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료원 6개 병원 노조 파업 철회
입력 2022.09.01 (10:13)
수정 2022.09.01 (10: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의료원 산하 6개 병원 노조가 오늘(1일)로 예고한 총파업을 철회했습니다.
전국보건의료노조 경기도의료원 6개 병원 지부는 파업 예고일을 하루 앞둔 어제 오후 1시부터 경기도청에서 도 담당 부서와 노정 교섭에 들어가 오늘 오전 1시쯤 쟁점 사항들에 대해 이견을 좁혔습니다.
이어 도 의료원 노사는 오전 4시 30분쯤 경기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안을 수용하며 임단협을 타결했습니다.
핵심 쟁점이었던 인력 확충의 경우 이달 말까지 1단계로 39명을 증원하고 2단계로 병상 가동률이 병원별 60~70% 도달 시 병상 운영 필요인력인 간호사·간호조무사 증원을 협의·승인하기로 했습니다.
그동안 불승인됐던 직급 상향도 내년 말까지 단계적으로 이루기로 했습니다.
노조는 간호인력을 중심으로 154명의 정원 증원을 도가 불승인한 탓에 인력수급이 한계상태에 달했다고 호소해 왔습니다.
특히 안성병원 식당의 경우 파출부를 일용직으로 고용하고, 파주병원은 병동의 절반만 열어야 하는 상황이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노조의 주요 요구 사항이었던 수익성 위주 경영평가 폐기에 합의하고, 보건복지부가 진행하는 운영평가만 받기로 했습니다.
운영평가는 경영평가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공공성 지표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도의료원은 올해 도가 실시한 산하기관 경영평가에서 최하위 등급을 받았습니다.
이럴 경우 향후 인력 확충과 사업 예산 확보가 어렵습니다.
이 밖에 임금 1.4% 인상과 공공의료 협의체 관련 거버넌스 구성에도 합의했습니다.
앞서 6개 병원 지부는 지난 22~24일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해 투표율 81.1%에 찬성률 92.4%로 파업을 가결했습니다.
이들 지부가 총파업을 결의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노조가 총파업에 들어갈 경우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실 등의 필수인력을 제외한 700~800명이 참여하게 돼 외래환자 진료 중단과 입원 환자의 전원·퇴원 등의 공공의료 공백 사태가 우려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보건의료노조 제공]
전국보건의료노조 경기도의료원 6개 병원 지부는 파업 예고일을 하루 앞둔 어제 오후 1시부터 경기도청에서 도 담당 부서와 노정 교섭에 들어가 오늘 오전 1시쯤 쟁점 사항들에 대해 이견을 좁혔습니다.
이어 도 의료원 노사는 오전 4시 30분쯤 경기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안을 수용하며 임단협을 타결했습니다.
핵심 쟁점이었던 인력 확충의 경우 이달 말까지 1단계로 39명을 증원하고 2단계로 병상 가동률이 병원별 60~70% 도달 시 병상 운영 필요인력인 간호사·간호조무사 증원을 협의·승인하기로 했습니다.
그동안 불승인됐던 직급 상향도 내년 말까지 단계적으로 이루기로 했습니다.
노조는 간호인력을 중심으로 154명의 정원 증원을 도가 불승인한 탓에 인력수급이 한계상태에 달했다고 호소해 왔습니다.
특히 안성병원 식당의 경우 파출부를 일용직으로 고용하고, 파주병원은 병동의 절반만 열어야 하는 상황이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노조의 주요 요구 사항이었던 수익성 위주 경영평가 폐기에 합의하고, 보건복지부가 진행하는 운영평가만 받기로 했습니다.
운영평가는 경영평가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공공성 지표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도의료원은 올해 도가 실시한 산하기관 경영평가에서 최하위 등급을 받았습니다.
이럴 경우 향후 인력 확충과 사업 예산 확보가 어렵습니다.
이 밖에 임금 1.4% 인상과 공공의료 협의체 관련 거버넌스 구성에도 합의했습니다.
앞서 6개 병원 지부는 지난 22~24일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해 투표율 81.1%에 찬성률 92.4%로 파업을 가결했습니다.
이들 지부가 총파업을 결의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노조가 총파업에 들어갈 경우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실 등의 필수인력을 제외한 700~800명이 참여하게 돼 외래환자 진료 중단과 입원 환자의 전원·퇴원 등의 공공의료 공백 사태가 우려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보건의료노조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기도의료원 6개 병원 노조 파업 철회
-
- 입력 2022-09-01 10:13:11
- 수정2022-09-01 10:18:45

경기도의료원 산하 6개 병원 노조가 오늘(1일)로 예고한 총파업을 철회했습니다.
전국보건의료노조 경기도의료원 6개 병원 지부는 파업 예고일을 하루 앞둔 어제 오후 1시부터 경기도청에서 도 담당 부서와 노정 교섭에 들어가 오늘 오전 1시쯤 쟁점 사항들에 대해 이견을 좁혔습니다.
이어 도 의료원 노사는 오전 4시 30분쯤 경기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안을 수용하며 임단협을 타결했습니다.
핵심 쟁점이었던 인력 확충의 경우 이달 말까지 1단계로 39명을 증원하고 2단계로 병상 가동률이 병원별 60~70% 도달 시 병상 운영 필요인력인 간호사·간호조무사 증원을 협의·승인하기로 했습니다.
그동안 불승인됐던 직급 상향도 내년 말까지 단계적으로 이루기로 했습니다.
노조는 간호인력을 중심으로 154명의 정원 증원을 도가 불승인한 탓에 인력수급이 한계상태에 달했다고 호소해 왔습니다.
특히 안성병원 식당의 경우 파출부를 일용직으로 고용하고, 파주병원은 병동의 절반만 열어야 하는 상황이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노조의 주요 요구 사항이었던 수익성 위주 경영평가 폐기에 합의하고, 보건복지부가 진행하는 운영평가만 받기로 했습니다.
운영평가는 경영평가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공공성 지표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도의료원은 올해 도가 실시한 산하기관 경영평가에서 최하위 등급을 받았습니다.
이럴 경우 향후 인력 확충과 사업 예산 확보가 어렵습니다.
이 밖에 임금 1.4% 인상과 공공의료 협의체 관련 거버넌스 구성에도 합의했습니다.
앞서 6개 병원 지부는 지난 22~24일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해 투표율 81.1%에 찬성률 92.4%로 파업을 가결했습니다.
이들 지부가 총파업을 결의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노조가 총파업에 들어갈 경우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실 등의 필수인력을 제외한 700~800명이 참여하게 돼 외래환자 진료 중단과 입원 환자의 전원·퇴원 등의 공공의료 공백 사태가 우려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보건의료노조 제공]
전국보건의료노조 경기도의료원 6개 병원 지부는 파업 예고일을 하루 앞둔 어제 오후 1시부터 경기도청에서 도 담당 부서와 노정 교섭에 들어가 오늘 오전 1시쯤 쟁점 사항들에 대해 이견을 좁혔습니다.
이어 도 의료원 노사는 오전 4시 30분쯤 경기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안을 수용하며 임단협을 타결했습니다.
핵심 쟁점이었던 인력 확충의 경우 이달 말까지 1단계로 39명을 증원하고 2단계로 병상 가동률이 병원별 60~70% 도달 시 병상 운영 필요인력인 간호사·간호조무사 증원을 협의·승인하기로 했습니다.
그동안 불승인됐던 직급 상향도 내년 말까지 단계적으로 이루기로 했습니다.
노조는 간호인력을 중심으로 154명의 정원 증원을 도가 불승인한 탓에 인력수급이 한계상태에 달했다고 호소해 왔습니다.
특히 안성병원 식당의 경우 파출부를 일용직으로 고용하고, 파주병원은 병동의 절반만 열어야 하는 상황이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노조의 주요 요구 사항이었던 수익성 위주 경영평가 폐기에 합의하고, 보건복지부가 진행하는 운영평가만 받기로 했습니다.
운영평가는 경영평가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공공성 지표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도의료원은 올해 도가 실시한 산하기관 경영평가에서 최하위 등급을 받았습니다.
이럴 경우 향후 인력 확충과 사업 예산 확보가 어렵습니다.
이 밖에 임금 1.4% 인상과 공공의료 협의체 관련 거버넌스 구성에도 합의했습니다.
앞서 6개 병원 지부는 지난 22~24일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해 투표율 81.1%에 찬성률 92.4%로 파업을 가결했습니다.
이들 지부가 총파업을 결의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노조가 총파업에 들어갈 경우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실 등의 필수인력을 제외한 700~800명이 참여하게 돼 외래환자 진료 중단과 입원 환자의 전원·퇴원 등의 공공의료 공백 사태가 우려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보건의료노조 제공]
-
-
임명규 기자 thelord@kbs.co.kr
임명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