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英여왕 추모열기 이면…“군주제 폐지” 목소리

입력 2022.09.13 (17:11) 수정 2022.09.13 (17: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 서거 이후 '영국연방(영연방·Commonwealth)' 국가를 중심으로 과거 제국주의와 작별을 고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70년 넘게 구심점 역할을 해 온 여왕의 부재를 계기로 ‘군주제 폐지’론이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현재 영국은 엘리자베스 2세의 장례 기간으로 국민들의 추모 열기가 매우 뜨겁습니다. 공휴일로 지정된 여왕의 국장(19일)에는 75만 명이 넘는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등 여왕의 서거를 슬퍼하는 영국 국민들이 절대적으로 많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처음 국왕 자격으로 영국 런던의 의회(웨스트민스터 홀)를 찾았다 돌아가는 찰스3세 국왕을 향해서는 시위대의 야유가 쏟아졌습니다. 시위대 중 한 명은 "2022년에 세습권력이라니 혐오스럽다"고 말했습니다.

1707년에 잉글랜드와 통합해 300년 이상 단일 국가로 지내 온 스코틀랜드는 고민에 빠졌습니다. 스코틀랜드 자치정부는 내년 10월 분리독립을 위한 주민투표를 하겠다고 선언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영국 정부는 이를 즉각 거부했고, 양측은 법정 다툼을 앞두고 있죠.

여왕이 생의 마지막 순간을 스코틀랜드 동북부 밸모럴성에서 보낼 정도로 이 지역과 인연이 깊다는 사실이 조명되면서 분리독립을 위한 대중적 지지 확보가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뉴욕타임스(NYT)는 "여왕의 죽음으로 스코틀랜드 독립운동의 미래에 새로운 의문이 제기되는 가운데, 여왕의 시신이 정치적 함의가 실린 여정에 나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영연방 안팎에서도 ‘군주제 회의론’이 커지고 있습니다. 영연방은 영국과 과거 영국의 식민지였던 독립국 56개국으로 구성된 느슨한 형태의 연합체입니다. 영국 국왕을 국가원수로 인정하는 나라도 14개국(영국 제외)입니다.

일부 국가는 빠르게 영국과의 결별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카리브해 섬나라 앤티가 바부다의 총리는 3년 내 군주제 폐지 관련 국민투표를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영국 여왕이 명목상 국가 원수인 호주와 뉴질랜드 정치권에서도 탈군주제 논쟁에 불이 붙었습니다. 호주 연방의회 제3당인 녹색당 대표는 엘리자베스 2세 서거 후 “호주는 앞으로 공화국이 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는 지난 12일 공화국 전환과 관련한 질문에 “결국 (그것이) 뉴질랜드가 가야 할 길이라고 믿는다”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아던 총리는 “긴급한 의제가 아닌 만큼 단기적 조치가 있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영연방 국가들의 탈군주제 움직임은 일찌감치 드러났습니다. 올해 3월 여왕 즉위 70년을 맞아, 윌리엄 당시 왕세손 부부가 카리브해에 위치한 영연방 3개국(벨리즈, 자메이카, 바하마)을 방문했을 때 곤욕을 치러야 했습니다.

자메이카에서는 왕세손 부부가 도착하기 전날 노예제도에 대한 영국의 사과와 보상을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져 했습니다. 당장 사과하고 보상하라는 외침이 이어졌습니다. 앤드류 호니스 자메이카 총리는 영국 왕실과 결별하고 공화정으로 독립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카리브해 섬나라 바베이도스는 지난해 11월 영국 왕실과 결별 후, 공화국으로 새 출발했습니다. 다른 영연방 국가들도 바베이도스의 뒤를 따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영상] 英여왕 추모열기 이면…“군주제 폐지” 목소리
    • 입력 2022-09-13 17:11:23
    • 수정2022-09-13 17:12:37
    현장영상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 서거 이후 '영국연방(영연방·Commonwealth)' 국가를 중심으로 과거 제국주의와 작별을 고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70년 넘게 구심점 역할을 해 온 여왕의 부재를 계기로 ‘군주제 폐지’론이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현재 영국은 엘리자베스 2세의 장례 기간으로 국민들의 추모 열기가 매우 뜨겁습니다. 공휴일로 지정된 여왕의 국장(19일)에는 75만 명이 넘는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등 여왕의 서거를 슬퍼하는 영국 국민들이 절대적으로 많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처음 국왕 자격으로 영국 런던의 의회(웨스트민스터 홀)를 찾았다 돌아가는 찰스3세 국왕을 향해서는 시위대의 야유가 쏟아졌습니다. 시위대 중 한 명은 "2022년에 세습권력이라니 혐오스럽다"고 말했습니다.

1707년에 잉글랜드와 통합해 300년 이상 단일 국가로 지내 온 스코틀랜드는 고민에 빠졌습니다. 스코틀랜드 자치정부는 내년 10월 분리독립을 위한 주민투표를 하겠다고 선언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영국 정부는 이를 즉각 거부했고, 양측은 법정 다툼을 앞두고 있죠.

여왕이 생의 마지막 순간을 스코틀랜드 동북부 밸모럴성에서 보낼 정도로 이 지역과 인연이 깊다는 사실이 조명되면서 분리독립을 위한 대중적 지지 확보가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뉴욕타임스(NYT)는 "여왕의 죽음으로 스코틀랜드 독립운동의 미래에 새로운 의문이 제기되는 가운데, 여왕의 시신이 정치적 함의가 실린 여정에 나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영연방 안팎에서도 ‘군주제 회의론’이 커지고 있습니다. 영연방은 영국과 과거 영국의 식민지였던 독립국 56개국으로 구성된 느슨한 형태의 연합체입니다. 영국 국왕을 국가원수로 인정하는 나라도 14개국(영국 제외)입니다.

일부 국가는 빠르게 영국과의 결별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카리브해 섬나라 앤티가 바부다의 총리는 3년 내 군주제 폐지 관련 국민투표를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영국 여왕이 명목상 국가 원수인 호주와 뉴질랜드 정치권에서도 탈군주제 논쟁에 불이 붙었습니다. 호주 연방의회 제3당인 녹색당 대표는 엘리자베스 2세 서거 후 “호주는 앞으로 공화국이 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는 지난 12일 공화국 전환과 관련한 질문에 “결국 (그것이) 뉴질랜드가 가야 할 길이라고 믿는다”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아던 총리는 “긴급한 의제가 아닌 만큼 단기적 조치가 있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영연방 국가들의 탈군주제 움직임은 일찌감치 드러났습니다. 올해 3월 여왕 즉위 70년을 맞아, 윌리엄 당시 왕세손 부부가 카리브해에 위치한 영연방 3개국(벨리즈, 자메이카, 바하마)을 방문했을 때 곤욕을 치러야 했습니다.

자메이카에서는 왕세손 부부가 도착하기 전날 노예제도에 대한 영국의 사과와 보상을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져 했습니다. 당장 사과하고 보상하라는 외침이 이어졌습니다. 앤드류 호니스 자메이카 총리는 영국 왕실과 결별하고 공화정으로 독립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카리브해 섬나라 바베이도스는 지난해 11월 영국 왕실과 결별 후, 공화국으로 새 출발했습니다. 다른 영연방 국가들도 바베이도스의 뒤를 따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