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 1차관 “경기불확실성 확대돼 향후 고용지표 둔화 전망”
입력 2022.09.16 (08:52)
수정 2022.09.16 (08: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이 “경기 불확실성이 확대돼 앞으로 고용지표의 증가 폭이 서서히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습니다.
방 차관은 오늘(16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8차 비상경제차관회의’를 열고, 고용 상황에 대해 이같이 전망했습니다.
오늘 발표한 ‘8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80만 7,000명 늘었습니다.
방 차관은 “고용지표가 전반적으로 양호한 흐름을 이어나가고 있다”며 “제조업 취업자 수가 견조하게 증가하고, 전문과학 등 고부가가치 업종도 양호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대외여건 악화, 고물가·금리 인상에 따른 소비위축 등 경기 불확실성이 확대돼 향후 고용지표는 서서히 증가 폭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고용창출력이 높은 분야 지원을 강화하고, 맞춤형 훈련과 취업 지원을 확충하는 등 민간 일자리 창출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추석 물가 대책은 전반적으로 양호하게 진행됐다고 평가했습니다.
방 차관은 “추석 성수품을 추석 기간 역대 최대인 27만 4,000톤을 공급해 당초 계획보다 119.2%를 달성했고, 할인쿠폰도 역대 최대인 608억 원을 집행했다”며 “20대 성수품의 평균가격이 장보기가 집중되는 9월 초 2.4%까지 상승 폭이 축소돼 할인쿠폰 효과까지 반영하면 소비자 체감가격은 전년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정부가 추진 중인 경제 형벌규정 개선 방안에 대해서는 “그동안 발굴한 과제 중에서 민간의 개선 수요가 크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규정을 대상으로 12월까지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특히, 기업뿐 아니라 자영업자 등 일반 국민들의 경제활동과 실생활에 밀접한 생활밀착형 형벌조항의 개선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경제 규제혁신에 대해서는 “총 6개 분야 86개 개선과제를 발굴했다”며 “매월 경제 규제혁신 TF 내 7개 작업반에서 규제개선을 위한 법령 개정 등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필요 사항을 논의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방 차관은 오늘(16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8차 비상경제차관회의’를 열고, 고용 상황에 대해 이같이 전망했습니다.
오늘 발표한 ‘8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80만 7,000명 늘었습니다.
방 차관은 “고용지표가 전반적으로 양호한 흐름을 이어나가고 있다”며 “제조업 취업자 수가 견조하게 증가하고, 전문과학 등 고부가가치 업종도 양호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대외여건 악화, 고물가·금리 인상에 따른 소비위축 등 경기 불확실성이 확대돼 향후 고용지표는 서서히 증가 폭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고용창출력이 높은 분야 지원을 강화하고, 맞춤형 훈련과 취업 지원을 확충하는 등 민간 일자리 창출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추석 물가 대책은 전반적으로 양호하게 진행됐다고 평가했습니다.
방 차관은 “추석 성수품을 추석 기간 역대 최대인 27만 4,000톤을 공급해 당초 계획보다 119.2%를 달성했고, 할인쿠폰도 역대 최대인 608억 원을 집행했다”며 “20대 성수품의 평균가격이 장보기가 집중되는 9월 초 2.4%까지 상승 폭이 축소돼 할인쿠폰 효과까지 반영하면 소비자 체감가격은 전년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정부가 추진 중인 경제 형벌규정 개선 방안에 대해서는 “그동안 발굴한 과제 중에서 민간의 개선 수요가 크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규정을 대상으로 12월까지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특히, 기업뿐 아니라 자영업자 등 일반 국민들의 경제활동과 실생활에 밀접한 생활밀착형 형벌조항의 개선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경제 규제혁신에 대해서는 “총 6개 분야 86개 개선과제를 발굴했다”며 “매월 경제 규제혁신 TF 내 7개 작업반에서 규제개선을 위한 법령 개정 등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필요 사항을 논의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재 1차관 “경기불확실성 확대돼 향후 고용지표 둔화 전망”
-
- 입력 2022-09-16 08:52:07
- 수정2022-09-16 08:52:41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이 “경기 불확실성이 확대돼 앞으로 고용지표의 증가 폭이 서서히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습니다.
방 차관은 오늘(16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8차 비상경제차관회의’를 열고, 고용 상황에 대해 이같이 전망했습니다.
오늘 발표한 ‘8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80만 7,000명 늘었습니다.
방 차관은 “고용지표가 전반적으로 양호한 흐름을 이어나가고 있다”며 “제조업 취업자 수가 견조하게 증가하고, 전문과학 등 고부가가치 업종도 양호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대외여건 악화, 고물가·금리 인상에 따른 소비위축 등 경기 불확실성이 확대돼 향후 고용지표는 서서히 증가 폭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고용창출력이 높은 분야 지원을 강화하고, 맞춤형 훈련과 취업 지원을 확충하는 등 민간 일자리 창출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추석 물가 대책은 전반적으로 양호하게 진행됐다고 평가했습니다.
방 차관은 “추석 성수품을 추석 기간 역대 최대인 27만 4,000톤을 공급해 당초 계획보다 119.2%를 달성했고, 할인쿠폰도 역대 최대인 608억 원을 집행했다”며 “20대 성수품의 평균가격이 장보기가 집중되는 9월 초 2.4%까지 상승 폭이 축소돼 할인쿠폰 효과까지 반영하면 소비자 체감가격은 전년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정부가 추진 중인 경제 형벌규정 개선 방안에 대해서는 “그동안 발굴한 과제 중에서 민간의 개선 수요가 크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규정을 대상으로 12월까지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특히, 기업뿐 아니라 자영업자 등 일반 국민들의 경제활동과 실생활에 밀접한 생활밀착형 형벌조항의 개선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경제 규제혁신에 대해서는 “총 6개 분야 86개 개선과제를 발굴했다”며 “매월 경제 규제혁신 TF 내 7개 작업반에서 규제개선을 위한 법령 개정 등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필요 사항을 논의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방 차관은 오늘(16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8차 비상경제차관회의’를 열고, 고용 상황에 대해 이같이 전망했습니다.
오늘 발표한 ‘8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80만 7,000명 늘었습니다.
방 차관은 “고용지표가 전반적으로 양호한 흐름을 이어나가고 있다”며 “제조업 취업자 수가 견조하게 증가하고, 전문과학 등 고부가가치 업종도 양호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대외여건 악화, 고물가·금리 인상에 따른 소비위축 등 경기 불확실성이 확대돼 향후 고용지표는 서서히 증가 폭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고용창출력이 높은 분야 지원을 강화하고, 맞춤형 훈련과 취업 지원을 확충하는 등 민간 일자리 창출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추석 물가 대책은 전반적으로 양호하게 진행됐다고 평가했습니다.
방 차관은 “추석 성수품을 추석 기간 역대 최대인 27만 4,000톤을 공급해 당초 계획보다 119.2%를 달성했고, 할인쿠폰도 역대 최대인 608억 원을 집행했다”며 “20대 성수품의 평균가격이 장보기가 집중되는 9월 초 2.4%까지 상승 폭이 축소돼 할인쿠폰 효과까지 반영하면 소비자 체감가격은 전년 수준에 근접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정부가 추진 중인 경제 형벌규정 개선 방안에 대해서는 “그동안 발굴한 과제 중에서 민간의 개선 수요가 크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규정을 대상으로 12월까지 개선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특히, 기업뿐 아니라 자영업자 등 일반 국민들의 경제활동과 실생활에 밀접한 생활밀착형 형벌조항의 개선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경제 규제혁신에 대해서는 “총 6개 분야 86개 개선과제를 발굴했다”며 “매월 경제 규제혁신 TF 내 7개 작업반에서 규제개선을 위한 법령 개정 등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필요 사항을 논의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이세중 기자 center@kbs.co.kr
이세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