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절차 어기고 연구비 2억 원 수주”…“규정 못 봤다”
입력 2022.09.03 (07:17)
수정 2022.09.03 (07: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에 대한 인사 청문회가 열렸는데 후보자가 대학교수로서 받은 연구비가 논란이 됐습니다.
규정을 어기고 학교에 연구비 등록을 하지 않았다는 것인데 후보자는 "해당 규정을 본 적이 없었다"고 답했습니다.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청문회.
한기정 후보자가 서울대 교수 재직 기간 수행한 일부 연구 용역에 대해 학교 규정을 어기고 등록하지 않았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야당은 후보자가 총 연구비 2억여 원에 이르는 연구를 등록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성주/더불어민주당 의원 : "일부러 피해서 등록 신고를 안 했다는 뜻인가요?"]
[한기정/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 "해당 규정을 본 적은 없습니다. 어제 처음 봤습니다."]
야당은 학교에 내야 할 비용도 내지 않았다고 비판했습니다.
[소병철/더불어민주당 의원 : "(내야 할 비용이) 최대 30%, 그러면 상당한 액수입니다. 이게 단순히 문제가 아니라 이게 업무상 횡령이나 범죄가 되어버리는 거예요."]
후보자의 위장 전입 문제와 관련해서는 여당 의원까지 나섰습니다.
[윤상현/국민의힘 의원 : "집주인이 은행 담보대출을 받겠다며 주소를 옮겨 달라고 해서 일시적으로 주소를 옮겼다... 은행을 속이는 행위에 후보자님께서도 같이 적극적으로 가담한 것이다."]
[한기정/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 "부적절한 처신이었다고 생각합니다."]
후보자 자녀가 초등학교를 졸업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호자 없이 유학을 보낸 문제와 관련해서는 법 위반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한 후보자는 하청업체 납품단가를 원자재 가격에 연동하는 문제와 관련해 "자율 해결이 우선"이라면서도 "자율 해결이 안 되면 법제화를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대형마트가 반값 치킨과 반값 피자 등을 내세워 골목상권과 노동자 권리를 침해하는 문제에 대해 공정위 차원에서 살펴보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박대깁니다.
영상편집:김대범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에 대한 인사 청문회가 열렸는데 후보자가 대학교수로서 받은 연구비가 논란이 됐습니다.
규정을 어기고 학교에 연구비 등록을 하지 않았다는 것인데 후보자는 "해당 규정을 본 적이 없었다"고 답했습니다.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청문회.
한기정 후보자가 서울대 교수 재직 기간 수행한 일부 연구 용역에 대해 학교 규정을 어기고 등록하지 않았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야당은 후보자가 총 연구비 2억여 원에 이르는 연구를 등록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성주/더불어민주당 의원 : "일부러 피해서 등록 신고를 안 했다는 뜻인가요?"]
[한기정/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 "해당 규정을 본 적은 없습니다. 어제 처음 봤습니다."]
야당은 학교에 내야 할 비용도 내지 않았다고 비판했습니다.
[소병철/더불어민주당 의원 : "(내야 할 비용이) 최대 30%, 그러면 상당한 액수입니다. 이게 단순히 문제가 아니라 이게 업무상 횡령이나 범죄가 되어버리는 거예요."]
후보자의 위장 전입 문제와 관련해서는 여당 의원까지 나섰습니다.
[윤상현/국민의힘 의원 : "집주인이 은행 담보대출을 받겠다며 주소를 옮겨 달라고 해서 일시적으로 주소를 옮겼다... 은행을 속이는 행위에 후보자님께서도 같이 적극적으로 가담한 것이다."]
[한기정/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 "부적절한 처신이었다고 생각합니다."]
후보자 자녀가 초등학교를 졸업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호자 없이 유학을 보낸 문제와 관련해서는 법 위반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한 후보자는 하청업체 납품단가를 원자재 가격에 연동하는 문제와 관련해 "자율 해결이 우선"이라면서도 "자율 해결이 안 되면 법제화를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대형마트가 반값 치킨과 반값 피자 등을 내세워 골목상권과 노동자 권리를 침해하는 문제에 대해 공정위 차원에서 살펴보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박대깁니다.
영상편집:김대범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등록절차 어기고 연구비 2억 원 수주”…“규정 못 봤다”
-
- 입력 2022-09-03 07:17:15
- 수정2022-09-03 07:49:18

[앵커]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에 대한 인사 청문회가 열렸는데 후보자가 대학교수로서 받은 연구비가 논란이 됐습니다.
규정을 어기고 학교에 연구비 등록을 하지 않았다는 것인데 후보자는 "해당 규정을 본 적이 없었다"고 답했습니다.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청문회.
한기정 후보자가 서울대 교수 재직 기간 수행한 일부 연구 용역에 대해 학교 규정을 어기고 등록하지 않았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야당은 후보자가 총 연구비 2억여 원에 이르는 연구를 등록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성주/더불어민주당 의원 : "일부러 피해서 등록 신고를 안 했다는 뜻인가요?"]
[한기정/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 "해당 규정을 본 적은 없습니다. 어제 처음 봤습니다."]
야당은 학교에 내야 할 비용도 내지 않았다고 비판했습니다.
[소병철/더불어민주당 의원 : "(내야 할 비용이) 최대 30%, 그러면 상당한 액수입니다. 이게 단순히 문제가 아니라 이게 업무상 횡령이나 범죄가 되어버리는 거예요."]
후보자의 위장 전입 문제와 관련해서는 여당 의원까지 나섰습니다.
[윤상현/국민의힘 의원 : "집주인이 은행 담보대출을 받겠다며 주소를 옮겨 달라고 해서 일시적으로 주소를 옮겼다... 은행을 속이는 행위에 후보자님께서도 같이 적극적으로 가담한 것이다."]
[한기정/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 "부적절한 처신이었다고 생각합니다."]
후보자 자녀가 초등학교를 졸업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호자 없이 유학을 보낸 문제와 관련해서는 법 위반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한 후보자는 하청업체 납품단가를 원자재 가격에 연동하는 문제와 관련해 "자율 해결이 우선"이라면서도 "자율 해결이 안 되면 법제화를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대형마트가 반값 치킨과 반값 피자 등을 내세워 골목상권과 노동자 권리를 침해하는 문제에 대해 공정위 차원에서 살펴보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박대깁니다.
영상편집:김대범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에 대한 인사 청문회가 열렸는데 후보자가 대학교수로서 받은 연구비가 논란이 됐습니다.
규정을 어기고 학교에 연구비 등록을 하지 않았다는 것인데 후보자는 "해당 규정을 본 적이 없었다"고 답했습니다.
박대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청문회.
한기정 후보자가 서울대 교수 재직 기간 수행한 일부 연구 용역에 대해 학교 규정을 어기고 등록하지 않았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야당은 후보자가 총 연구비 2억여 원에 이르는 연구를 등록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김성주/더불어민주당 의원 : "일부러 피해서 등록 신고를 안 했다는 뜻인가요?"]
[한기정/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 "해당 규정을 본 적은 없습니다. 어제 처음 봤습니다."]
야당은 학교에 내야 할 비용도 내지 않았다고 비판했습니다.
[소병철/더불어민주당 의원 : "(내야 할 비용이) 최대 30%, 그러면 상당한 액수입니다. 이게 단순히 문제가 아니라 이게 업무상 횡령이나 범죄가 되어버리는 거예요."]
후보자의 위장 전입 문제와 관련해서는 여당 의원까지 나섰습니다.
[윤상현/국민의힘 의원 : "집주인이 은행 담보대출을 받겠다며 주소를 옮겨 달라고 해서 일시적으로 주소를 옮겼다... 은행을 속이는 행위에 후보자님께서도 같이 적극적으로 가담한 것이다."]
[한기정/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 "부적절한 처신이었다고 생각합니다."]
후보자 자녀가 초등학교를 졸업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호자 없이 유학을 보낸 문제와 관련해서는 법 위반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한 후보자는 하청업체 납품단가를 원자재 가격에 연동하는 문제와 관련해 "자율 해결이 우선"이라면서도 "자율 해결이 안 되면 법제화를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대형마트가 반값 치킨과 반값 피자 등을 내세워 골목상권과 노동자 권리를 침해하는 문제에 대해 공정위 차원에서 살펴보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박대깁니다.
영상편집:김대범
-
-
박대기 기자 waiting@kbs.co.kr
박대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