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주주만 배불리는 ‘물적분할’ 손본다…개미에게 ‘주식매수청구권’

입력 2022.09.04 (21:47) 수정 2022.09.04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기업이 핵심 사업을 따로 떼어내 자회사로 만들어 상장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적 분할이라고 하는데, 이 과정에서 모기업 일반주주들은 손해를 보는 경우가 있어 비판의 목소리가 높았습니다.

그래서 정부가 이런 소액주주를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내놨는데, 반쪽짜리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정재우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LG에너지솔루션이 상장과 동시에 단숨에 시가총액 2위로 올라섰던 올해 1월, 같은 날 모기업인 LG화학의 주식투자자 게시판입니다.

"LG라면 이제 치가 떨린다", "빈껍데기 회사 버려라" 등 회사를 성토하는 목소리가 넘쳐납니다.

LG화학의 핵심 사업인 배터리 부문을 떼 내 LG에너지솔루션을 만들었으니 LG화학 일반주주는 손해라는 겁니다.

실제 배터리사업을 떼어 낸 LG화학 주가는 최고가대비 40% 가까이 떨어졌습니다.

[남길남/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 : "어떤 핵심 사업부가 물적 분할되어서 상장되는 경우 그 기업이 급격히 성장할 수 있는데, 그 기업의 성장에 따른 주가 상승분을 모기업의 주주들은 같이 향유할 수 없다…."]

반면 대주주는 지배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회사 규모도 키울 수 있습니다.

이처럼 물적분할이 일반 주주의 손해를 바탕으로 대주주의 잇속을 챙기는 수단이라는 비판에 정부가 일반주주 보호 방안을 내놨습니다.

상장사가 물적분할을 할 때 반대하는 주주는 물적분할 전 주가로 주식을 회사에 팔 수 있게 됩니다.

회사는 충실한 주주보호 방안을 공시해야 하고, 물적분할 후 5년 내 상장하게 되면 공시 내용이 제대로 이행됐는지 점검합니다.

다만 기존 회사 주주에게 새로 세워진 회사 주식을 우선 배정하는 방안은 제외됐습니다.

[이상훈/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주주들은 배터리 같은 핵심사업을 보고 투자한 건데 관련 주식을 가질 수 없게 되면 주가 상승이익도 얻을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알맹이가 빠진 반쪽짜리가 아닌가…."]

금융위는 대신 법상 허용된 방식으로 신설회사 주식을 기존 주주에 나눠줄 수 있도록 상장심사를 통해 유도해나간다는 방침입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촬영기자:이중우/영상편집:이상철/그래픽:이경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주주만 배불리는 ‘물적분할’ 손본다…개미에게 ‘주식매수청구권’
    • 입력 2022-09-04 21:47:57
    • 수정2022-09-04 22:06:24
    뉴스 9
[앵커]

기업이 핵심 사업을 따로 떼어내 자회사로 만들어 상장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적 분할이라고 하는데, 이 과정에서 모기업 일반주주들은 손해를 보는 경우가 있어 비판의 목소리가 높았습니다.

그래서 정부가 이런 소액주주를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내놨는데, 반쪽짜리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정재우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LG에너지솔루션이 상장과 동시에 단숨에 시가총액 2위로 올라섰던 올해 1월, 같은 날 모기업인 LG화학의 주식투자자 게시판입니다.

"LG라면 이제 치가 떨린다", "빈껍데기 회사 버려라" 등 회사를 성토하는 목소리가 넘쳐납니다.

LG화학의 핵심 사업인 배터리 부문을 떼 내 LG에너지솔루션을 만들었으니 LG화학 일반주주는 손해라는 겁니다.

실제 배터리사업을 떼어 낸 LG화학 주가는 최고가대비 40% 가까이 떨어졌습니다.

[남길남/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 : "어떤 핵심 사업부가 물적 분할되어서 상장되는 경우 그 기업이 급격히 성장할 수 있는데, 그 기업의 성장에 따른 주가 상승분을 모기업의 주주들은 같이 향유할 수 없다…."]

반면 대주주는 지배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회사 규모도 키울 수 있습니다.

이처럼 물적분할이 일반 주주의 손해를 바탕으로 대주주의 잇속을 챙기는 수단이라는 비판에 정부가 일반주주 보호 방안을 내놨습니다.

상장사가 물적분할을 할 때 반대하는 주주는 물적분할 전 주가로 주식을 회사에 팔 수 있게 됩니다.

회사는 충실한 주주보호 방안을 공시해야 하고, 물적분할 후 5년 내 상장하게 되면 공시 내용이 제대로 이행됐는지 점검합니다.

다만 기존 회사 주주에게 새로 세워진 회사 주식을 우선 배정하는 방안은 제외됐습니다.

[이상훈/경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주주들은 배터리 같은 핵심사업을 보고 투자한 건데 관련 주식을 가질 수 없게 되면 주가 상승이익도 얻을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알맹이가 빠진 반쪽짜리가 아닌가…."]

금융위는 대신 법상 허용된 방식으로 신설회사 주식을 기존 주주에 나눠줄 수 있도록 상장심사를 통해 유도해나간다는 방침입니다.

KBS 뉴스 정재우입니다.

촬영기자:이중우/영상편집:이상철/그래픽:이경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