확인한 결과, 창원시를 취재하는 언론사는 200여 곳, 창원시 보도자료를 받는 언론인은 400여 명입니다. 창원시를 상시 취재하는 언론사는 40여 곳에 이릅니다. 인구 103만 명 대도시이자 경남의 주요 도시인 창원에서, 평소 지역 주요 현안과 관련된 기자회견이 열리면 기자회견장 가득하게 취재진이 몰립니다. 하지만 수돗물 유충 사고와 관련한 창원시장의 첫 기자회견, 민선 8기 취임 이후 창원시장의 첫 기자회견에는 고작 7개 언론사만 참석한 상황이었습니다.

KBS창원은 '창원시가 기자회견 이후 5개 언론사에 대해 광고를 배정했는데, 이들 언론사는 모두 기자회견에 참석한 언론사'라고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창원시는 '5개 매체만 특별히 선심성 광고비를 집행할 하등의 이유가 없으며, 이는 어느 누구나 쉽게 짐작할 수 있는 사실'이라는 입장을 되풀이하고 있습니다.

광고비 집행 기준에 대한 창원시 공보관의 해명.
■ "소외됐던 언론사에 광고비 집행"…논란 키운 창원시 해명

취재 당시 KBS창원은 창원시의 반론권 보장을 위해 창원시 공보관과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창원시장의 기자회견 뒤 일부 언론사에 광고비를 배정한 이유에 대해 창원시의 명확한 입장과 설명을 요구했습니다. 창원시 공보관의 공식 해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꼭 (기자회견에) 참석했다고 해서 집행한 것은 아니고, 평상시에 좀 소외됐던 언론사 위주로 (광고비를) 집행했던 것 같습니다."

경남민주언론시민연합은 지난 22일 성명을 내 창원시에 광고비 집행기준과 내역 공개를 촉구했습니다. 경남민언련은 창원시 공보관의 인터뷰를 지적하며 "광고비 집행 기준이 참석 여부도 아니고 '소외됐던 언론사'라는 것이다. 문제의 핵심에 대한 답변도 아닐뿐더러 그동안 창원시가 이런 방식으로 광고비를 자의적으로 집행해 왔다는 방증"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경남민언련은 "예산과 집행내역을 포함해 1인 매체, 온라인 매체와 주간신문, 일간지의 영향력과 광고비 집행의 효율성, 공익성, 신뢰성 같은 객관적 기준 마련과 이에 따른 홍보비의 산정 기준도 공개되어야 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기자회견에 직접 참석했던 7개 매체 가운데 저간의 사정이 있는 2개 매체를 제외한 5개 매체에만 광고비를 배정한 것은 누가 보아도 합리적인 의심을 받기에 충분했다"라고 밝혔습니다. 또, "그동안 소외되어 있었다면서 떡 하나 더 주듯이 누구의 말 한마디에 의해 광고비가 집행되고 말고 하는 호주머니 쌈짓돈이 아니다"라며, 창원시에 ▲정부광고 운영위원회 신설 ▲투명한 정부 광고비 집행기준 및 절차 수립 ▲경남지역 언론사 영향력 지수 개발 및 광고 집행 기준 등을 요구했습니다.

창원시가 특정 언론사에 발주한 시정 비전 홍보 배너 광고.
■ 반복되는 '정부 광고' 논란…'관리인가, 광고인가'

전국언론노조는 지난 6월, 한국언론진흥재단으로부터 받은 2016년부터 2020년 5월까지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한 정부광고 자료를 공개했습니다. 지난한 행정소송을 거쳐 광고주와 매체별 광고에 해당하는 31만 건의 자료입니다. 이 자료는 인터넷 검색으로 누구나 금방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료에 따르면 4년 동안 전국 신문 매체에 집행된 연평균 광고료는 2,193억 원 수준, 가장 많은 광고비를 집행한 광고주는 지방자치단체였습니다. 4년 평균 1,012억 원입니다.

이 가운데 창원시는 연평균 15억 7천만 원(전국 16위), 부산광역시 12억 9천만 원(전국 21위), 경상남도 5억 7천만 원(전국 72위) 수준입니다. 인구 103만 명 창원시 연간 광고비보다 더 많은 광고비를 지출한 전국 지방자치단체는 경북도청과 대구광역시, 서울특별시 등 5곳뿐입니다.

정부광고 문제의 핵심은 투명성입니다.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한 정부광고는 마땅한 집행 기준이나 투명성 보장 제도가 없다 보니, 이해관계에 따라 일방적인 선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큰 데다, 광고를 활용한 지방자치단체 등 정부 기관의 언론사 길들이기가 공공연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습니다.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정부광고가 정책에 대한 이해를 돕기보다 언론사를 관리하는 정부 기관의 도구로 변질되었다는 것입니다. 여기다 지방자치단체가 보조금 사업으로 언론사에 지원하는 사업 예산은 실질적인 후원 성격이 강하지만, 정부광고 예산에 포함되지도 않습니다. 보도자료만 내면 이를 써주고 광고를 받는 '가짜 사이비 언론'이 늘고, 광고비가 지방자치단체의 언론 길들이기 도구나 비판 언론에 재갈을 물리는 도구로 활용됐다는 지적도 끊임없이 나왔습니다.

창원시는 KBS창원이 "창원시정 전반에 걸쳐 행정 불신을 초래하고 시민의 알 권리를 왜곡하는 보도를 했다"라고 주장합니다. 권력과 행정기관에 대한 견제와 감시, 비판이라는 언론의 사명을 생각하면, '광고비'라는 민감한 영역에 대해서도 성역 없는 보도가 있어야 할 것입니다.
좋은 약은 입에 쓴 법이지만, 잘못된 행동에도 아첨과 거짓으로 눈과 귀를 가리는 일이 반복된다면 결코 성공하지 못할 것입니다. 문제는 단순합니다. 누가, 언제, 어떤 이유로 기자회견에 참석한 언론사에 광고비를 배정했는지 당당하게 밝히면 될 일입니다. 창원시의 납득할 만한 답변과 대책 마련을 기대하겠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