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한반도 포럼 참석자 301명 개인정보 유출”
입력 2022.09.06 (11:21)
수정 2022.09.06 (11: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서울에서 열린 2022 한반도 국제 평화 포럼 참석자들의 개인 정보가 대량으로 유출됐다는 보도와 관련해 통일부는 “8월 29일, 행사 운영 위탁 업체의 컴퓨터가 해킹되고 일부 참석자들의 개인 정보가 유출된 정황을 인지했다”고 밝혔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오늘(6일) 기자들과 만나 이렇게 전하면서 “다음날인 8월 30일 필요한 보완 조치를 신속히 완료했으며, 행사 종료 이후인 9월 3일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정보 주체들에게 개인 정보 유출 사실을 통지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현재 해킹으로 유출된 개인 정보는 (참석자들의) 성명과 소속, 직책, 이메일, 연락처 등 모두 5개 항목”이라며 “해킹을 한 주체는 현재 파악 중이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다만, 일부 언론 보도와 달리 유엔 사무총장과 전직 통일부 장관 등 유력 인사들의 개인 정보는 유출되지 않았으며, 피해 인원은 모두 301명임을 알려드린다”며 “오늘 현재까지 파악한 추가 피해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이번 사건을 계기로 용역 위탁업체 직원 교육 등 개인 정보 보호 조치를 강화해 향후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한 매체는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일까지 서울에서 개최된 ‘한반도 국제평화 포럼’에 참가했던 정부 외교 안보 부처 핵심 당국자와 전문가・교수 등의 신상정보가 북한과 연계된 것으로 추정되는 해커집단에 의해 해킹당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보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통일부]
통일부 당국자는 오늘(6일) 기자들과 만나 이렇게 전하면서 “다음날인 8월 30일 필요한 보완 조치를 신속히 완료했으며, 행사 종료 이후인 9월 3일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정보 주체들에게 개인 정보 유출 사실을 통지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현재 해킹으로 유출된 개인 정보는 (참석자들의) 성명과 소속, 직책, 이메일, 연락처 등 모두 5개 항목”이라며 “해킹을 한 주체는 현재 파악 중이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다만, 일부 언론 보도와 달리 유엔 사무총장과 전직 통일부 장관 등 유력 인사들의 개인 정보는 유출되지 않았으며, 피해 인원은 모두 301명임을 알려드린다”며 “오늘 현재까지 파악한 추가 피해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이번 사건을 계기로 용역 위탁업체 직원 교육 등 개인 정보 보호 조치를 강화해 향후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한 매체는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일까지 서울에서 개최된 ‘한반도 국제평화 포럼’에 참가했던 정부 외교 안보 부처 핵심 당국자와 전문가・교수 등의 신상정보가 북한과 연계된 것으로 추정되는 해커집단에 의해 해킹당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보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통일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통일부 “한반도 포럼 참석자 301명 개인정보 유출”
-
- 입력 2022-09-06 11:21:28
- 수정2022-09-06 11:38:39

최근 서울에서 열린 2022 한반도 국제 평화 포럼 참석자들의 개인 정보가 대량으로 유출됐다는 보도와 관련해 통일부는 “8월 29일, 행사 운영 위탁 업체의 컴퓨터가 해킹되고 일부 참석자들의 개인 정보가 유출된 정황을 인지했다”고 밝혔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오늘(6일) 기자들과 만나 이렇게 전하면서 “다음날인 8월 30일 필요한 보완 조치를 신속히 완료했으며, 행사 종료 이후인 9월 3일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정보 주체들에게 개인 정보 유출 사실을 통지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현재 해킹으로 유출된 개인 정보는 (참석자들의) 성명과 소속, 직책, 이메일, 연락처 등 모두 5개 항목”이라며 “해킹을 한 주체는 현재 파악 중이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다만, 일부 언론 보도와 달리 유엔 사무총장과 전직 통일부 장관 등 유력 인사들의 개인 정보는 유출되지 않았으며, 피해 인원은 모두 301명임을 알려드린다”며 “오늘 현재까지 파악한 추가 피해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이번 사건을 계기로 용역 위탁업체 직원 교육 등 개인 정보 보호 조치를 강화해 향후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한 매체는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일까지 서울에서 개최된 ‘한반도 국제평화 포럼’에 참가했던 정부 외교 안보 부처 핵심 당국자와 전문가・교수 등의 신상정보가 북한과 연계된 것으로 추정되는 해커집단에 의해 해킹당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보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통일부]
통일부 당국자는 오늘(6일) 기자들과 만나 이렇게 전하면서 “다음날인 8월 30일 필요한 보완 조치를 신속히 완료했으며, 행사 종료 이후인 9월 3일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정보 주체들에게 개인 정보 유출 사실을 통지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현재 해킹으로 유출된 개인 정보는 (참석자들의) 성명과 소속, 직책, 이메일, 연락처 등 모두 5개 항목”이라며 “해킹을 한 주체는 현재 파악 중이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다만, 일부 언론 보도와 달리 유엔 사무총장과 전직 통일부 장관 등 유력 인사들의 개인 정보는 유출되지 않았으며, 피해 인원은 모두 301명임을 알려드린다”며 “오늘 현재까지 파악한 추가 피해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이번 사건을 계기로 용역 위탁업체 직원 교육 등 개인 정보 보호 조치를 강화해 향후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한 매체는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일까지 서울에서 개최된 ‘한반도 국제평화 포럼’에 참가했던 정부 외교 안보 부처 핵심 당국자와 전문가・교수 등의 신상정보가 북한과 연계된 것으로 추정되는 해커집단에 의해 해킹당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보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통일부]
-
-
송영석 기자 sys@kbs.co.kr
송영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