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人] 나전, 물감이 되다…나전장인 김종량
입력 2022.09.14 (20:01)
수정 2022.09.14 (20: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오늘(14일)까지 프랑스 유네스코 본부에선 한국의 나전을 세계에 알리는 전시회가 있었습니다.
천년의 광채 ‘나전’은 지금에 안주하지 않고 현대적인 변화를 꾀하고 있는데요.
공예가에서 예술가로 작업 반경을 넓힌 나전장인을 경남인에서 만납니다.
[리포트]
장엄한 빙하를 그려낸 만년의 혼.
뜻밖에도 나전으로 표현한 '회화’입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지구온난화로 인해서 빙하가 많이 녹는 이런 모습들을 다 사라지기 전에 내 기술, 나전칠기 기술로 빙하를 한번 표현해 봐야겠다."]
바다의 천연재료로 기후위기를 경고하는 작가에게 자개는 가장 빛나는 물감입니다.
서울의 한 갤러리. 나전으로 빙산과 빙하를 그려낸 ‘만년의 혼’ 시리즈가 신고식을 치르는 순간입니다.
통영 나전칠기를 지켜온 장인 김종량 씨가 새롭게 시도한 작품인데요.
입체감을 살려 한 조각, 한 조각 정교하게 수놓은 나전이 대자연의 신비를 전합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자개와 잘 어울릴 수 있는 어떤 문양을 찾고 자개 물감에 맞는 그림, 디자인…."]
수많은 실사를 수집하고 응용해 자개와 어울리는 도안을 찾는데요.
그가 나전 공예를 처음 시작한 때가 13살, 반세기 넘게 자개를 다룬 손끝에선 수많은 작품이 나왔습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국화 한 송이에 주 자개 조각이 아홉 개씩 붙어서 계속 반복적으로 연결되어서 넘어가는…."]
3만 번 이상의 손길로 3만 개의 자개 조각을 붙인 고려시대 국화 넝쿨 문양 경전함입니다.
뉴욕 메트로폴리탄박물관 한국관에 전시 중인 나무접시는 300년 전 조선 시대 원작을 재현한 겁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현재에도 디자인이 이렇게 나오기가 힘들어요. 이 넝쿨들이 다 사방에서 올라오면서 자연스럽게…."]
관복을 보관하던 조선후기 어복함 포도 넝쿨 문양도 그대로 복원했는데요.
공들여 재현한 공예작품과 문양은 시대를 넘나드는 수작으로 통영 디피랑에서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조상이자 또 하나의 자식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통영이 자랑하는 나전칠기인데 시대에 따라서 지금 현재로서는 힘든 부분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
그래서 나전의 맥을 잇는 다양한 재해석작업을 시도했습니다.
사진과 나전을 접목하고 나전으로 옛 통영항을 그려내는가 하면 탱화도 나전으로 묘사했습니다.
안견의 몽유도원도를 가로 7미터의 대형 나전 작품으로 재해석한 데 이어 전통 나전기법을 회화에 접목해 붓보다 정밀한 그림을 그려냈습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줄음질 작업을 하는 게 있기도 하고 가는 선 자개를 가지고 끊음질기법으로…."]
전통방식으로 옻칠 목판 캔버스를 만드는 공정만 10여 차례.
옻칠과 황토를 섞은 칠 죽으로 밑판에 삼베를 바르고 갈아내길 반복한 뒤, 최적의 습도에서 건조를 마쳐야 회화 작업이 시작됩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빙하라는 얼음체를 조금 입체감 나게 하기 위해서 자개 밑에다가 연하게 블루색깔로 옻칠을 미리 먹인 거죠."]
자개 종류만 20여 가지, 빙하의 입체감과 원근감을 살리면서 세밀한 붓이 지나가듯 손과 자개만으로 생생한 빙하를 그려냅니다.
고도의 집중과 긴 시간을 요구하지만 나전의 확장성을 재발견한 소중한 작업입니다.
지금까지 실사에 기반해 사실적인 빙하를 그려냈다면 반 구상, 추상의 빙하도 선보일 계획입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얼음 두께감, 또 투명함들이 자개와 너무나 잘 맞는 그런 느낌을 느끼게 되었어요."]
어느새 고희. 나전과 함께한 시간이 쌓이면서 후세까지 이어갈 또 다른 나전을 고민하게 됐습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더 정진해서 후진들이 정말 그 일을 이어가야겠다는 생각이 들 수 있도록 계속 새롭게 이 일을 해나가야겠죠."]
공예가에서 예술가로 장인의 도전이 나전의 광채를 닮았습니다.
오늘(14일)까지 프랑스 유네스코 본부에선 한국의 나전을 세계에 알리는 전시회가 있었습니다.
천년의 광채 ‘나전’은 지금에 안주하지 않고 현대적인 변화를 꾀하고 있는데요.
공예가에서 예술가로 작업 반경을 넓힌 나전장인을 경남인에서 만납니다.
[리포트]
장엄한 빙하를 그려낸 만년의 혼.
뜻밖에도 나전으로 표현한 '회화’입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지구온난화로 인해서 빙하가 많이 녹는 이런 모습들을 다 사라지기 전에 내 기술, 나전칠기 기술로 빙하를 한번 표현해 봐야겠다."]
바다의 천연재료로 기후위기를 경고하는 작가에게 자개는 가장 빛나는 물감입니다.
서울의 한 갤러리. 나전으로 빙산과 빙하를 그려낸 ‘만년의 혼’ 시리즈가 신고식을 치르는 순간입니다.
통영 나전칠기를 지켜온 장인 김종량 씨가 새롭게 시도한 작품인데요.
입체감을 살려 한 조각, 한 조각 정교하게 수놓은 나전이 대자연의 신비를 전합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자개와 잘 어울릴 수 있는 어떤 문양을 찾고 자개 물감에 맞는 그림, 디자인…."]
수많은 실사를 수집하고 응용해 자개와 어울리는 도안을 찾는데요.
그가 나전 공예를 처음 시작한 때가 13살, 반세기 넘게 자개를 다룬 손끝에선 수많은 작품이 나왔습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국화 한 송이에 주 자개 조각이 아홉 개씩 붙어서 계속 반복적으로 연결되어서 넘어가는…."]
3만 번 이상의 손길로 3만 개의 자개 조각을 붙인 고려시대 국화 넝쿨 문양 경전함입니다.
뉴욕 메트로폴리탄박물관 한국관에 전시 중인 나무접시는 300년 전 조선 시대 원작을 재현한 겁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현재에도 디자인이 이렇게 나오기가 힘들어요. 이 넝쿨들이 다 사방에서 올라오면서 자연스럽게…."]
관복을 보관하던 조선후기 어복함 포도 넝쿨 문양도 그대로 복원했는데요.
공들여 재현한 공예작품과 문양은 시대를 넘나드는 수작으로 통영 디피랑에서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조상이자 또 하나의 자식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통영이 자랑하는 나전칠기인데 시대에 따라서 지금 현재로서는 힘든 부분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
그래서 나전의 맥을 잇는 다양한 재해석작업을 시도했습니다.
사진과 나전을 접목하고 나전으로 옛 통영항을 그려내는가 하면 탱화도 나전으로 묘사했습니다.
안견의 몽유도원도를 가로 7미터의 대형 나전 작품으로 재해석한 데 이어 전통 나전기법을 회화에 접목해 붓보다 정밀한 그림을 그려냈습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줄음질 작업을 하는 게 있기도 하고 가는 선 자개를 가지고 끊음질기법으로…."]
전통방식으로 옻칠 목판 캔버스를 만드는 공정만 10여 차례.
옻칠과 황토를 섞은 칠 죽으로 밑판에 삼베를 바르고 갈아내길 반복한 뒤, 최적의 습도에서 건조를 마쳐야 회화 작업이 시작됩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빙하라는 얼음체를 조금 입체감 나게 하기 위해서 자개 밑에다가 연하게 블루색깔로 옻칠을 미리 먹인 거죠."]
자개 종류만 20여 가지, 빙하의 입체감과 원근감을 살리면서 세밀한 붓이 지나가듯 손과 자개만으로 생생한 빙하를 그려냅니다.
고도의 집중과 긴 시간을 요구하지만 나전의 확장성을 재발견한 소중한 작업입니다.
지금까지 실사에 기반해 사실적인 빙하를 그려냈다면 반 구상, 추상의 빙하도 선보일 계획입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얼음 두께감, 또 투명함들이 자개와 너무나 잘 맞는 그런 느낌을 느끼게 되었어요."]
어느새 고희. 나전과 함께한 시간이 쌓이면서 후세까지 이어갈 또 다른 나전을 고민하게 됐습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더 정진해서 후진들이 정말 그 일을 이어가야겠다는 생각이 들 수 있도록 계속 새롭게 이 일을 해나가야겠죠."]
공예가에서 예술가로 장인의 도전이 나전의 광채를 닮았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남人] 나전, 물감이 되다…나전장인 김종량
-
- 입력 2022-09-14 20:01:42
- 수정2022-09-14 20:10:51
[앵커]
오늘(14일)까지 프랑스 유네스코 본부에선 한국의 나전을 세계에 알리는 전시회가 있었습니다.
천년의 광채 ‘나전’은 지금에 안주하지 않고 현대적인 변화를 꾀하고 있는데요.
공예가에서 예술가로 작업 반경을 넓힌 나전장인을 경남인에서 만납니다.
[리포트]
장엄한 빙하를 그려낸 만년의 혼.
뜻밖에도 나전으로 표현한 '회화’입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지구온난화로 인해서 빙하가 많이 녹는 이런 모습들을 다 사라지기 전에 내 기술, 나전칠기 기술로 빙하를 한번 표현해 봐야겠다."]
바다의 천연재료로 기후위기를 경고하는 작가에게 자개는 가장 빛나는 물감입니다.
서울의 한 갤러리. 나전으로 빙산과 빙하를 그려낸 ‘만년의 혼’ 시리즈가 신고식을 치르는 순간입니다.
통영 나전칠기를 지켜온 장인 김종량 씨가 새롭게 시도한 작품인데요.
입체감을 살려 한 조각, 한 조각 정교하게 수놓은 나전이 대자연의 신비를 전합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자개와 잘 어울릴 수 있는 어떤 문양을 찾고 자개 물감에 맞는 그림, 디자인…."]
수많은 실사를 수집하고 응용해 자개와 어울리는 도안을 찾는데요.
그가 나전 공예를 처음 시작한 때가 13살, 반세기 넘게 자개를 다룬 손끝에선 수많은 작품이 나왔습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국화 한 송이에 주 자개 조각이 아홉 개씩 붙어서 계속 반복적으로 연결되어서 넘어가는…."]
3만 번 이상의 손길로 3만 개의 자개 조각을 붙인 고려시대 국화 넝쿨 문양 경전함입니다.
뉴욕 메트로폴리탄박물관 한국관에 전시 중인 나무접시는 300년 전 조선 시대 원작을 재현한 겁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현재에도 디자인이 이렇게 나오기가 힘들어요. 이 넝쿨들이 다 사방에서 올라오면서 자연스럽게…."]
관복을 보관하던 조선후기 어복함 포도 넝쿨 문양도 그대로 복원했는데요.
공들여 재현한 공예작품과 문양은 시대를 넘나드는 수작으로 통영 디피랑에서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조상이자 또 하나의 자식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통영이 자랑하는 나전칠기인데 시대에 따라서 지금 현재로서는 힘든 부분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
그래서 나전의 맥을 잇는 다양한 재해석작업을 시도했습니다.
사진과 나전을 접목하고 나전으로 옛 통영항을 그려내는가 하면 탱화도 나전으로 묘사했습니다.
안견의 몽유도원도를 가로 7미터의 대형 나전 작품으로 재해석한 데 이어 전통 나전기법을 회화에 접목해 붓보다 정밀한 그림을 그려냈습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줄음질 작업을 하는 게 있기도 하고 가는 선 자개를 가지고 끊음질기법으로…."]
전통방식으로 옻칠 목판 캔버스를 만드는 공정만 10여 차례.
옻칠과 황토를 섞은 칠 죽으로 밑판에 삼베를 바르고 갈아내길 반복한 뒤, 최적의 습도에서 건조를 마쳐야 회화 작업이 시작됩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빙하라는 얼음체를 조금 입체감 나게 하기 위해서 자개 밑에다가 연하게 블루색깔로 옻칠을 미리 먹인 거죠."]
자개 종류만 20여 가지, 빙하의 입체감과 원근감을 살리면서 세밀한 붓이 지나가듯 손과 자개만으로 생생한 빙하를 그려냅니다.
고도의 집중과 긴 시간을 요구하지만 나전의 확장성을 재발견한 소중한 작업입니다.
지금까지 실사에 기반해 사실적인 빙하를 그려냈다면 반 구상, 추상의 빙하도 선보일 계획입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얼음 두께감, 또 투명함들이 자개와 너무나 잘 맞는 그런 느낌을 느끼게 되었어요."]
어느새 고희. 나전과 함께한 시간이 쌓이면서 후세까지 이어갈 또 다른 나전을 고민하게 됐습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더 정진해서 후진들이 정말 그 일을 이어가야겠다는 생각이 들 수 있도록 계속 새롭게 이 일을 해나가야겠죠."]
공예가에서 예술가로 장인의 도전이 나전의 광채를 닮았습니다.
오늘(14일)까지 프랑스 유네스코 본부에선 한국의 나전을 세계에 알리는 전시회가 있었습니다.
천년의 광채 ‘나전’은 지금에 안주하지 않고 현대적인 변화를 꾀하고 있는데요.
공예가에서 예술가로 작업 반경을 넓힌 나전장인을 경남인에서 만납니다.
[리포트]
장엄한 빙하를 그려낸 만년의 혼.
뜻밖에도 나전으로 표현한 '회화’입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지구온난화로 인해서 빙하가 많이 녹는 이런 모습들을 다 사라지기 전에 내 기술, 나전칠기 기술로 빙하를 한번 표현해 봐야겠다."]
바다의 천연재료로 기후위기를 경고하는 작가에게 자개는 가장 빛나는 물감입니다.
서울의 한 갤러리. 나전으로 빙산과 빙하를 그려낸 ‘만년의 혼’ 시리즈가 신고식을 치르는 순간입니다.
통영 나전칠기를 지켜온 장인 김종량 씨가 새롭게 시도한 작품인데요.
입체감을 살려 한 조각, 한 조각 정교하게 수놓은 나전이 대자연의 신비를 전합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자개와 잘 어울릴 수 있는 어떤 문양을 찾고 자개 물감에 맞는 그림, 디자인…."]
수많은 실사를 수집하고 응용해 자개와 어울리는 도안을 찾는데요.
그가 나전 공예를 처음 시작한 때가 13살, 반세기 넘게 자개를 다룬 손끝에선 수많은 작품이 나왔습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국화 한 송이에 주 자개 조각이 아홉 개씩 붙어서 계속 반복적으로 연결되어서 넘어가는…."]
3만 번 이상의 손길로 3만 개의 자개 조각을 붙인 고려시대 국화 넝쿨 문양 경전함입니다.
뉴욕 메트로폴리탄박물관 한국관에 전시 중인 나무접시는 300년 전 조선 시대 원작을 재현한 겁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현재에도 디자인이 이렇게 나오기가 힘들어요. 이 넝쿨들이 다 사방에서 올라오면서 자연스럽게…."]
관복을 보관하던 조선후기 어복함 포도 넝쿨 문양도 그대로 복원했는데요.
공들여 재현한 공예작품과 문양은 시대를 넘나드는 수작으로 통영 디피랑에서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조상이자 또 하나의 자식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통영이 자랑하는 나전칠기인데 시대에 따라서 지금 현재로서는 힘든 부분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
그래서 나전의 맥을 잇는 다양한 재해석작업을 시도했습니다.
사진과 나전을 접목하고 나전으로 옛 통영항을 그려내는가 하면 탱화도 나전으로 묘사했습니다.
안견의 몽유도원도를 가로 7미터의 대형 나전 작품으로 재해석한 데 이어 전통 나전기법을 회화에 접목해 붓보다 정밀한 그림을 그려냈습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줄음질 작업을 하는 게 있기도 하고 가는 선 자개를 가지고 끊음질기법으로…."]
전통방식으로 옻칠 목판 캔버스를 만드는 공정만 10여 차례.
옻칠과 황토를 섞은 칠 죽으로 밑판에 삼베를 바르고 갈아내길 반복한 뒤, 최적의 습도에서 건조를 마쳐야 회화 작업이 시작됩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빙하라는 얼음체를 조금 입체감 나게 하기 위해서 자개 밑에다가 연하게 블루색깔로 옻칠을 미리 먹인 거죠."]
자개 종류만 20여 가지, 빙하의 입체감과 원근감을 살리면서 세밀한 붓이 지나가듯 손과 자개만으로 생생한 빙하를 그려냅니다.
고도의 집중과 긴 시간을 요구하지만 나전의 확장성을 재발견한 소중한 작업입니다.
지금까지 실사에 기반해 사실적인 빙하를 그려냈다면 반 구상, 추상의 빙하도 선보일 계획입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얼음 두께감, 또 투명함들이 자개와 너무나 잘 맞는 그런 느낌을 느끼게 되었어요."]
어느새 고희. 나전과 함께한 시간이 쌓이면서 후세까지 이어갈 또 다른 나전을 고민하게 됐습니다.
[김종량/나전장인 : "더 정진해서 후진들이 정말 그 일을 이어가야겠다는 생각이 들 수 있도록 계속 새롭게 이 일을 해나가야겠죠."]
공예가에서 예술가로 장인의 도전이 나전의 광채를 닮았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