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물단지 된 18억 원 ‘다목적 광장’…1년 만에 ‘전면 재검토’
입력 2022.08.30 (21:48)
수정 2022.08.30 (22: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18억 원을 들여 만든 하동의 한 '다목적 광장'이 1년여 만에 폐기 처분 위기에 놓였습니다.
하동군은 설치된 시설물이 활용할 가치가 낮은 데다 안전사고 우려된다며 전면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인데, 예산만 낭비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형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하동군이 지난해 7월 만든 다목적 광장입니다.
광장 한복판이 주차 공간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목재 조형물은 곳곳이 썩은 채로 방치됐습니다.
애초 주차장을 군민 휴식 공간으로 만드는 데 들인 사업비는 모두 18억 원, 개장 1년여 만에 도심 속 흉물로 변했습니다.
[주민/음성변조 : "저기 분수대, 이쪽에 지금 있는 시설 자체를 한 번도 사용해본 적이 없어요. (진짜요?) 광장으로 사용을 한 번도 안 했다니까요."]
가장 큰 애물단지는 4억 2천여만 원이 든 목재 조형물입니다.
가로·세로·높이 각 400mm 크기로, 아이들의 놀이시설인 '정글짐'으로 만든 겁니다.
하지만 주변에 숙박시설과 노래방 등 유흥시설이 많아 애초 놀이 용도로 쓰이지 못할뿐 아니라, 안전사고 위험도 큽니다.
[주민/음성변조 : "지금 저기 나무 모서리를 보면 뾰족하게 튀어나온 것 있죠? 그 부분을 사람이 서서 돌아서다가, 그 부분을 못 보고 돌아서다가 코뼈가 내려앉았어요."]
하동군이 지난달 주민 21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81.4%가 목재 조형물을 철거해야 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관련 민원이 계속되자, 하동군은 결국 다목적 광장의 활용 방안을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이영봉/하동군 안전총괄과 : "주민 의견들을 조금 더 면밀하게 검토하지 못했던 부분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관련 전문가나 주민 의견을 충분히 들어서, 다목적 광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용역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제대로 된 사업 검토와 주민 의견 수렴 없이 추진된 하동 다목적 광장, 하동군은 또 사업비를 들여 전문가 용역을 거쳐 목재 조형물 철거 여부와 함께, 새 활용 방안을 찾을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형관입니다.
촬영기자:박세준/그래픽:박수홍
18억 원을 들여 만든 하동의 한 '다목적 광장'이 1년여 만에 폐기 처분 위기에 놓였습니다.
하동군은 설치된 시설물이 활용할 가치가 낮은 데다 안전사고 우려된다며 전면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인데, 예산만 낭비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형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하동군이 지난해 7월 만든 다목적 광장입니다.
광장 한복판이 주차 공간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목재 조형물은 곳곳이 썩은 채로 방치됐습니다.
애초 주차장을 군민 휴식 공간으로 만드는 데 들인 사업비는 모두 18억 원, 개장 1년여 만에 도심 속 흉물로 변했습니다.
[주민/음성변조 : "저기 분수대, 이쪽에 지금 있는 시설 자체를 한 번도 사용해본 적이 없어요. (진짜요?) 광장으로 사용을 한 번도 안 했다니까요."]
가장 큰 애물단지는 4억 2천여만 원이 든 목재 조형물입니다.
가로·세로·높이 각 400mm 크기로, 아이들의 놀이시설인 '정글짐'으로 만든 겁니다.
하지만 주변에 숙박시설과 노래방 등 유흥시설이 많아 애초 놀이 용도로 쓰이지 못할뿐 아니라, 안전사고 위험도 큽니다.
[주민/음성변조 : "지금 저기 나무 모서리를 보면 뾰족하게 튀어나온 것 있죠? 그 부분을 사람이 서서 돌아서다가, 그 부분을 못 보고 돌아서다가 코뼈가 내려앉았어요."]
하동군이 지난달 주민 21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81.4%가 목재 조형물을 철거해야 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관련 민원이 계속되자, 하동군은 결국 다목적 광장의 활용 방안을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이영봉/하동군 안전총괄과 : "주민 의견들을 조금 더 면밀하게 검토하지 못했던 부분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관련 전문가나 주민 의견을 충분히 들어서, 다목적 광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용역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제대로 된 사업 검토와 주민 의견 수렴 없이 추진된 하동 다목적 광장, 하동군은 또 사업비를 들여 전문가 용역을 거쳐 목재 조형물 철거 여부와 함께, 새 활용 방안을 찾을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형관입니다.
촬영기자:박세준/그래픽:박수홍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애물단지 된 18억 원 ‘다목적 광장’…1년 만에 ‘전면 재검토’
-
- 입력 2022-08-30 21:48:00
- 수정2022-08-30 22:10:53

[앵커]
18억 원을 들여 만든 하동의 한 '다목적 광장'이 1년여 만에 폐기 처분 위기에 놓였습니다.
하동군은 설치된 시설물이 활용할 가치가 낮은 데다 안전사고 우려된다며 전면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인데, 예산만 낭비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형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하동군이 지난해 7월 만든 다목적 광장입니다.
광장 한복판이 주차 공간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목재 조형물은 곳곳이 썩은 채로 방치됐습니다.
애초 주차장을 군민 휴식 공간으로 만드는 데 들인 사업비는 모두 18억 원, 개장 1년여 만에 도심 속 흉물로 변했습니다.
[주민/음성변조 : "저기 분수대, 이쪽에 지금 있는 시설 자체를 한 번도 사용해본 적이 없어요. (진짜요?) 광장으로 사용을 한 번도 안 했다니까요."]
가장 큰 애물단지는 4억 2천여만 원이 든 목재 조형물입니다.
가로·세로·높이 각 400mm 크기로, 아이들의 놀이시설인 '정글짐'으로 만든 겁니다.
하지만 주변에 숙박시설과 노래방 등 유흥시설이 많아 애초 놀이 용도로 쓰이지 못할뿐 아니라, 안전사고 위험도 큽니다.
[주민/음성변조 : "지금 저기 나무 모서리를 보면 뾰족하게 튀어나온 것 있죠? 그 부분을 사람이 서서 돌아서다가, 그 부분을 못 보고 돌아서다가 코뼈가 내려앉았어요."]
하동군이 지난달 주민 21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81.4%가 목재 조형물을 철거해야 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관련 민원이 계속되자, 하동군은 결국 다목적 광장의 활용 방안을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이영봉/하동군 안전총괄과 : "주민 의견들을 조금 더 면밀하게 검토하지 못했던 부분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관련 전문가나 주민 의견을 충분히 들어서, 다목적 광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용역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제대로 된 사업 검토와 주민 의견 수렴 없이 추진된 하동 다목적 광장, 하동군은 또 사업비를 들여 전문가 용역을 거쳐 목재 조형물 철거 여부와 함께, 새 활용 방안을 찾을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형관입니다.
촬영기자:박세준/그래픽:박수홍
18억 원을 들여 만든 하동의 한 '다목적 광장'이 1년여 만에 폐기 처분 위기에 놓였습니다.
하동군은 설치된 시설물이 활용할 가치가 낮은 데다 안전사고 우려된다며 전면 재검토하겠다는 입장인데, 예산만 낭비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형관 기자입니다.
[리포트]
하동군이 지난해 7월 만든 다목적 광장입니다.
광장 한복판이 주차 공간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목재 조형물은 곳곳이 썩은 채로 방치됐습니다.
애초 주차장을 군민 휴식 공간으로 만드는 데 들인 사업비는 모두 18억 원, 개장 1년여 만에 도심 속 흉물로 변했습니다.
[주민/음성변조 : "저기 분수대, 이쪽에 지금 있는 시설 자체를 한 번도 사용해본 적이 없어요. (진짜요?) 광장으로 사용을 한 번도 안 했다니까요."]
가장 큰 애물단지는 4억 2천여만 원이 든 목재 조형물입니다.
가로·세로·높이 각 400mm 크기로, 아이들의 놀이시설인 '정글짐'으로 만든 겁니다.
하지만 주변에 숙박시설과 노래방 등 유흥시설이 많아 애초 놀이 용도로 쓰이지 못할뿐 아니라, 안전사고 위험도 큽니다.
[주민/음성변조 : "지금 저기 나무 모서리를 보면 뾰족하게 튀어나온 것 있죠? 그 부분을 사람이 서서 돌아서다가, 그 부분을 못 보고 돌아서다가 코뼈가 내려앉았어요."]
하동군이 지난달 주민 21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도 응답자의 81.4%가 목재 조형물을 철거해야 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관련 민원이 계속되자, 하동군은 결국 다목적 광장의 활용 방안을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이영봉/하동군 안전총괄과 : "주민 의견들을 조금 더 면밀하게 검토하지 못했던 부분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관련 전문가나 주민 의견을 충분히 들어서, 다목적 광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용역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제대로 된 사업 검토와 주민 의견 수렴 없이 추진된 하동 다목적 광장, 하동군은 또 사업비를 들여 전문가 용역을 거쳐 목재 조형물 철거 여부와 함께, 새 활용 방안을 찾을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형관입니다.
촬영기자:박세준/그래픽:박수홍
-
-
이형관 기자 parole@kbs.co.kr
이형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